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효-
dc.contributor.author김신래-
dc.creator김신래-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봉사활동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관련 이론들을 고찰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봉사활동의 교육적 관련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으로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이 봉사활동 참여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징들은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발달에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명확히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후속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만 4, 5세 수업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만 4, 5세 수업에서의 봉사활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에 영향을 주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혼합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어질 질적 연구방법에서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내 소재 E 초등학교 1학년 아동 8명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연구의 확장을 위해 선택한 양적 연구방법에서의 연구 참여자는 동일한 E 초등학교에 다니는 1학년 4개 학급 남, 여학생 90명으로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발달을 조사하였다. 양적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90명 중에서 30명은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집단, 나머지 60명은 봉사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이다. 질적 연구방법에서의 연구 참여자 8명의 학생은 양적연구에서의 참여집단 30명 중에 포함되어있음을 밝힌다. 연구기간은 2009년 6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질적 자료 수집 방법은 참여 관찰과 함께 연구자의 필드노트, 연구자 저널을 동시에 사용하였고,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사· 학부모 · 학생 면담, 학생의 봉사일기, 새소식 발표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모든 자료는 전사되었고, 전사된 자료는 질적분석 프로그램인 QSR사의 NVivo8을 사용하여 부호화(coding)하여 분석하였다. 양적 자료 수집 방법은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측정도구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면 첫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봉사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봉사자로서의 역할지각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아동은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관심, 배려, 공감, 그리고 책임감을 배우게 되었다. 봉사활동에서 다양한 문제 상황을 경험하면서 봉사활동 당시에는 어려워서 해결하지 못하고 당황했던 부분을 반성의 시간을 통해서 해결 방안을 생각해 보고 다짐해 보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점차 봉사자로서의 역할지각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1학년 아동은 이러한 역할지각 인식의 과정에서 5개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징과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봉사활동 과정에서 아동은 상대유아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5가지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형님답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 자신의 역할에 책임감 있는 모습, 상대 유아를 배려하는 모습, 조력하는 모습, 상호 호혜적인 모습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특징은 아동이 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봉사자로서의 역할인식 변화 과정을 경험하는 가운데 추출되었다. 발달 특성상 1학년 아동은 자기중심적 역할 채택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지만 자신과 타인의 입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없다. 그러므로 봉사활동 과정에서 아동 스스로 봉사자로서의 역할인식이 변화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5가지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이 나타나게 된 것은 봉사활동 참여가 아동의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성숙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 특징은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의 구성요소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봉사활동 경험을 통해 개인의 변화와 성장되어지는 특징은 대체로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구성요소와도 관련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봉사활동 경험이 아동의 개인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으로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아동의 성별과 형제유무에 따라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발달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관해 차이 검증을 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적용된 주요 통계방법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으로 독립변수를 봉사활동에 참여한 참여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종속변수를 각각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량 점수로 두고 시행하였다. 먼저 봉사활동을 통한 아동의 사회적 기술 유의도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검사를 실시하였다.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봉사활동을 통한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한편, 성별과 형제유무에 따라 사회적 기술 발달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관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검정을 실시한 결과, 먼저 성별의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사회적 기술 검사의 변화량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참여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집단에서 성별을 비교해본 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른 사회적 기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자기통제 요소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협동성, 주장성, 감정이입 요소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감정이입 요소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타인에 대한 관심이나 공감이 더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형제유무의 결과를 살펴보면, 형제유무에 따른 사회적 기술 검사의 변화량 점수 또한 통제집단보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참여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참여집단에서의 형제유무를 비교해보면 외동아보다 형제아의 사회적 기술 점수가 높게 나타났지만, 집단간의 형제유무 점수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형제아의 경우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의 차가 .87인 반면에 외동아의 경우 참여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의 차가 3.26으로 봉사활동에 참여한 외동아의 사회적 기술 점수가 형제아의 사회적 기술 점수 보다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형제가 없는 아동에게 봉사활동은 ‘가정에서의 형제간 상호작용’ 대신 ‘유아간의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아동에게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이익을 얻게 해줄 수 있는 활동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아동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 개인의 변화와 성장되어지는 특징은 대체로 아동의 리더십의 구성요소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봉사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아동의 리더십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검정 결과, 참여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량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성별에서 또한 참여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량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리더십의 구성요소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반성적 고찰과 도전 의식의 특성을 가지는 재창조 능력 요소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에게 관심을 갖고 배려와 존중의 자세를 경험할 수 있는 봉사활동의 성격이 아동의 반성적 사고와 도전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형제유무의 결과를 살펴보면, 형제유무에 따른 리더십 검사의 변화량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참여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외동아의 경우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 점수가 현저히 감소한 것에 비해 참여집단의 변화량 점수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리더십의 구성요소에 따라 살펴보면 외동아의 경우 재창조와 인간관계 능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리더십은 목표달성, 재창조, 통솔력, 인간관계, 목적의식 5개 하위범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집단간 성별과 집단간 형제유무를 비교해본 결과, 집단간 형제유무에서 재창조, 인간관계 두 가지 요소에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리더십에서의 재창조는 자신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지식에 대한 탐구가 포함된 요소이고 인간관계는 역지사지 능력과 도덕성, 사교성 등이 포함된 요소로서 형제가 없는 외동아가 봉사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반성적 사고와 반복되는 상호작용 경험으로부터 타인에게 도움을 주고 어린 동생들을 돌봄으로써 성숙한 조망능력, 정서적 이해, 타협과 화해하는 능력 및 보다 성숙한 형태의 도덕적 추론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봉사활동은 외동아에게 형제관계 경험 결여를 보완해주고, 아동 개인의 성장을 위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적 관점에서 집중적이고 전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1학년 아동발달 단계를 고려한 인성교육을 함양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1학년 아동의 흥미를 고려하여 아동이 자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봉사활동에 대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여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재미있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봉사활동 과정에서 이뤄지는 봉사일기와 활동지를 통해서 아동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변화되고, 아동이 경험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아동이 봉사자로서의 인식 변화과정에서 아동 개인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이렇게 변화된 태도는 주변 또래 아동 혹은 주변 환경에 어떻게 전이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반성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자료가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봉사활동을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교과내용을 습득하는 동시에 봉사활동이 갖는 취지를 살려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학년 아동은 발달 특성상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아동 스스로 계획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봉사활동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봉사활동 참여 후에 봉사활동을 통해 느낀점을 공유할 수 있는 활동 방안을 고안해야 한다. 셋째, 자조능력이 떨어지는 1학년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발달을 위해서 봉사활동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야 한다. 봉사활동은 다양한 활동을 학생들에게 제공해 주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타인을 이해하고 공유하며, 책임감을 형성하고 타인과 협력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봉사활동의 필요성은 아동의 인성함양, 사회적 성숙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는 근거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이를 위해 교육 전문가 혹은 학교 행정가의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교육, 행정가 교육도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봉사활동은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 발달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동의 봉사활동 프로그램 강화와 이에 따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This study reviewed relative theorie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ervice activities and approached with a case study on a service activity program to explore its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research will give implications to further research by clear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children's social and leadership development through grade on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service activities, which theoretically, has not been studied in previous research. With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experience does grade one elementary school students(G1-ESSs), who participated in service activitie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have? 2. Does the service activities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effect G1-ESSs' sociality and leadership? This study proceeded in a mixed research method.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was mostly used in this study, selected 8 children at 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s research participant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90(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four classrooms at the same school also participated to examine the social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Within the 90 participants, 30 students participated in service activities as a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60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not participating in any service activities. The 8 participants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were also included in the experiment group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earch period was held from June, 2009 to February 2010. Th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 field notes, and journals of the researcher. To increase the validity, data were also collected from teacher, parents and student interview, student's journal of service activities and presentation materials etc. The collected data were all transcribed, and the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and coded by a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NVivo8 from QSR.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 was proceeded in two steps of pre-to-post examination, to test the effects of grade one elementary students' sociality and leadership.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sed by SSPS 19.0, through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1-ESSs experienced a change of role perception as a server through the process of service activities. G1-ESS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learned responsibility, consideration, solicitude, and sympathy. Through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they confronted various shameful problems that could not be solved during the service activities however, had time to think of solutions through the time for self-reflection and gradually affect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ir role as a server. The role perception changing process within grade one elementary students were shown to have a relationship with five subcategories of social interactions. The five subcategories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G1-ESSs and primary children were; effort to act as an 'elder brother', responsibility for their role, consideration towards primary children, showing assistance and gaining mutual benefits. These subcategories of social interactions were extracted through the children's experience in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role as a server. According to G1-ESSs' developmental stage, they gradually overcome to be self-centered however, cannot consider one's self and others simultaneously. This study gives implications by proving that children can change their role perception through experiencing service activities and socially develop through social interaction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actions had relevance with the components of sociality and leadership. Social services affecting the student's personal growth were analyzed by verifying the difference on how the service activities affected social skills and leadership development, and on how the results of social skills and leadership development was affected by children's gender and the number of siblings. For this analysis,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as used o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service activitie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on the experiment group who did participate in service activities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One-way ANOVA was hel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students' social skills development through service activities.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have shown that the service activities affected social skills positively howe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statistically. On the other hand, two-way ANOVA was held to examine how the gender and the presence of siblings effect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For the gender, the score of social skills test was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ithin the experiment group,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male students. By examining the sub components of social skills, the self-control factor scored higher in males, and for the factors of collaboration, self-assertion, and empathy, females scored higher than male student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female students show more concern and sympathy towards others than male students. The social skills test on the presence of siblings also resulted as the experiment group scoring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ithin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who have siblings scored higher than students who were the only child. However, by comparing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87 among students who have siblings, but among students who are the only child showed a difference of 3.26. The social skill test score of the only child's has shown a big difference than the students who have siblings. Thus, to students who do not have siblings can experience 'interactions with primary children' instead of 'interactions with siblings' through the service activity, resulting the students to gain social and emotional benefits.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interacting with children were mostly related with the subcategories of student leadership. The result of one-way ANOVA,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social leadership through service activities, came out as the experiment group's pre-to-post test score showing relative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by examining how the subcategories of leadership were affected, the reinventing ability factor consisting the characteristics of self-reflection and challenge had a positive effect among male studen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service activities which, helps to show concern and respect to others, have positively affected the student's self-reflection and the challenging spirit. The leadership test on the presence of siblings resulted as the experiment group scoring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tudent's who are the only child, the pre-to-post test score in the control group has decreased whereas the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has increased. To examine the subcategories of leadership from these results, student's with no siblings were positively affected in reinvention and human relationship ability. Leadership consists of five subcategories; goal achievement, reinventing ability, command, human relationship, and sense of purpose. By comparing the two different groups, significance only showed in the subcategories of reinventing 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among the sibling present group. Reinvention in leadership consists of self-reflection and seeking for knew knowledge, whereas human relationship consists of putting one's self in another shoe, morality, and sociality. Self-reflection, helping others and taking care of younger children deriving from the interactions of service activities experience among student's with no siblings, can be interpreted as giving positive effects in the abilities to view the whole, understand emotionally, compromise, reconciliate and for moral reasoning. Thus, service activities can suggest its necessity to supplement the lack of sibling interactions among children who are the only chi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정의 5 II. 이론적 배경 8 A. 봉사와 학습 8 1. 봉사활동과 봉사학습 8 2. 학교교육과정의 봉사활동 23 B. 아동의 사회적 성숙과 리더십 발달 34 1. 사회적 성숙 34 2. 아동의 리더십 45 3. 사회적 성숙과 아동의 리더십과의 관계 54 III. 연구 방법 58 A. 연구방법의 배경 58 B. 연구의 설계 61 1. 연구 참여자 선정 62 2. 자료수집 방법 및 분석 자료 63 3. 연구 절차 64 C. 연구 맥락과 연구자 66 1. 연구장소 맥락 66 2. 프로그램 맥락 70 3. 연구자 82 4. 연구 참여자 83 D. 자료 수집 86 1. 질적 자료수집 86 2. 양적 자료수집 91 E. 자료처리 및 분석 96 F. 연구의 진실성을 위한 노력 99 Ⅳ.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봉사활동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에 대한 분석 101 A. 유아교육기관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경험 101 1. 봉사활동 참여 과정에서 봉사자로서의 역할지각 변화 101 2. 역할인식 변화 단계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징 111 B.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봉사활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144 1. 봉사활동이 집단의 성별과 형제유무에 따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144 2. 봉사활동이 집단의 성별과 형제유무에 따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153 Ⅴ. 요약 및 결론 160 A. 요약 160 B. 결론 및 논의 164 참고문헌 169 부록 178 ABSTRACT 1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82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봉사활동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Grade O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rvice Activities Experience at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dc.creator.othernameKim, Shin Rae-
dc.format.pagexi, 19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