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학교장의 성별에 따른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Title
학교장의 성별에 따른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fferences i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Authors
김은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최근 등장한 지도력 이론들은 지도자들의 정서와 감성적인 측면에 많은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등장한 것이 감성리더십이다. 감성리더십이란 지도자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구성원의 감성 및 필요를 배려하며, 그들과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조직의 감성역량을 높이는 능력을 의미한다. 교육 현장에서도 지도자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기존 연구들은 감성리더십이라는 독립변인과 관련 종속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에 있어 학교장의 성별이라는 배경변인을 추가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남․녀 학교장이 보이는 지도성 행동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장의 성(性)적 특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감성리더십과 관련하여 학교장의 성차가 고려된 연구는 처음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장 성별에 따른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즉, 학교장의 성별에 따라 발휘되는 감성리더십에 차이가 있고, 그로 인해 교사가 느끼는 관리자와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남․녀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에 차이가 있는가? 가. 교사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교사의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남․녀 학교장과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가. 교사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교사의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남·녀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가. 남·녀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나. 남·녀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를 규명하기 위해 우선 초등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을 학교장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교사 배경변인별 인식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성별과 직위에 따른 인식차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초등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만족도를 파악하여 이를 학교장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다시 교사 배경변인 별로 나누어 교사 성별과 직위에 따른 인식차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남․녀 초등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학교장이 발휘하는 감성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남․녀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도는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교사이다. 학교장이 발휘하는 감성리더십은 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에 의해 가장 잘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학교장의 리더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사와의 동시 재직기간이 일정 이상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학교장과 교사가 동시에 1년이상 재직한 경우를 대상으로 응답 대상을 한정하였다. 우선, 남교장 재직교의 초등교사 50명, 여교장 재직교의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의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의 결과,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및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가 신뢰롭다고 판단되어 이를 그대로 본조사에 사용하기로 하였다. 본조사는 남교장 재직교 9곳의 초등교사 146명, 여교장 재직교 10곳의 초등교사 168명으로 총 314명에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t검정,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은 남교장보다 여교장이 더 높았다. 이를 감성리더십의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대체적으로 여교장이 남교장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자기인식능력을 비록하여 사회적 인식능력 및 관계관리능력에서는 매우 뚜렷한 차이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교사 배경변인별 인식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성별과 직위에 따른 감성리더십 인식을 분석해 보았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남․녀 교장의 감성리더십 인식을 비교한 결과,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여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자기관리능력 또한 높게 평가하였다. 교사의 직위에 따른 남․녀 교장의 감성리더십 인식을 비교한 결과, 보직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여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역량의 사회인식, 관계관리에서 여교장 하의 보직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뚜렷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여교장 하에서 더 높은 직무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대체적으로 여교장이 남교장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여교장 하의 교사는 교직의식, 동료애, 자율성에 대해 남교장 하의 교사보다 높은 직무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교사 배경변인별 인식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성별과 직위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인식을 분석해 보았다. 교사의 성별에 따라 남․녀 학교장 하에서의 직무만족도 인식을 비교한 결과, 남교장 하의 남교사는 여교사보다 자율성에 대해 높은 직무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교장 하에서의 경우, 교직의식에서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높은 직무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업무부담에서는 여교사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남교사에 비해 더 높은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혁신성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직무만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배경변인 중 직위에 따른 교사 직무만족도 인식을 비교한 결과, 여교장 하에서의 보직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교직의식, 자율성 면에서 더 높은 직무만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남·녀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업무부담’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즉, 남․녀 학교장 모두가 높은 감성리더십을 발휘 할 수록 교사의 직무만족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녀 학교장의 감성리더십 하위요인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개인적 역량의 자기인식능력과 사회적 역량의 관계관리능력이 교사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장의 자기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이 높을 수록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남교장의 경우, 특히 사회적 역량의 관계관리요인이 교사직무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교장의 경우에는 개인적 역량의 자기인식요인과 사회적 역량의 관계관리요인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남․녀 학교장은 교사들의 정서를 깊이 이해함과 동시에 높은 감성리더십의 발휘를 통해 교사들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학교장은 교사들이 지각한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성별에 따른 지도성 행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의 극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는 곧 교사의 직무만족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학교 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chool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a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ow a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impacts a teacher's job satisfaction through exploring a teacher's comprehension level on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analyzing how a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ffected in terms of ones personal background. 314 teachers at 19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answered questionnaires about how a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ffects their job satisfaction. The sub-factors of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consists of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The sub-factors of a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camaraderie, workload, professionalism, innovation, teachers growth and independence.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a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emale principals scored higher on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than male principals. With regard to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recognition in gender and position. The femal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was rated more highly by female teachers than male teachers. Likewise, the femal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was rated more highly by head teachers of the group who were in higher positions than regular ones. Seco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under female principals than under male principals. In relation to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recognition in gender and position. Male teachers scored higher than female teachers in the sub-factor of 'independence' under male principals. They also scored higher than female teachers in the sub-factor of 'professionalism' under female principals. However, the sub-factor of 'workload,'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female teachers than male teachers who were under female principals. Female teachers scored higher than male teachers in the sub-factor of 'innovation' under female principals. According to the position, it was higher among head teachers of the group who were in higher positions than regular ones. Lastly, a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analysing the principal's four sub-factors, which includes emotional leadership, 'Self-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it was found that these two factors influenced a teacher's job satisfaction immensely. In the case of male principals, the sub-factor of 'Relationship Management' highly affecte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female principals, the sub-factor of 'Self-Awarenes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was found to affect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a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ffects a teacher's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can make a teacher's job satisfaction hig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