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시각장애 청소년이 지각한 신체상, 대인 불안 및 자기표현의 관계

Title
시각장애 청소년이 지각한 신체상, 대인 불안 및 자기표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ression and the anxiety felt by visually impaired teenagers over their body and others
Authors
최정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This study searched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sense of insecurity that blind teenagers have on their own body and others, and the capability for self-expression, this is order to come out with a solution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self-expression for blind teenagers. To do so, a research was done to find the difference among blind teenagers in terms of capability of self-expression, and sense of insecurity with accordance to their gender, extent of disability, and period of occurrence of the disability. The study also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self-express and insecurity over the body, between the ability to self-express and anxiety over others, between anxiety over the body and others, and between the anxiety over others an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it was also contemplated how much a visually impaired teenager can anticipate his capability to self-express with accordance to anxiety over the body and other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is study, a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general information of 'visually impaired' was done foremost, a research was done on the concept of self-expression, there was contemplation on the concept of anxiety over the body and others, along with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and the visually impaired. In order to measure the capability to self-express, and the anxiety level over the body and others that visually impaired teenager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s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target group of 285 blind teenagers who are attending 12 schools for the blind all over the country, and a total of 258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research using the PASW Statistics 18(former SPSS) program,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elf-expression capabilities and sense of anxiety over their body and others between each gender, the extent of the disability, perio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nally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how much one could expect one's capability to self-express based on the anxiety levels over the body and othe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for the capability to self-express, anxiety over the body and others with accordance to gender, perio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and extent of disabilit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nxiety level over others with regards to the perio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and other cases displayed no meaningful difference. Thus, the level of anxiety over others among visually impaired teenagers displayed a difference according to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but the capability to self-express and the anxiety level over their bod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with accordance to gender, age, the perio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and the extent of the disability. Next, the result of the relation analysis among the capability to self-express, anxiety over body and others, extent of disability, perio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capability to self-express and anxiety level over the body, capability to self-express and anxiety level over others, anxiety level over others and perio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 capability to self-express and anxiety level over others has the closest relationship, followed in the order of between anxiety over body and over others, between anxiety over body and capability to self-express, and between anxiety over others and period when the disability occurred. Lastly,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being able to anticipate the capability to self express, and anxiety over body and others showed that the anxiety over others had much to do with being able to expect the capability of self-expression, followed by the anxiety level over the body.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stats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over others to strengthen the visually impaired teenagers' capability to self-express, and that this can be achieved by being positively aware of one's body. Thu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to self-express for visually impaired teenager, there needs to be a detailed plan to induct a more postive sense of awareness over one's body.;본 연구는 시각장애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신체상 및 대인 불안도와 자기표현력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시각장애 청소년들의 자기표현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청소년에 있어서 성별, 장애 정도, 장애 발생 시기별 자기표현력, 신체상 및 대인 불안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기표현력과 신체상, 자기표현력과 대인 불안도, 신체상과 대인 불안도, 대인 불안도와 장애 발생 시기 간에는 각각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시각장애 청소년에 있어서 신체상, 대인 불안도에 따른 자기표현력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시각장애의 정의와 일반 정보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표현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신체상 및 대인 불안의 개념과 함께 청소년이나 시각장애인이 갖는 각각에 대한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실제 시각장애 청소년들이 가지고 있는 자기표현력과 신체상, 대인 불안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국의 12개 맹학교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 청소년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8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舊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기본적으로 각 성별, 장애 정도별, 장애 발생 시기별 자기표현력, 신체상 지각, 대인 불안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시행하였고, 시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이들이 지각한 신체상, 대인 불안도, 장애 정도, 장애 발생 시기 상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신체상, 대인 불안도에 따라 자기표현력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표준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 장애 발생 시기, 장애 정도별 자기표현 점수, 신체상, 대인 불안 점수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장애 발생 시기 별 대인 불안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시각장애 청소년들의 대인 불안 점수는 자신의 장애 발생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지만 자기표현 점수와 그들이 지각한 신체상은 자신의 성별이나 장애 발생 시기, 장애 정도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자기표현력, 신체상 지각도, 대인 불안도, 장애 정도, 장애 발생 시기 각각의 사이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자기표현력과 신체상, 자기표현력과 대인 불안도, 대인 불안도와 장애 발생 시기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크기는 자기표현력과 대인 불안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신체상과 대인 불안도, 자기표현력과 신체상, 대인 불안도와 장애 발생 시기 사이의 값 순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체상과 대인 불안도에 따라 자기표현력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대인 불안도가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신체상 지각 정도의 순으로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력 강화를 위해서 대인 불안도의 감소가 필요하며 이는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시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긍정적 지각을 유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안을 도출해야 할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