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효-
dc.contributor.author이해지-
dc.creator이해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0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8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6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8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탐구이다. 교사에 의해 시도되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할 때, 교사의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이해에 어떠한 변화의 양상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어떤 어려움과 성장이 보이는지 탐색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기독교학교 역사의 선두에 있는 한 초등학교의 4학년 교사들이 기독교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질적 사례 연구로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해가는 과정에 대한 충실한 추적을 보여줌으로써, 같은 신념을 가진 기독교학교와 기독 교사들에게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안목과 과제, 그리고 교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이해 과정은 어떠한가? 2.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는 어떤 어려움과 성장을 경험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09년 3월부터 2010년 11월까지로 집중적인 자료수집은 2009년 8월부터 2010년 3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E초등학교 4학년 교사들이 협력적으로 시도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를 하나의 사례로 보고, 그 사례에서 나타나는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 보이는 교사의 변화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성장의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였기에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E초등학교에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하는 4학년 교사 5명이다. E초등학교 4학년 교사들은 2008년 1월에서 2010년 2월까지 2년 2개월 동안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모두 5명의 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 중에서 2명(J교사, L교사)은 2년 2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나머지 3명(P교사, B교사, K교사)은 각각 1년씩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사들이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협력적으로 재구성해가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주로 교사 회의를 녹취하는 것으로 이루어졌고, 교육과정 재구성과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과 느낌 등을 이해하기 위해 재구성한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저널과 반 구조화된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문서화된 기독교 교육과정 자료와 재구성 단원에 대한 아동의 이해를 수집하고자 설문지를 수집함으로써 자료수집의 다각화를 기하였다. 자료 분석은 문서화한 자료를 읽고 지속적 비교분석과 부호화를 통해 분석의 범주를 창출하고, 유목화를 통해 범주를 확립하고, 범주들의 상관관계를 살펴서 나타나는 주제들로 의미를 도출하는 귀납법적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이해 과정은 어떠한가?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이해는 ‘양립적 통합’ 단계, ‘변혁적 통합’ 단계, ‘포괄적 통합’ 단계를 거치며 심화되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이 교과지식과 관련한 교사 가치관의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해석된다.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초기에는 교사들이 기독교 세계관과 학교 교육과정이라는 별개의 것을 통합해야 하는 것으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재구성된 기독교 교육과정을 보아도 기독교 세계관과 학교 교육과정을 통합시킬 수 있는 연결점을 찾는 실행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그 후 학교 교육과정에 내재한 기독교 세계관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기독교 세계관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조망해야 하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 즉 교과지식에 대한 교사들의 이원론적인 인식이 있었다. 그러나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 인식의 이러한 획기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에서는 기독교 세계관으로 차 시 목표를 조망하는 것으로 접근함으로써, 단원의 핵심개념과 하위개념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탐색 시도가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는 실행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도기적 단계를 지나, 교사들은 교과지식과 관련한 성경지식을 참고하면서 교과지식에 내재한 기독교적 성격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런 교과지식에 대한 재해석은 재구성 단원의 양적 확대와 함께 단원 내 주제(theme)에 대한 재해석이나 다른 생활 장면에 대한 통찰과 같은 포괄적인 확대실행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2.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는 어떤 어려움과 성장을 경험하는가? 교사는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기독교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식기반 성장과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적인 성장을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위요소로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식기반에는 성경지식 관련 성장과 교과지식 관련 성장이 있었고,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적인 성장에는 이원론적인 사고 관련 성장과 가치 내면화 관련 도전이 있었다. 이와 같은 교사의 성장은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지식기반과 기독교 교육과정과 관련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에 대한 어려움을 통한 것이었다.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문제로 머물지 않고, 함께 논의하는 교사 협의 공동체와 그 과정에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실행을 돌아보는 교사의 성찰을 통해, 더 나은 대안을 낳는 출발점이 되었던 것이다.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보이는 교사의 성장을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경지식 관련 성장이란 성경지식 관련 어려움과 관련된다.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하는 교사들은 성경 일화와 말씀의 배경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도 하고 이미 알고 있는 말씀이라고 할지라도 그에 대한 이해가 실천적이지 못해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직접 활용하지 못하는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어려움은 교과지식과 관련한 성경지식을 정리해 놓은 자료를 사용하면서, 교과지식에 내재한 기독교 세계관을 명시적으로 드러내어 교과지식을 기독교 세계관으로 재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수집한 성경지식을 실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독교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식기반으로서 성경지식 관련 성장의 양상을 보인 것이다. 교과지식 관련 성장이란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다. 교사들은 주제(theme) 및 교과지식과 관련한 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인지적으로는 알고 있었으나, 그 취지를 수업에서 구현해낼 수 있는 실천적 지식으로는 갖고 있지 못한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단원의 주제(theme)와 교과지식에 내재한 기독교 세계관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원의 교과지식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학교 교육과정 상에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낱낱의 지식을 주제 중심의 내용지식으로 수정하거나, 필요한 경우 내용지식의 구조가 되는 주제를 조정할 수 있을 정도의 실천적 지식을 습득해간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인 주제(theme)와 교과지식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단원의 주제를 살린 보다 완성도 있는 주제(theme)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을 실행함으로써, 기독교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식기반으로서 교과지식 관련 성장을 보인 것이다. 이원론적인 사고 관련 성장이란 특별 계 시적인 성경내용을 수업 시간에 명시적으로 다루는 여부와 빈도, 시기에 대한 것과, 성경에서 직접 다루지 않는 교과지식들의 재구성 방식 등과 같은 어려움과 관련한다. 기독교 교육과정 이론을 접하고 실제 재구성해보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교과지식에 내재한 기독교 세계관을 드러내어 교과지식을 재해석하는 것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이해가 바뀌면서, 성경내용 자체에 대한 언급 여부와 빈도보다는 교과지식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재해석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중요함을 자각하게 되었다. 아울러 성경에서 직접 다루지 않는 내용들도 그 주제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즉, 교사들은 교과지식이 갖고 있는 가치중립적인 문제점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교사 인식의 중요성을 발견함으로써, 이원론적인 사고 관련 성장을 보인 것이다. 가치 내면화 관련 도전은 재구성한 교육과정 내용에 깃든 기독교적 가치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이해가 인지적 수준을 넘어 정의적, 실천적 수준의 지식까지 확장되기에는 제한을 갖고 있는 어려움과 관련한다. 이것은 기독교 교육과정이 가치를 다루는 교육과정으로서, 문서상의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접근을 통해서 대안을 찾기에는 극히 제한된 측면을 갖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통해서까지 기독교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교사는 교과지식에 대한 이원론적 사고를 꿰뚫는 예리한 분별로 꾸준히 시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보인다. 이상 정리한 교사의 성장은, 교사 공동 협의에서 일어나는 교사의 인식과 실행을 거치는 교사의 성찰에 의한 것이었다. 교사들은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 모색을 위하여 지속적인 협의를 했는데, 그 과정에서 기독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을 확인, 수정해감으로써,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식기반 성장과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적인 성장을 경험한 것이다. 이상의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과지식에 대한 교사의 세계관에 변화가 일어나는 과정이었으며, 세계관 변화의 계기에는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들이 경험했던 어려움들 중, 교과지식에 대한 이원론적 사고와 관련되어 있었다. E초등학교 4학년에서 시도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이해는 ‘양립적 통합’ 단계, ‘변혁적 통합’ 단계, ‘포괄적 통합’ 단계를 거치며 심화되어 갔다. 이는 기독교 세계관과 학교 교육과정이라는 별개의 것을 ‘통합’하는 것이라는 인식에서, 점차 교과지식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재해석’이라는 인식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변화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것은 기독교 세계관과 학교 교육과정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서, 기독교 세계관을 ‘학교 교육과정과 통합해야 할 별개의 것’으로 보느냐, ‘학교교육과정을 재해석하는 틀’로 보느냐에 대한 세계관과 관련한다. 즉,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과지식에 대한 교사의 세계관, 즉 교과지식에 대한 교사의 이원론적 사고와 관계한 것임을 나타낸다 하겠다. 실제로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들 중 이원론적 사고와 관련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E초등학교 교사들은 교과시간에 ‘하나님’, ‘창조’, ‘말씀’ 등과 같은 성경내용 자체를 ‘언급할 수 있는 것인가’, 언급한다고 하면,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언제’ 언급해야 하는 지에 대한 질문들을 가졌다. 그리고 ‘용돈 기입장의 사용’,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등과 같이 성경에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은 교과지식의 재구성 방식에 대해 어려워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대안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교과지식에 대한 이원론적 사고의 자각을 통하여, 교사들은 성경내용 자체에 대한 언급 여부와 빈도보다는 교과지식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재해석과 관련한 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는 자각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교과지식에 내재한 기독교 세계관을 교사가 인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재구성된 교육과정 문서의 매 차 시에 성경 관련 내용을 명시적으로 기술하게 되었다. 아울러 성경에서 직접 다루지 않는 내용들도 그 주제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으로 재해석하여 문서로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에 따라 교사들은 교과와 관련한 성경내용 자체에 대한 명시적 언급의 여부와 빈도, 시기 등에 대한 고민과 같은 이원론적 사고를 넘어, 교과지식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통찰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과지식을 기독교 세계관으로 재해석해내는 것은 교과지식에 대한 교사의 이원론적 사고에 대한 자각을 계기로 하는데, 이원론적 사고를 극복하는 과정은 일회적인 자각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친 교사 공동 협의 과정에서 수 차례의 자각과 반성에 의한 것이었으며, 연구 종료 시점에서도 완성되었다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점검되어져야 하는 작업으로 보인다. 연구 초기, 교사들은 교과지식의 근원이 하나님께서 만드신 창조세계에 있다(de Jong, 1969; Hoffecker, 1986)는 전제에 대한 확인으로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양립적 통합’ 단계나 ‘변혁적 통합’ 단계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세계관과 학교 교육과정을 통합해야 할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포괄적 통합’ 단계에 이르러야 비로소, 기독교 세계관으로 재해석된 교육과정이 나왔다. 완전하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이원론적 사고에서 벗어난 교사의 인식이 발견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있기까지 이원론적인 사고에 대한 자각은 수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를 시작하는 시점, ‘양립적 통합’ 단계에서 재구성된 문서에 대한 평가, van Brummelen 모형의 활용, ‘변혁적 통합’ 단계에서 재구성된 문서 평가 등을 거치면서, 교사들은 끊임없이 교과지식에 대한 이원론적 사고와 씨름을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마지막 ‘포괄적 통합’ 단계에서도 ‘가치 내면화’와 관련하여 여전히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견고한 진을 파는 것’과 같았던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을 거쳐, 교사들이 발견한 것은 교육과정 재구성에 있어 중요한 것은, 성경내용을 명시적으로 ‘다룰 것이냐’, ‘얼마나 자주 다룰 것이냐’에 대한 결정보다, 교과지식을 이원론적 사고가 아닌 기독교 세계관으로 보고자 하는 ‘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는 자각이었다. 셋째,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교육과정 전달자로서만이 아니라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한 전문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즉,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성경지식 미흡,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 교과지식의 가치중립성 등과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탐색 과정에서, 성경지식 관련 성장, 교과지식 관련 성장, 이원론적 사고 관련 성장과 같은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성장의 양상을 보인 것이다.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는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지식기반으로서의 성경지식 및 교과지식에 대한 어려움과 기독교 교육과정과 관련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으로서의 이원론적인 사고 등을 경험하였다.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문제로 머물지 않고,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식기반과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적인 성장이라는 교사의 성장을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그 성장의 요인에는 함께 논의해가는 교사 협의 공동체와 그 과정에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실행을 돌아보는 교사의 성찰이 있었다. 즉,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은 기독교 신앙이나 교직 생활을 통해 축적된 신앙이나 교과 관련 경험과 지식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다시 말해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 신앙의 연륜이 높다거나 교직 경험이 길다고 해서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동적으로 협의하는 교직 문화에서 교사 개개인이 교육과정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을 반성, 수정해가는 일련의 과정이었다. 그 결과, 성경지식을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실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인 주제(theme)와 교과지식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단원의 주제를 살린 보다 완성도 있는 주제(theme)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 전문성을 보였던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론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기독교적 가치 구현을 도모하는 교사를 위한 지원요소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성경 자체나 특별 계시적인 내용이 명시적으로 다루어지는 자료 뿐 아니라, 기독교 세계관이 내재적으로 포함된 자료들도 활용할 수 있는 분별력을 교사들이 갖게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성경 자체나 특별 계시적인 내용이 명시적으로 다루어지지 않는 자료라 할지라도, 하나님의 일반 계시가 인간의 이성을 통하여 왜곡되지 않고 충실하게 정리된 자료들은, 오히려 교과지식에 내재한 기독교 세계관을 충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들이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할 때 기존의 모형을 변형하여 단위 학교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사례에서 사용된 BWI 모형이나 van Brummelen의 모형은 북미에서 제안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들로서, 문화가 다른 우리나라에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제한 점들을 갖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모형을 참고하지 않고 처음부터 또 다른 재구성 절차를 개발하여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작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우선적으로 두 가지 모형이 갖고 있는 강점들을 활용하여 시도하는 과정에서 기독교학교나 상황에 적합한 절차들을 변형하여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원하는 교사 교육의 내용적 측면은 교사의 교과지식에 대한 이원론적 사고 자각과 교과지식의 성경적 특징 발견, 그리고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실제 활용될 수 있는 교과내용 관련 성경지식 등을 지원해줄 수 있는 방향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겠다. 왜냐하면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해, 단순히 기독교 세계관과 학교 교육과정을 연결시키는 방식보다, 교과지식에 내재한 기독교 세계관을 재해석해내는 방식으로 접근할 때, 보다 포괄적인 재구성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넷째, 기독교학교에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할 수 있도록 돕는 체제적 측면으로서, 교사 협의 체제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은 문서나 어느 시점에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고 교사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가는 가치와 관련한 작업인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teachers’ reconstructing the education curriculum on a Christian worldview. This research specifically examined the change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s toward reconstructing Christian curriculum as well as the difficulties and growth when the teachers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based on their Christian worldview. Thus, this study selected one of the leading Christian schools and approached with a case study on grade four teachers'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o practice Christian valu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give a requisite perspective and further research areas on reconstructing Christian curriculum to Christian teachers and Schools with the same belief and give a direction for teacher training, by fully tracing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process does the teachers take as they reconstruct the curriculu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2. What difficulties and growth do teachers experience as they reconstruct the curriculu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2009 to November, 2010 and the major data was collected during August, 2009 through March, 2010. Six teachers from grade four at E elementary school have worked together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or 2 years and 2 months, from January, 2008 through February, 2010. Two participants (J and L) continuously participated for 2 years and 2 months, while the other four participants (Y, P, B and K) participated for 1 year each.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recording and transcribing the discussions between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collaborative reconstructing process. Self-reflection journals and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were also tak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thoughts and feelings in proceeding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 survey was also held to diversify data collection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children of the reconstructed curriculum and the documents of the Christian curriculum. Data analysis was held inductively by coding and categorizing the collected data, and by examining the outcoming themes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categories to draw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What process does the teachers take as they reconstruct the curriculu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enriched as it proceeded in the stages of 'compatible integration,' 'transformational integration,' and 'comprehensive integra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teachers' value related to the content knowledge has changed during reconstructing the Christian curriculum. At the beginning of the reconstruction, teachers perceived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as integrating the two separate concepts of a Christian worldview and the school curriculum. Therefore, in practice, the reconstructed curriculum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first approached to 'implement' and find connecting points to integrate the Christian worldview and the school's curriculum. Later, they realized and perceived the necessity to view the curriculum through a Christian worldview to emerge the inherent Christian worldview in the curriculum. However, despite the teachers' dualistic consciousness about the content knowledge, the actual reconstructed curriculum was approached as viewing the lesson goals through a Christian worldview. Thus, their attempt to explore the core concept and the subordinate concept of the lesson unit remained superficial. Through this transitional process, teachers were able to 'perceive' the inherent nature of Christianity in the content knowledge by referring to the Bible, which is relevant with the content knowledge. This re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knowledge led the teachers to reinterpret the theme within the unit and have an insight about the other life scenes, expanding the numbers of reconstructed units. 2. What difficulties and growth do teachers experience as they reconstruct the curriculu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The teachers' experienced "growth of content knowledge for Christia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growth of value related to reconstructing the Christian curriculum". For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growth of content knowledge for Christian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growth of Bible knowledge' and 'growth of content knowledge'.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growth of value related to reconstructing the Christian curriculum" were 'growth of dualistic consciousness' and 'challenge related to value internalization'. This growth resulted from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experiencing the 'growth of knowledge related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growth of value related to reconstructing the Christian curriculum'.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reconstructing Christian curriculum did not remain as a problem to be solved, but a start to come up with a solution by 'teacher self-examination' and 'teacher collaboration'. The specific details of the teachers' growth in reconstructing the Christian curriculum are as follows: 'Growth of Bible knowledge' is related to the difficulties of Bible knowledge. Teachers had lack of knowledge in Bible anecdotes and scriptures, thus, had difficulties to put into practical use for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However, by explicitly exposing the Christian worldview inherited in the content knowledge, teachers were able to use the Biblical knowledge practically as they reinterpreted the content knowledge through a Christian worldview. 'Growth of content knowledge' i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eachers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nd the related themes to the content knowledge, but did not have the practical knowledge to implement in practice. However, from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content knowledge of each unit to identify Christian worldview, it was analyzed that the teachers have obtained practical knowledge from revising the remained pieces of knowledge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from adjusting the themes. In other words,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content knowledge and the theme,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ol curriculum, teachers were able to show 'growth of content knowledge' within "growth of content knowledge for Christian curriculum reconstruction". 'Growth of dualistic consciousness' is related to how often and explicitly the Bible content is used within the lesson and the difficulties of re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that is not covered in the Bible. Through the process of encountering Christian curriculum and the actual process of reconstruction,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eachers have changed into viewing a Christian worldview inherent in the content knowledge. The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perception' on reinterpreting the Christian worldview in the content knowledge rather than how frequently or how directly the Bible content is mentioned. Further, they discovered that even the topics that are not directly mentioned in the Bible, it could be interpreted Christianly for reconstruction. In other words, they have shown 'growth of dualistic consciousness' by realizing the problems of the content knowledge for its value neutrality and by discovering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Challenge related to value internalization' is referred to the problems of limitations in expanding the knowledge to practical level, through overcom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Christian value implied in the curriculum. This is a limitation to find a solution by approaching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documents. Thus, teachers who wants to reveal Christian value through the curriculum, has to constantly try and ask the Holy Spirit with humility and with a sharp discernment to see through the dualistic consciousness of content knowledge. Therefore, the growth of teachers mentioned above are due to the teachers' 'self-examination' from the process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during 'teacher collaboration'. The teachers constantly collaborated to find solutions of confronting problems by reconstructing the Christian curriculum, and experienced a "growth of content knowledge for Christia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growth of value related to reconstructing the Christian curriculum" through verifying and reforming their value towards the Christian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사의 역할 7 1. 교육과정 재구성 7 2.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교사의 역할 9 3. 교사에 의한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의 근거 12 B. 기독교 교과교육과정의 세계관적 성격 15 1. 기독교학교의 교과교육과정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15 2. 기독교 세계관으로 본 일반 학교 교육과정의 제한점 19 C.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의 전략 27 1. 기독교 세계관의 세 요소 27 2. 기독교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초 32 3.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모형 36 Ⅲ. 연구 방법 45 A. 연구 설계 45 1. 연구 방법으로서의 질적 사례 연구 45 2. 연구 절차 47 B. 연구 맥락 49 1. 연구 참여 학교 49 가. 연구 참여 학교의 특징 49 나.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연구 참여 학교의 시도 53 다. 연구 참여 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57 2. 연구 참여 교사 60 3. 연구자 64 C. 자료 수집 66 D. 자료 분석과 해석 69 1. 자료 분석 과정 69 2. 범주 개발을 통한 자료 해석 70 E. 연구의 진실성을 위한 노력 72 Ⅳ.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 이해의 변화 74 A.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 이해 변화의 개관 74 B.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 이해 변화의 단계별 특성 77 1. '양립적 통합' 단계 77 가.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 시도' 77 나. '통합의 연결점 탐색' 79 2. '변혁적 통합' 단계 85 가. '이원론적 사고 자각' 85 나. '차시 목표 중심의 피상적 실행' 87 3. '포괄적 통합' 단계 96 가. '교과지식의 재해석' 96 나. '확대 실행' 105 Ⅴ.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보이는 교사의 성장과 성장요인 111 A.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보이는 교사의 성장 111 1.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식 기반 성장 111 가. 성경지식 관련 성장 111 나. 교과지식 관련 성장 116 2.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한 교사 자신의 가치관적인 성장 123 가. 이원론적 사고 관련 성장 123 나. 가치 내면화 관련 도전 136 B. 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 보이는 교사 성장의 요인 140 1. 교사의 성찰 140 2. 교사 협의 공동체 144 Ⅵ. 요약과 결론 148 A. 요약 148 B. 결론과 제언 151 참고문헌 156 부록 164 ABSTRACT 1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820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독교 교육과정 재구성에서교사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Curriculum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dc.creator.othernameLee, Hai-Ji-
dc.format.pagexvi, 20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