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노영현-
dc.creator노영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5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558-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leadership of teacher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Even if there were studies on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most studies on instructional leadership are target towards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applications. A more in-depth analysis on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needed because teachers are directly involved in their class and mak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lass to perform more effectively. A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be improved by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For this reason, the topic of this stud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a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The background factors include the teachers' gender,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eir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1-1. How does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vary with the teachers' gender? 1-2. How does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vary with the teachers' work experience? 1-3. How does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vary with the teachers' position? 2. What is the status of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2-1. How does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vary with the teachers' gender? 2-2. How does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vary with the teachers' work experience? 2-3. How does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vary with the teachers' posi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in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pective? 3-1. What correlations exist between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in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pective? 3-2. How does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ffect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To answer these questions,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motivation for learning,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cusing on the 5 sub-factors of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4 sub-factors of a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00 students in the 6th grade at various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resulting in 529 collected sheets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by using SPSS win 1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a student's recognition of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factors is as foll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the teacher's gender except when it factored into 'evaluation'. Female teachers showed a higher proficiency in 'evaluation' than the male teachers. While no major differences are apparent when it came to factoring in the teacher's 'evalu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sub-factors of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when based on teacher's work experience. In terms of differences in a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6-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level in instructional leadership while teachers with 11-20 years showed the lowest. According to the teacher's position at work,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except when it came to the sub-factor of 'instruction organization'. General Teachers showed a higher level than Teaching Directors under 'instruction organization'. Second, a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factors is as foll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a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gend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of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when based on teacher's work experience.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showed the highest level in all sub-factors when their teachers have 6-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in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position.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from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pective,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in detail how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ffect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in all its factors. As a result, all the factors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 all the different factors of motivation. Putting the results together, th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Therefore, to improve a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eachers need to show high levels is all factors of instructional leadership from providing vision, instruction assistance, and instruction organization to instruc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최근에는 교사의 지도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사 지도성에 관한 연구들 중에서 수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수업지도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해도 연구 대상이 교장과 교감으로 한정되어 이루어졌다. 수업에 직접 참여하는 이는 교사이며 자신의 수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중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도 교사이기 때문에, 교장․교감이 아닌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의해 향상되어야 할 가장 우선적이고 중요한 요인으로 학생의 학습동기를 선정하여,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학습동기의 관계를 연구 주제로 삼았다. 배경 변인으로는 교사의 성별, 경력, 직위를 정하고 연구 주제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지도성은 어떠한가? 1-1. 교사의 성별에 따라 수업지도성의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의 경력에 따라 수업지도성의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의 직위에 따라 수업지도성의 차이가 있는가? 2. 학생의 학습동기는 어떠한가? 2-1. 교사의 성별에 따라 학생의 학습동기의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경력에 따라 학생의 학습동기의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의 직위에 따라 학생의 학습동기의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학습동기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학습동기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2.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지도성이 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수업지도성과 학습동기 이론을 검토한 후, 교사의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을 5개, 학생의 학습동기의 하위 요인을 4개로 구성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서울시 공립 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총 529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 분석, 기술 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에 대하여 학생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교사의 성별에 따라서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수업지도성에서는 평가 요인만 여자 교사가 남자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를 제외한 하위 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성별은 학생들이 교사의 수업지도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인 것이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에서는 평가만 모든 경력에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하위 요인에서는 모두 경력이 6-10년인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이 11-20년인 교사의 수업지도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직위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에서는 다른 요인들은 모두 일반 교사와 부장 교사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업 조직은 일반 교사가 부장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에서는 남자 교사와 여자 교사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의 성별은 학생의 학습동기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에서는 모든 하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본질 동기와 계속 동기의 경우 교사의 경력이 6-10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1-20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질 동기와 수업 동기의 경우 역시 교사의 경력이 6-10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5년 이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직위에 따른 학습동기에서는 일반 교사와 부장 교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위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학습동기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교사의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 모두 학습동기의 모든 하위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교사의 수업지도성이 높을수록 학생의 학습동기가 높아지는 정적상관관계를 지니므로 교사의 수업지도성은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켜 학습 성과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수업지도성이 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 다섯 가지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습동기의 하위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업 동기의 예측변인으로는 수업지원, 수업 실행, 수업 조직, 비전 제시가 채택되어 평가를 제외한 수업지도성의 모든 하위 요인이 높을수록 수업 동기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본질 동기는 교사의 수업지도성 하위 요인 중 수업 지원을 제외하고 수업 실행, 비전 제시, 평가, 수업 조직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본질 동기의 예측변인으로 수업 실행, 비전 제시, 수업 조직이 채택되었다. 계속 동기의 예측변인으로는 수업 지원, 평가, 비전 제시가 채택되어 수업지도성의 이 세 요인이 높을수록 계속 동기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 모두가 학습동기 하위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 학습동기의 각 하위 요인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온 요인은 없다. 그리고 학습동기 하위 요인은 모두 학습에 있어서 의미를 지니므로 골고루 유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습동기가 전체적으로 유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 중 중요하지 않은 요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수업지도성이 학생의 학습동기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 중 평가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결과의 마지막 부분에서 수업지도성 전체가 학습동기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학습동기는 모든 하위 요인에 있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업지도성 전체가 학습동기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온 결과를 볼 때, 수업지도성의 하위 요인은 각각 영향력을 발휘하기보다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수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비전 제시, 수업 지원, 수업 조직, 수업 실행, 평가의 모든 요인에서 수업지도성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사의 수업지도성 6 B. 학생의 학습동기 19 C. 선행 연구 고찰 28 Ⅲ. 연구 방법 32 A. 연구 대상 32 B. 연구 절차 35 C. 연구 도구 36 D. 자료 분석 44 Ⅳ. 연구 결과 45 A.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사의 수업지도성 45 B.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특성에 따른 학생의 학습동기 50 C.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의 학습동기의 관계 53 Ⅴ. 결론 및 제언 63 A. 결론 및 논의 63 B.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75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97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수업지도성과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 Motivation for Learning in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Roh, Young-Hyun-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