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윤-
dc.contributor.author김린경-
dc.creator김린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8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3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영향을 줄 것인가?’,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줄 것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교육연극의 장르와 개념을 살펴보고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Boal(1992)과 Jennings(1986)의 교육연극 관련 이론을 최정혜(2009)가 재구성한 교육연극프로그램과 Bandura(1977)의 성취경험, 대리경험, 심상적 경험, 정서적 안정 전략을 기반으로 한 정남숙(2006)의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프로그램을 참고하고 전공교수의 지도와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에서 실연될 연극놀이, 즉흥극, 토론연극의 활동을 통해서 자기표현력을, 각 회기별 프로그램의 활동 주제와 내용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신장할 수 있도록 교육연극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경기도에 위치한 G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로 실험집단(28명)과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전검사 결과가 비슷한 학급을 비교집단(28명)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게는 주 2회 재량활동 시간에 10회기의 교육연극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ce sample t test)를 실시한 결과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에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두 집단 간 사전 동질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교육연극프로그램 진행 후 실시한 사후검사에서 교육연극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는지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ce sample t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실험연구에서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연극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자기표현력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교육연극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 및 이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교육연극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초등학생 아동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에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효능감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회기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의 구성원들의 대부분이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날을 기대하고 회기보고서에서도 스스로 참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회기가 끝났을 때 매우 아쉬워하며 계속 진행할 것을 당부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신장이 필요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연극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프로그램이므로 다른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연극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의 학생들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지에 대한 추후 검사도 필요하겠다. 또한 경기도에 위치한 G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형편이 다른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적용을 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실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재구성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skills and general self-efficacy.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Will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skills?’ and ‘Will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self-efficacy?’ Also, the study looked into the genre and concept of educational drama and reviewed the concept and constituent factors of self-expression skills and general self-efficacy. The key findings obtained from experimental research for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exhibit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self-expression skills more than students in a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us,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is construed as being positively influential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skills. Secon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showed a meaningful enhancement of general self-efficacy compared to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is interpreted as being positively affectiv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self-efficacy. The implicat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as to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is expected to attra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on and interest in the field of education; thus, it is fairly supposed to meaningfully improve their self-expression skills and general self-efficacy. Actually, most of the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ession, were discovered to have awaited the educational drama day to come early, and exhibited high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ession report. Also, they felt very sorry that all sessions were finished, and they even asked to continue the session. Therefore, provided that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may be offered targeting students who need the elongation of self-expression skills and general self-efficacy, it will positively affect th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concern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aimed at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on students in other grades. Furthermore, it would be necessary to undertake a follow-up examination as to whether the changes in students made during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lasts. In addition,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in G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refore, in the case of applying this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in regions with different circumstances, the restructuring of its contents for students given various situations may b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교육연극 5 B. 자기표현력 8 C. 일반적 자기효능감 10 Ⅲ. 연구방법 13 A. 연구대상 13 B. 연구설계 13 C. 프로그램 실시 13 D. 검사도구 21 E. 연구절차 22 Ⅳ. 연구 결과 27 A. 연구결과 27 Ⅴ. 논의 및 제언 35 A. 주요 결과 요약 35 B. 시사점 및 제언 36 참고문헌 38 부록 41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2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Skills and General Self-Efficacy-
dc.creator.othernameKim, Lin Kyoung-
dc.format.pagev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