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나은진-
dc.contributor.author박지민-
dc.creator박지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0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0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판소리계 소설을 활용하여 비평문을 씀으로써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가치의 다원성을 인정하고 장려하며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현대 사회에서 비판적 사고력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고 능력이다. 여러 가치와 수많은 선택의 대안 중 어느 것을 추구할 지는 본인이 스스로 결정 해야 하며, 그에 대한 책임도 자신이 감당해야 한다. 숱한 선택의 순간에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게 하는 것은 합리적이고 타당하게 비교&#8228;분석하는 능력이며, 이는 비판적 사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비평문 쓰기는 이러한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비평문을 논증하는 글의 하나로 본다면, 비평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을 설득할 수 있을 만큼 얼마나 합당하고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근거를 선별하여 글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력이 동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평문을 쓰는 활동을 통해서 비판적 사고력을 훈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판소리의 경우 그것의 교육적 가치가 충분하고 다방면에서의 교육적 활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판소리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하여 주입식으로 이루어지는 현재의 교육이 문제라고 보았다. 따라서 판소리에 대한 고정화된 이해에서 벗어나 다양한 각도에서 판소리를 바라보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평문 쓰기와 접목시켰다. 이는 물론 앞서 언급했던 비판적 사고력의 신장까지 염두에 둔 것이다. Ⅱ장에서는 비평문 쓰기를 위한 <심청전>의 교육 내용에 관하여 다루었다. 먼저 <심청전>의 교수&#8228;학습 현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진단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본문 및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검토에서는 제 5차와 6차, 7차 및 2007&#8228;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판소리와 비평이 각각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흐름을 조망한 결과 판소리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가늠할 수 있었다. 한편 교과서 분석에서는 판소리 작품 중 교과서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춘향전>, <심청전>, <흥 보 전>의 교과서 수록 양상과 학습활동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모형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우선 비평문 쓰기의 교육적 의의로써 비평문 쓰기를 통한 통합학습의 내용에 대해 정리하는 한편, 비판적 사고와 비평문 쓰기의 개념에 대하여 각각 재정의 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판소리계 소설 교육에서의 비평문 쓰기에 대하여 다루었는데, 학습자들이 익숙하게만 느꼈던 판소리계 소설을 비판적으로 읽음으로써 기대 지평의 확장을 통한 비평문 쓰기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판소리계 소설 작품의 해석 및 수용의 다양성으로부터 비평의 준거 네 가지를 도출하였는데, 각각 판소리 주제의 양면성 고찰, 갈래 가로지르기, 당대의 사회적 지평 이해, 시대지평의 차이와 융합이 그것이다. 한편 이 장에서는 비평문 쓰기를 위한 본격적인 내용 분석도 이루어진다. 판소리 사설과 판소리계 소설, 근대 희곡과 현대 창극을 비교하여 비평하도록 항목을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구성은 교수&#8228;학습 상에서의 하나의 예시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Ⅳ장에서는 판소리 작품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의 교수&#8228;학습 방안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먼저 비평문 쓰기의 교수&#8228;학습의 원리로 대화의 원리와 지평 융합의 원리라는 원리 요소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다양한 모형들을 참고하여 판소리 작품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수&#8228;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전술하였듯 본고는 비판적 사고의 신장을 최종 목표로 설정하였기에 이러한 점이 모형에 반영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모형을 적용한 교수&#8228;학습 방안의 실제로써 새로운 대단원을 구성하고 차 시 별 교수&#8228;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고에서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을 다양한 비평의 준거를 제공할 수 있는 판소리계 소설의 비평문 쓰기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논의의 의의를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는 판소리계 소설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 둘째는 학습자의 기대 지평을 확장하였다는 것이다. 셋째는 이러한 가능성들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모형을 구안하였다는 점이다. 현대 사회에서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비판적 사고와 비평,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서 우리 고유의 문화로 더욱 주목 받는 판소리를 하나로 엮어 교수&#8228;학습 모형을 수립했다는 데에 본고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through critical writing using pansori text. Critical thinking is an essential ability required by modern society where people are faced with many moments of choice, and critical writing is effective for enhancing critical thinking. Critical writing is one of writings of argumentation, and the most important point in critical writing is how valid and logical basis it can suggest to persuade others. The writing has to be backed by critical thinking in order to enhance the persuasiveness by choosing the bases that support the opinion, and critical writing can train critical thinking. Although pansori has enough educational values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today's education goes only so far as cramming a few characteristics of pansori into learners. This study combined pansori with critical writing to move on from fixed understanding of pansori to examine pansori in various angles and effectively learn pansori. Learners will be able to write critically by expanding their expectation horizon by critically reading pansori text that they felt familiar with. This leads up to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mentioned earlier. This study intends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in living modern society through the writing of the critical review of pansori tex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standards for criticism for the critical thinking.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this study demonstrates a new possibility in teaching pansori text. Second, this study expands the expectation horizon of the learner. Third, this study developed an actual model based on such possibilities. In a word,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combined the critical thinking and criticism, the importance of which is being more emphasized gradually in modern society, and pansori which is receiving more attention as a unique Korean culture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establish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5 C.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13 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교수·학습 현황 18 A. 교육과정 검토 18 1. 비평문 쓰기 교육의 흐름 18 2. 판소리 교육의 변모 양상과 의의 22 B. 교과서 본문 및 학습활동 분석 24 1. 교과서의 판소리계 소설 수록 현황 24 2. 문제점과 개선 방안 36 Ⅲ. 비평문 쓰기 교육과 심청전 교육 내용 39 A. 문학 교육에서의 비평문 쓰기 39 1. 비평문 쓰기의 교육적 의의 39 2. 판소리계 소설 교육에서의 비평문 쓰기 49 B. 심청전 과 창극 청 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 62 1. 판소리 사설 심청가 와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 의 차이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63 2. 채만식 沈봉사 와 창극 청 비교하기 66 Ⅳ. 비평문 쓰기 교수·학습 방안 72 A. 비평문 쓰기의 교수·학습 원리 72 1. 대화의 원리 72 2. 지평 융합의 원리 76 B. 비평문 쓰기의 교수·학습 모형 설계 81 1. 비평문 쓰기 교수·학습 모형의 이론 81 2. 비평문 쓰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88 C. 비평문 쓰기 교수·학습 모형의 실제 93 1. 단원의 개관 및 지도 계획 93 2. 차시별 교수·학습 지도안 97 Ⅴ. 결론 110 참고문헌 113 부록 117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84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심청전 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ritical Writing by Using ShimChungJeon-
dc.creator.othernamePark, Ji-Min-
dc.format.pagevii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