View : 7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공수경-
dc.creator공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3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9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374-
dc.description.abstract우리 나라 경제는 IMF(국제통화기금) 체제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어왔다. 구조조정으로 인한 불안정한 고용상황은 노사관계의 약화를 가져왔고,사원들은 경영진의 방침이나 제안을 신뢰하지 않는 상태에 이르렀다. 또한, 국제토와기금이후 증가한 M&A(인수합병)으로 외국 기업의 국내 진출은 급격히 증대했으며, 이들이 제안하고 있는 기업체계와 경영방침은 이상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사원과 경영진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해답으로서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의 업무수행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통합된 사원의 일치감을 조서아는데도 이바지한다. 이는 결국 조직의 효울화를 이루어 최종적인 조직 목표를 다성케 한다. 또한 증가하고 있는 외국 기업의 사내 커뮤니케이션이 우리 기업과 비교해서 얼마큼 효율적인지 실증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무분별한 도입을 경계하고 한국적 환경에 맞는 사내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적 기업환경에 적합한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알아보고,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기업과 한국 기업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원들의 직무만족 조사를 통해 외국 기업과 한국 기업의 차이를 밝히고 보다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제시해 본다. 그리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찾고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의 고찰에 앞서서 한국의 기업 상황에 지적되는 사내 커뮤니케이션 문제점을 다룬 진술문을 뽑아보았다. 각 진술문에 대하여 대기업에서 근무 중인 사원 20명에게 사전 조사를 하였고,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은 진술문을 토대로 우리 나라 기업 환경의 사내커뮤니케이션 특징을 뽑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사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로서 '하향 커뮤니케이션', '상향 커뮤니케이션','기업 전반의 커뮤니케이션','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4차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후 이와 같은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다루는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설문 문항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요인 분석 결과, 연구 모형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변수는 대다수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요인 적재량을 근거로 변수명을 각각''개방적인 하향 커뮤니케이션'.'자율적인 상향 커뮤니케이션'.'전반적 커뮤니케이션 환경','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로 명명하였다. 이들 4개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변수들을 토대로 한국 기업과 외국 기업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비교 분석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사내 커뮤니케이션 변수를 찾아,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를 제시하고자하였다. 국내 대기업 8개사와 외국 기업 7개 사에서 근무하는 사원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기위해서는 SPSS의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주로 이용되었다. 이를 근거로 살펴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기업 집단의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비교해 보면, 외국기업이 한국 기업보다 '개방적인 하향 커뮤니케이션'과 '자율적인 상향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반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비슷한 수준이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은 한국 기업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기업 집단의 직무만족을 조사하고 비교해 본 결과, 5개 차원에서 측정한 직무만족은 두 기업 모두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 승진, 감독, 보수 및 동료관계를 통해 알아본 빅무만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직무만족을 평가기준으로 삼아 두 기업 집단의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을 비교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전체적인 통합 표본을 통해 직무만족과 사내 커뮤니케이션 특징 변수들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셋째,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직문만족을 높이는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 형태를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개방적인 하향 커뮤니케이션','자율적인 상향 커뮤니케이션', '전반적 커뮤니케이션 환경',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라는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으로 제시된 4개의 변수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은 경영진이나 상사로부터의 커뮤니케이션이 개방적이고, 사원에서 경영진으로의 커뮤니케이션이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며, 기업 내 전반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협조적이고 원활하게 조성된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중 직무만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사내 커뮤니케이션 변수는 '개방적인 하향 커뮤니케이션'으로,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우선 고려사항은 '개방적 하향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외국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향 커뮤니케이션의 자율성은 한국 기업들이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을이루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선결과제로 제안하였다. 또한, 기업조직은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개방적인 하향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으로 한국 기업과 외국 기업을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비교해 보는 연구로서,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징변수를 정리하고,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과 내부공중으로서 사원관계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과 연구의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우리나라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7 B.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9 1. 하향 커뮤니케이션 10 2. 상향 커뮤니케이션 11 3.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13 4.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14 C. PR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연구 15 1. 사내 커뮤니케이션과 PR의 기능 15 2.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제시 17 D. 직무만족과 사내 커뮤니케이션 22 1. 직무만족이 개념 22 2.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23 3. 직무만족과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24 E.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27 1. 연구모형 27 2. 연구문제 31 Ⅲ. 연구조사방법 32 A. 설문지구성 및 변수의 정의 32 B. 연구대상 37 C. 자료분석 방법 38 Ⅳ. 연구결과 39 A. 변수의 신뢰도와 타탕도 검증 및 응답자의 특성 39 1. 변수들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39 2. 응답자의 특성 44 B. 두 기업 집단의 사내 커뮤니케이션 형태와 비교 47 C. 두 기업 집단의 직무만족과 비교 58 D. 직무만족과 사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60 Ⅴ. 결론 및 제언 74 A. 연구결과 요약 및 토론 74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81 참고문헌 84 부록 : 설문지 90 영문초록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212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내 진출 외국 기업과 한국 기업의 비교를 통한 효과적인 사내 커뮤니케이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신문방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