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1 Download: 0

중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과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

Title
중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과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정미나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자기효능감은 특정 과제에 대해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며,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고 강화시킨다. 자기효능감은 성공적인 수행경험과 사회적 모델의 성공을 내면화하여 형성된다. 또한 주위사람들의 칭찬과 격려,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대한 지각을 통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성공경험, 대리적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상태를 자기효능감을 형성하는 원천(Sources of Self-Efficacy)이라 한다.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지만, 구체적으로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어떠한 원천이 과학 탐구 능력과 상관이 있는지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의 상관을 밝혀, 학생들의 과학 탐구의 내적 동기를 부양시키는데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128명이다.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이 중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과 과학 탐구 능력을 검사하여, 과학적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 탐구 능력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과학적 자기효능감 원천과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검사 결과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2.87점으로 보통수준이었다. 중학생은 과학 학습에서의 성공적인 성취경험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과학적 능력에 대한 믿음을 형성했다. 하지만 타인의 칭찬과 격려를 통해서는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잘 형성하지 못했다. 둘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p< .05).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자신의 과학적 성취(p< .01)와 타인의 칭찬과 격려(p< .05)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형성했다(p< .05, p< .01). 또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과학을 어렵지 않다고 인식하고, 스트레스와 불안을 낮추어 자신의 과학적 자기효능감을 높였다(p< .01). 셋째, 중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의 평균은 21.34점이었다. 기초 탐구 능력의 성취가 통합 탐구 능력보다 높았다(p< .01). 과학 탐구 능력의 남녀 차이는 없었다. 넷째,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의 성취가 높았다(p< .01). 특히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상위집단의 학생들은 통합 탐구 능력 성취가 높았다(p< .05, p< .01). 다섯째, 과학적 자기효능감은 과학 탐구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r=.46, p< .01).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 분야의 성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r=.52)과 과학적 능력에 대한 타인의 칭찬(r=.43)과 상관을 보였다(p< .01). 따라서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과학 분야에서 성취 경험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마련하고, 학생들의 과학적 능력에 대한 적절한 칭찬과 격려를 제공해 자신의 과학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 measur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8 middle school students. In processing test results, ANOVA, independent-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ssay was conducted with SPSS 18.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science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general. The most influential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is the interpretation of previous performance, or mastery experience. Social persuasion, which includes exposure to the verbal judgement that others provide, was the weakest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Ther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y gender, boys had higher scores than girls in science self-efficacy. Mastery experiences, social persuasion, physiological states were accounted for meaningful difference in boys than girls. Second,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21.34 points. The fundamental inquiry ability achievement were higher than the integrated inquiry ability achievement. Differences of student'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by gend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group of higher science self-efficacy had higher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Especially, integrated inquiry ability achievement of the top science self-efficac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air and bottom group of science self-efficacy. Forth, scienc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The most related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to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was mastery experiences. In conclusion, by this research I found out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which were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skill achievement. By building on the findings if this study, researchers and science educators will be in a better position to ensure that pedagogical efforts to build students' self-efficacy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skill by referring to the sour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