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안나-
dc.contributor.author김평화-
dc.creator김평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7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790-
dc.description.abstract학습동기는 학습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의적 변인들 가운데 하나이며, 개인이 가진 능력이 학습행동에 개입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정범모이성진, 1977). 학습동기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특히 부모에 의해 좌우되는 경향이 강하다. 부모의 양육활동 중 자녀교육과 관련되는 활동인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자녀의 인지적이고 정의적인 특성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자녀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Epstein, 1995). 특히 자녀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수단으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교육지원을 하고 있는 한국 부모들의 경우, 자녀 교육에 대한 영향력은 더욱 결정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부모의 교육 관여는 가정배경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경향으로 나타난다(Lareau, 1987; Keith and et al., 1993).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부모들은 생계와 관련된 현실적 어려움으로 자녀에게 교육적 지원을 하는 일이 결코 쉽지 않은 데에 비해, 사회경제적 배경이 높은 부모들은 가정 내의 인적, 경제적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자녀의 교육에 깊게 관여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곧, 하류계층의 부모들도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자원의 양과 질이 중 상류 계층 부모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여, 그 자녀들 간의 학업성취의 격차는 점점 확대된다. 교육적 자원의 양과 질의 격차는 학습자 개인의 정의적 영역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학생들은 가정의 경제적 조건에 따라 상이한 교육적 경험을 하게 되고, 원하는 만큼의 교육지원을 받지 못한 학생들은 부모의 형편에 맞게 교육적 포부를 접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되어주던 교육이 더 이상 가정배경의 변수를 제거하여 주지 못하게 되면서 학생들은 부모의 경제력에 맞추어 자포자기를 배우고, 배움과 멀어지는 내적 동기 약화로 이어지게 된다.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자녀의 학습동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학습동기 사이에 높은 상관이 있다는 결과를 밝혀왔다(Fan & Chen, 2001).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으며, 부모의 교육적 관여 행동도 양육태도에 관련된 것이 많았다. 그러나 한국에서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주로 학업성취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인 만큼,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고등학생이 된 자녀들의 학습동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가정배경에 의해 상층, 중층, 하층의 계층화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수준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분석해 봄으로서 사회계층에 따른 고등학생의 학습동기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계층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셋째, 사회계층에 따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사회계층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학습동기에 영향을 주는가? 이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일반계고등학교 5개교, 특성화 고등학교 2개교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02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가운데 90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문제의 적절성에 따라 t검정, F검 점, 일원분산분석(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사후비교분석(Scheffe), 내재설계(Nested Design), 위계적 중 다 회기 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계층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관여에 차이가 있었다. 정서적 관여, 시간정보적 관여, 금전적 관여 모두 사회계층이 상층일 때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중층, 하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간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관계수의 범위가 .20에서 .40사이에 분포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계층에 따른 학습동기에 차이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 학습동기 구인으로 설정한 학업적 자기효능 감과 성취목표 모두 사회계층이 상층일 때 학습동기 평균값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중층, 하층의 순서로 나타났다. 계층 간 유의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하층과 중층, 하층과 상 층 사 이 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상층과 중층 사이의 학습동기 평균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동일한 사회계층 내에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많은 집단과 교육적 관여가 적은 집단을 비교한 결과 사회계층 상층, 중층, 하층 모두 동일집단 내에서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많이 받은 학생의 학습동기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동기에 대한 가정배경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 다 회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 감은 가정배경 중 아버지의 최종학력에 영향을 받았으며, 부모의 교육적 관여 중에서 정서적 관여가 많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 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는 가정배경 중 가정의 총 소득에 영향을 받았고, 부모의 교육적 관여 중에서는 정서적 관여와 금전적 관여가 많을수록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계층 내에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많은 집단과 적은 집단을 내재설계를 통해 분석 한 결과, 사회계층 상층, 중층, 하층 모두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많은 집단이 높은 학습동기 수준을 나타내고,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적은 집단은 상대적으로 낮은 학습동기수준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정 배경의 영향과는 독립적으로 부모의 교육적 관여활동이 자녀의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힌 콜만(Coleman and et al., 1987)의 연구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위계적 중 다 회귀분석 결과를 통하여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에 대한 정서적 관여의 영향력이 학업적 자기효능 감과 성취목표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녀의 인지적 발달과 성장을 위해서는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부모의 교육적 관여행위가 교육적으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다면 자녀들의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 불평등을 일정 부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위계적 중 다 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 중 정서적 관여가 학업적 자기효능 감과 성취목표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다. 자녀의 인지적 발달과 성장을 위해 부모의 정서적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함 시사하고 있다.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부모의 정서적 관여의 중요성과 올바른 교육적 관여에 대한 부모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Student motivation is one of the affective factors in learning. It usually reflects student attitudes toward learning, and is a good indicator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 motivation to achieve positive academic outcomes. In particular, parents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students' motivation to achieve positive academic outcomes. This parents' practices of involvement in education are also very close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and have significant impacts to improve their children's motivation in academic success (Epstein, 1991). Korean parents' zeal for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s very well known.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take an investigation on this topic with the sample of Korean parents and students. Considerable research has suggested that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tends to echo family backgrounds (Lareau, 1987; Keith et al., 1993). Parents of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ES) are more involv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with enough human resources and economic resources comparing to those of lower SES. In other words, parents of low SES can't support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much as they want not because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but because they do not have enough resources to support it. This discrepancy of capable resources also influences individual's affective development. The discrepancy of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al resources affect students' affective development. Students tend to limit their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resources they can receive. Accordingly, those who do not have enough educational resources appear to be less motivated in academic achievement. The previou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is strongly correlated with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Fan & Chen, 2001). However, it has been studied mainly with the samp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ing itself rather than various aspects of par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Korean parents practices of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usually aims successful academic outcomes of their children. In this sense, it is worth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Korean parents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ir motivation for academic achievement. From this point of view, I propose in this paper to critically examine how family backgrounds - upper, middle, and lower socioeconomic status - influences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how this involvement affects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and if there is any dynamic interplay of the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ed: First, how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s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Second, how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affects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Third, if high school students' study motivation reflects their socioeconomic status. Lastly, if socioeconomic status makes discrepancy of high school students' study motivation, and if so, parent involvement in learning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those factors. This paper analyzes survey data on the research ques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5 general and 2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1020 surve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but 906 survey questionnaires of them were obtained in the analyses. T-test, F-test,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Nested Desig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data analyses. Results indicate that first, socioeconomic status makes differences in parent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Parents from households upper in socioeconomic status appear to be most involv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followed by parents of middle and lower socioeconomic status, respectively. This appears in various areas of involvement consisting of the emotional involvement, time-intelligence involvement and financial involvement. Second,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tudy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ll of parents emotional involvement, time-intelligence involvement and financial involvement show to affect study motivation. In particular, self efficacy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study motivation is most strongly influenced by parents involvement. Third, socioeconomic status makes differences in study motivation. The students of high SES have the highes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 These are followed by those of middle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respectively. Interestingly enoug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ddle and the low class are significant, and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class,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the middle class are not significant. Fourth, some of the association between students' motiva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is probably attributable to different levels of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tudy motivation even in the same social class depending on the involvement of the parents. In the case of students of a high SES, the students with parents involvement show high study motivation, and those without parent involvement present low study motivation. In addition, students of a middle SES appear to have higher study motivation with parents involvement than those of a high SES without parent involvement. Fifth, the student's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ppears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student's educational self-efficacy.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turn out to be higher as their father has a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becomes more affectively involved with them. Also, academic purpose is impacted by the family incomes. As parents are more affectively involved with their children, and financially more supportive, the children tend to have high academic goals. This study has provided evidence of the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the Nested Design, parent involvement is the most powerful factor that influences student's motivation for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parent involvement in education of their own children can be independent of parents' socioeconomic resources such as financial status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Therefore, educational policy and programs that make parents get involved in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re in needs, and it would ultimately mitigate educational inequality.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discrepancy of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according to the Nested Design, students of a low SES show high motivation in learning if their parents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children's education. If we do more research on this group of people, we can have more practically helpful guidance for those parents who have lack of educational resources to support their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용어 정리 3 Ⅱ. 이론적 배경 8 A. 사회계층과 한국사회의 대학교육열 8 1. 사회계층의 결정요인 8 2. 한국사회의 대학교육열과 부모의 성취압력 9 가. 한국사회의 대학교육열 9 나. 부모의 성취압력 10 B. 학습동기 12 1. 학습동기의 개념 12 2. 학습동기의 중요성 14 3. 학습동기의 구성요인 17 가. 학업적 자기효능감(acadimicself-efficacy) 17 나. 성취목표(achievement goal) 18 4.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특성 20 가. 연령별 특성 20 나. 성별특성 21 C. 학습동기 요인으로서의 부모의 교육적 관여 22 1. 부모의 교육적 관여에 대한 정의 22 가.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일반적 개념 22 나. 입시준비와 부모의 교육적 관여 27 2. 부모의 교육적 관여를 결정하는 요인 30 3.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학습동기의 관계 31 4. 사회계층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관여 33 Ⅲ. 연구가설 36 Ⅳ. 연구방법 40 A. 연구대상 40 B. 연구방법 41 C. 연구도구 42 1. 독립변인 43 2. 종속변인 46 D. 자료 분석 방법 48 Ⅴ. 연구결과 49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9 1. 부모의 학력 49 2. 부모의 직업 49 3. 가정의 월 소득 50 4. 사회계층의 구성 51 5. 부모의 교육적 관여 54 6. 학습동기 55 B. 사회계층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관여 56 C.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학습동기 59 D. 사회계층과 학습동기의 관계 62 E. 사회계층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64 Ⅴ. 결론 및 제언 80 A. 요약 및 결론 80 B. 논의 83 C. 제언 84 참고문헌 87 부록: 설문지 96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79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계층에 따른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Social Class and Par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Kim, Pyung-Hwa-
dc.format.pagevi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