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다의어 '가다' 의미 습득 양상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다의어 '가다' 의미 습득 양상
Other Titles
Acquisition of meanings of the polysemy ‘Ka-ta’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Authors
정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다의어 ‘가다’를 습득하고 있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Ⅰ장에서 연구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습득한 ‘가다’ 의미의 범위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습득한 ‘가다’ 의미의 범위와 일치하는가,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가다’ 의미 습득 양상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가,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가다’ 의미 습득 양상에 모국어 전이가 나타나는가이다. 이어서 Ⅱ장에서는 어휘 의미 습득, 어휘 의미 확장, ‘가다’의 의미로 나누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생산 가능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가다’를 포함한 문장을 연상하는 검사, 이해 가능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가다’가 포함된 문장이 자연스러운지 판단하는 검사를 개발하였다. 검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13개 대학 및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 중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습득한 ‘가다’ 의미의 범위는 원형 의미에 편중되어 있어 한국어 모어 화자가 습득한 다양한 의미 범위와 일치하지 않았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가다’ 의미 습득 양상에 숙달도 변인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가다’ 의미 습득 양상에 모국어 전이가 나타났다. 요컨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모국어에 기대어 ‘가다’의 의미를 습득하며, ‘가다’의 원형 의미는 습득하였으나 다양한 확장 의미들은 습득을 완료하지 못했는데, 이는 중급 학습자뿐 아니라 고급 학습자도 마찬가지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계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학습자의 다의어 습득 양상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다의어의 원형 의미뿐 아니라 확장 의미를 교수하고 학습할 필요성이 있으며, 여기에 고급 학습자도 예외가 아님을 시사하였다.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확장 의미 범주별 습득 양상이나 습득 순서에 관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acquire more than one meaning of the polysemy ‘Ka-ta’. Chapter I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established the issues that this study would explore by reviewing preliminary studies. The issues are whether the range of meanings of ‘Ka-ta’ acquir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match the range of meanings of ‘Ka-ta’ acquired by Korean native speakers, whether there are proficiency differences in the Chinese learners’ range of meanings of ‘Ka-ta’ and whether they show L1 transfer in the acquisition of meanings of ‘Ka-ta’. Chapter Ⅱ surveyed theoretical backgrounds from three points of view; acquisition of the meanings of words, the extension of meanings of words, and the meanings of ‘Ka-ta’. Chapter Ⅲ developed two tests; a test on the association of sentences which include ‘Ka-ta’ with the aim of grasping the meanings that may be possibly produced and another test on naturalness of sentences which include ‘Ka-ta’ with the aim of grasping the meanings that may possibly be understood. Th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0 native Korean speaker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40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13 Korean colleges and Korean teaching institutes in colleges in the area. Among them, 20 were intermediate learners and the rest were advanced learners. Chapter Ⅳ presented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tests. First, the range of meanings that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acquired was very limited to the prototypical meaning and so was not comparable to the wider range of meanings that the native Korean speakers acquired. Second, there were few proficiency differences in the Chinese learners’ range of meanings of ‘Ka-ta’. Third,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showed L1 transfer in the acquisition of meanings of ‘Ka-ta’. In short, they acquired the meanings of the word relying on their mother tongue and they did not acquire completely the extended meanings of the word even after acquiring its prototypical meaning, regardless of whether the learners were intermediate or advanced. Finally, Chapter V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bringing to light how learners of Korean acquire meanings of polysemy, a topic of study that Korean education circles have not thought highly of. It suggests the need to teach and learn not only polysemys’ prototypical meanings but also their extended meanings, from which advanced learners are not exempted. Further studies on categorical acquisition of extended meanings and orders of acquisition of the meanings, which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