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자-
dc.contributor.author김두용-
dc.creator김두용-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2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7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2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보고 학교현장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서지능 교육이 가장 필요한 유아기와 아동기의 경계선에 있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수원시 M초등학교 1개 반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여 10주에 걸쳐 36차시의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어과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은 어떻게 개발되는가? 둘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은 아동들의 정서지능(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셋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의 국어 학습 목표 이해 도달 정도는 어떠한가? 이다. 첫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의 개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여러 교과를 살펴본 결과 국어과가 정서지능의 구성요소를 내포한 언어 사용 목적과 학습 목표를 가장 많이 담고 있어, 국어 교과를 선택하여,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단원을 개발하였다. 정서지능 프로그램은 이미 개발, 보급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과 1학년 아동 수준에 맞는 활동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1학년 2학기 국어과 교육과정 및 단원을 분석하여 단원의 목표 및 성취기준을 정하고, 교과서에 실린 담화 글 및 문학 작품에서 정서지능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 잘 드러나 있지 않은 정서지능 구성요소가 차시 수업 목표에 잘 드러나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둘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 수업 후 정서지능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서지능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서지능 검사 결과가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WIN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종속 표본 t-tset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평균 비교를 하였다. 셋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국어과에 적용하였으므로 국어과 학습 목표 도달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당 단원의 영역별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수행평가 결과는 평가기준에 의해 상, 중, 하로 평가하였으며, 해당 영역의 학생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상 수준에 해당되는 학생들의 완전 학습 도달 정도를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을 개발하여 수업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정서지능이 향상되었다. 정서지능의 구성요소인 정서인식 능력, 정서표현 능력, 감정이입 능력, 정서조절 능력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전체적으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말하기와 쓰기의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연습을 통해 교실 안에서 매일 빈번하게 일어나던 싸움이 줄어들었으며, 특히 매시간 친구와 다투던 아동 2명은 친구를 돕는 아동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을 개발하여 수업을 실시한 결과 수행평가에서 83%에 해당하는 아동들이 상 수준에 해당되어 국어과 학습목표의 높은 이해에 도달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듣기 태도가 우수해졌으며, 말하기 영역에서 자기표현을 정확하게 하며, 발표의 횟수가 증가하였다. 읽기 영역에서는 글을 읽는 독해력과 주인공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쓰기 영역에서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이 잘 드러나는 글을 쓰는 면이 향상되었다. 아동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두려움이 없어졌으며,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태도가 확연하게 좋아졌다. 국어과 교육과정 안에서 정서와 관련된 언어사용 목적과 수업 목표를 포함한 단원을 찾아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아동들의 정서지능이 향상되었으며, 국어과 학업 성취에서 학습 목표 도달에 높은 이해를 보였다. 그러므로 국어과를 활용하여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개발하고 실행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라 하겠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단기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므로 학교 교육과정 안에 완전히 통합되어, 한 학년, 더 나아가서는 전 학년에 걸쳐 개발·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정서교육을 받는 교육기간에 따라 정서지능의 발달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추적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미국에서는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하나의 독립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학교도 있지만 학기당 이수과목이 10개에 이르고, 현재 교과목 수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새로운 교과로 도입하기 보다는 본 연구와 같이 교과에 통합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에서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개발·적용하였다면 후속 연구로는 다른 교과에서 정서지능 구성요소를 찾아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 개발하는 확대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학업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정서지능 검사에서 사전과 사후에 점수의 향상이 높았던 아동들에 대해 질적인 연구를 통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향상의 주된 요인을 찾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정서지능 검사에서 점수가 낮았던 아동들에게서 결핍되었던 정서지능 구성요소에 대한 원인을 찾아 분석하여, 가정과의 연계교육, 학부모 교육을 실시한 후에 아동들의 정서지능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추적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at the school by reviewing the effect that appli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in th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mplement the study the subjects were set up as one class of the first graders in “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uwon city of Kyonggi Province who are in the dividing line between babyhood and childhood since the shaping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a most necessary education for them. This study was proceeded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applic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for 36 times in ten weeks. The them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firstly, “how to develop each unit of Korean language subject with applic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in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secondly, “ whether this developed unit of Korean language subject is really effective on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in terms of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lastly, “how the achievement level of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subject with this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is .” The development process of each unit of Korean language subject with this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is as follows. The reason why Korean language subject is selected among all other subjects for this study is because it involves the object and studying of language usage with elemen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most therefore each unit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class was prepared and develop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The object and achievement level of each unit was set by analyzing its own unit an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ubject and was highlighted by analyzing the elemen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 Korean literatures in the text book. The curriculum and activities on the basis of developed and disseminated precedent study were chosen, which were believed to be suitable for the first graders in general. In order to verify the change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pre-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with examin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each lesson for the unit of Korean language subject. For the degree of accuracy, pre and post mean comparis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t-test value for 0.05 level of significance using SPSS/WIN12.0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attainment of the object of lesson, the examination sheets for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for the subject in each unit were prepared and pre and post mean comparison was implemented after lessons. The result of achievement level was on the basis of scores of the tests and it was reviewed the average mark, standard deviation and in what range each sector of the scores falling. Furthermore, the performance appraisals by each unit and section of the subject were practiced. Summarizing of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program in the lesson of each unit of Korean language subjec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was improved. In other words, all of the constitu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improved and showed a statistical correlation. Overall, students became more likely to listen to others and made remarkable progress in the speaking and writing ability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Through the exercise of putting themselves in other people’s point of view and control the emotions, the frequent conflicts among students in the classroom were reduced, and as a good example, two students in particular who always quarrel with others became very helpful to their friend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reached the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lesson where 80% of students got a score of 90 or above and 94% of students got a score of 90 or above. In the performance appraisals, 83% of students belonged to the high ranks and reached the high level of understanding the lesson as well. Furthermore, the students not only paid more attention and participated actively in class but also expressed themselves very clearly with their opinions In terms of reading ability, understanding the emotions of main character was improved in stories and for the writing ability, the exposure of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in the writing was progressed. The students can express their own emotions without any fear and the healthy attitudes towards listening to others were settle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in search for the unit including the object of the language usage and lessons related to the emotions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ubject, and the students reached the high level of understanding both the lesson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implementing and develop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ubject is effectively meaningful. For the further research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due to the short term applic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his program in the current curriculums of schools for the whole year or even the whole grades. To do so, further study on effectiveness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 periods is to be required Second, in reality, we try to reduce the subject numbers in schools since there are about 10 subjects to take in each semester. Therefore, unlike the US education system whe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is taught as individual subject in some schools, Korean schools should combine this program into the current curriculum of subjects. In this study,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and the Korean language were combined into one subject and developed and applied to its curriculum. For the future study, it is essential to find the elemen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 other subjects so that this program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other subjects as well. It is necessary for further research to examine ha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can have a effective result of improvement in study. Third, it is very important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auses and factors of those students whose test scores were improved a lot in the pre and post emotional intelligence test for the future study. Lastly, analyzing the lack of elements in emotional intelligence for those students whose test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were low and investigating their causes and factors are essential. Study on the changes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home teaching and educating parents is a required necessity for the future research to be develo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정서지능 6 B. 국어과 교육과정 29 Ⅲ. 연구방법 42 A. 연구대상 42 B. 연구 설계 및 절차 42 C. 연구도구 및 자료 분석 45 Ⅳ.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단원의 실제 및 결과 50 A. 1학년 2학기 국어과 정서지능 프로그램 적용 단원 분석 50 B.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어과 단원의 실제 59 C.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국어과 단원의 적용 결과 71 Ⅴ. 결론 및 제언 77 A. 결론 77 B. 제언 79 참고문헌 80 부록 83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58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한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국어과 단원 설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lanning of Language units appli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dc.creator.othernameKim, Doo Yong-
dc.format.pagex,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