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욱환-
dc.contributor.author심지혜-
dc.creator심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26-
dc.description.abstractInformation is essential to get reasonable results in all kinds of decision-making processes. Like this, good-quality information related with university also makes students choose university appropriately during the university selection stage.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obtained influence the university choice level of students, and further their entire life quality since university tends to decide their job and incom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secure good-quality information related with university choice. However, the information is not shared equally with everyone. The information shows disparity by level in approach, use and acceptance.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how information provided to students for choosing university are different by status, based on the information disparity phenomenon according to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levels at a time of choosing univers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study materialized study problem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if there are differenc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parents by social status. Secondly, the study examined if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from other sources except their parents by status, that is, if there are differences in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other information sources. Thirdly, the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the power of influence of information provided by each information source including parents by social statu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ophomores and junior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in order to verity the study problems. For this, the study selected six four-year universiti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distributed 500 questionnaires to sophomores and juniors attending the universities and collected 461 questionnaires among them. Among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the study analyzed 336 questionnaires excluding 125 questionnaires that didn't answer questions related with their social status, an independent variable, didn't answer more than five questions or answered repetitively. For analyzing the data obtained, one-way anova, test and nested design were us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problems and appropriatenes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parents when students choose university by social status of a famil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quantity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parents when students choose university between the middle · the upper statuses and the lower statuses, while parents in the middle · the upper statuses provide more information than parents in the lower statuses during the university choice process. In addition, it was also observed that parents in the middle · the upper statuses provide higher quality information than parents in the lower statuses when their children choose university. Through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in the lower statuses choose university based on insufficient information from parents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compared with students in the middle · the upper statuses during the university choice process. On the other hand, a hypothesis that the quantity of information from parents would be greatly influenced by an academic background within the same status during the university choice process was not verified.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it was proved that any factor deciding a social status including an academic background within the same status didn't influence the quantity of information from parents independently. Secondly, numbers of students who receive information from other information sources except parents when choosing university vary by social status. The study classified human or non-human resources that can provide university-related information to students into high school teachers, friends, seniors, educational institutes, private tutoring, internet and family members excluding parents and relatives, and examined it they we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institutes, private tutoring, family members excluding parents and relatives by social status. That is, students in the upper statuses received information from sources such as educational institutes, private tutoring, family members excluding parents and relatives more frequently than students in the lower statuses. Hence, it was confirmed that access to information from certain information sources except parents was different by social status when students choose university.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ower of influence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parents, internet, private education and others except parents when students choose university by social status. In the first place,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parents was vary by social status. More concretely,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parents was greatest in the upper statuses, followed by the middle statuses and the lower statuse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provided by parents in the upper statuses influences students' university choice process more greatly.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private education was greatest among students in the upper statuses, while showing the smallest influence among students in the lower status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sparity i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internet or others except parents by social status, differently from information provided from parents or private education. In the meantim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ranking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each information source in order to see which information source influences relatively more among the various information sources by social status, and found that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ources was different by social status. That is,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 the upper statuses are more influenced by parents or private education than other information sources. On the contrary,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in the lower statuses are relatively more influenced by internet or others except pat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y social status in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to students by parents, acquirement of information through other information sources except parents and the power of influence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is current study. Thus, students' information difference by social status during university choice process creates a gap in university choice level by social status, and further it decides success or failure of university education. Eventually, the information inequality among social statuses during university choice process can become another cause to create inequality of educational results.;정보는 모든 의사결정 과정의 합리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필수적이다. 학생이 대학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이와 관련된 양질의 정보는 그들이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학이 학생들의 직업 및 소득을 결정함은 물론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이 대학선택과정에서 양질의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보는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수준으로 공유되지 않는다. 정보는 접근과 활용, 수용에 있어 계층에 따른 격차를 드러낸다. 대학선택에서 정보가 중요한 만큼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제공받는 정보들이 계층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구체화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에 따라 학생들이 부모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의 양과 질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 이외 인적·비인적 자원으로부터의 정보획득 여부에 계층 간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들이 부모를 포함한 각 정보자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영향력에는 계층 간 차이가 있는가? 이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 3학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해 수도권의 4년제 대학교 6개를 선정하여 2·3학년들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중 461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독립변인인 계층과 관련된 질문에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와, 다섯 문항 이상 응답하지 않았거나 혹은 중복으로 응답한 총 125부를 제외하고 336부의 설문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은 각 문제의 특성 및 연구의 적절성에 따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검정, 내재설계(nested design)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부모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의 양과 질에는 차이가 있다.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부모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양은 중·상층과 하층 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하층에 비해 중·상층의 부모들이 자녀의 대학선택과정에서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부모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의 질 역시 하층에 비해 중·상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선택과정에서 하층의 학생들이 중·상층의 학생들에 비해 부모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양이 부족하고 질이 낮은 상태로 대학을 선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각 사회계층 내에서 부모의 학벌에 따라 학생들의 대학선택과정에서 부모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양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예상과 달리, 계층 내에서 학벌은 독립적으로 부모가 제공하는 정보의 양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 이외 인적·비인적 자원으로부터의 정보획득 여부에는 계층 간 차이가 있다. 학생들이 부모 이외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인적·비인적 자원을 고등학교 교사, 친구, 고등학교 선배, 학원, 과외, 인터넷, 부모를 제외한 가족 및 친척으로 분류한 뒤, 이에 대해 각각 정보를 제공받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계층 간 정보획득 여부에 차이가 나타난 정보자원은 과외와 학원 그리고 부모 이외의 가족 및 친척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과외와 학원, 그리고 부모 이외의 가족 및 친척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은 빈도 모두 상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층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부모 이외의 일부 정보자원을 통한 정보접근여부는 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부모, 인터넷, 사교육기관, 그리고 부모 이외의 타인으로부터 제공받는 각 정보의 영향력은 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다. 부모가 제공한 정보의 영향력은 상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중층, 하층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계층이 높을수록 부모가 제공한 정보가 학생의 대학선택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교육으로 제공받은 정보의 영향력 역시 상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층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부모나 사교육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와 달리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은 정보와 부모 이외의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경우 계층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계층에 따라 다양한 정보자원들 중 어떤 자원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이 제공받은 정보의 영향력 순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계층에 따른 각 정보자원들의 영향력 순위에는 차이가 있었다. 계층이 높을수록 학생들은 다른 자원들에 비해 부모나 사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층의 학생들은 부모와 사교육보다, 인터넷이나 부모 이외의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부모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의 양과 질은 물론, 부모 이외의 정보자원들을 통한 정보획득 그리고 제공받은 정보들의 영향력에 있어서까지 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선택과정에서 계층에 따라 나타나는 학생들의 정보차이는 결국 계층에 따른 대학선택수준의 차이로 이어지고, 이는 대학교육의 성패에까지 이어진다. 결국, 대학선택과정에서 드러나는 계층 간 정보의 불평등은 교육 결과의 불평등을 야기하는 또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학생들에게 대학교육의 의미 8 1. 기능론적 관점에서 대학교육의 의미 8 2. 경쟁론적 관점에서 대학교육의 의미 9 B. 사회계층과 정보 불평등 11 1. 사회계층 결정요인 및 측정 11 2. 사회계층에 따른 정보 불평등 11 C. 대학선택 과정에 있어 정보의 중요성 14 D. 학생들의 대학선택 과정과 기준 17 1. 학생들의 대학선택 과정 17 2. 학생들의 대학선택 기준 18 E. 학생들의 대학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21 1. 학생의 개인적 요인 21 2. 외부적 요인 27 Ⅲ. 가설의 설정 32 Ⅳ. 연구방법 38 A. 연구대상 38 B. 연구절차 39 C. 설문지구성 41 1. 독립변수 41 2. 종속변수 43 D. 분석방법 49 Ⅳ. 연구결과 51 A.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51 1. 부모의 학력 51 2. 부모의 직업 52 3. 가정의 월 소득 53 4. 가정의 자산 보유량 53 5. 출신 고등학교 유형 54 6. 사회계층의 구성 55 B. 사회계층에 따라 부모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양 61 C. 사회계층에 따라 부모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질 70 D. 사회계층에 따라 부모 이외의 자원을 통한 정보 획득 72 E. 사회계층에 따라 대학을 선택할 때 제공받은 정보의 영향 78 Ⅵ. 결론과 논의 및 제언 85 A. 결론 85 1. 계층에 따라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부모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양과 질 85 2. 계층에 따라 부모 이외 인적비인적 자원으로부터의 정보획득 여부 86 3. 계층에 따라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제공받은 정보의 영향력 88 B. 논의 90 C. 제언 92 참고문헌 94 부록. 설문지 101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92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사회에서 사회계층에 따라 학생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제공받는 정보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ovided When Students Choose University by Social Status in Korea-
dc.creator.othernameSim, Ji Hye-
dc.format.pageviii,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