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한 해 살이

Title
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한 해 살이
Other Titles
One Academic Year Experiences b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 An Autobiographical Reflection
Authors
정미화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경자
Abstract
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가 한 해 동안의 학교생활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 삶과 통합시키고자 했던 자서전적 성찰의 결과이다. ‘교육과정 학자로서의 학문적 연구가 자기 개인적인 삶을 이해하는 데에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가?’라는 Pinar의 질문은 이 연구의 출발이었다. 그리고 Pinar가 스스로의 질문에 답하면서 제시한 자서전적 방법과 관련된 논의들은 연구자의 이론적 배경이자 연구방법이었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한 해 경험을 드러내고 이를 자서전적 방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초등교사가 교실과 학교에서 겪는 한 해 살이 경험은 무엇인지, 그 경험은 삶의 개인적 맥락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분석하고 성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문제는 크게 세 가지였다. 1. 공립초등학교 담임교사는 어떻게 살아 왔는가? 2. 공립초등학교 담임교사는 1년 동안 학교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3. 공립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한 해 살이 경험과 교사의 삶은 어떻게 관련되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2년 동안의 학교 경험을 일지로 기록하였고 아동들의 교실 경험을 저널의 형태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의 일지와 아동 저널의 내용은 ‘학생과의 수업 경험’과 ‘학생과의 생활 경험’, ‘관리자와의 경험’, ‘동료교사와의 경험’, ‘업무 경험’ 등의 다섯 영역으로 나누어졌고 앞의 두 영역은 ‘교실 안 경험’으로, 뒤 세 영역은 ‘교실 밖 경험’으로 분류하였다. 각 영역의 경험들은 자료화원과 데이터 디스플레이 등의 분석과정에서 도출한 주제어들을 바탕으로 기술체계에 따라 정리하였고 이를 교사의 삶의 이야기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과 반복적인 성찰의 과정에서 한 해 살이 경험 속에서 작동한 네 가지 심리적 기제들을 발견하였고 교사의 한 해 살이에 나타난 특징적인 면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교실 안에서의 연구자 경험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구자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존중하는 가운데 각 교과와 차시에서 가르칠 ‘무엇’을 직관하거나 추출하여 교과를 가르치고 있었다. 이는 연구자의 대학원 공부 경험 속에서 길러진 각 교과에 대한 안목과 10년간의 현장교사 경험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연구자의 이런 접근과 태도는 교사의 삶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기존 세상을 믿는 마음’과 관련된다. 또한 연구자는 연관성 찾기와 토론을 통해 교과 내용을 아동들의 실세계 맥락에 놓고자 하였다. 이는 교과 내용이 ‘건조한 지식덩어리’로 취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연구자는 동시에 교사의 직접적인 활동 참여, 학습활동의 놀이화와 격려를 통한 발표 분위기 조성, 개별지도, 조작-체험활동, 공평한 기회부여 등으로 아동들이 적극적으로 학습활동에 참가하도록 유도하였다. 둘째, 한 해 동안 연구자는 준비와 만남, 상호 탐색, 질서 세우기 등의 과정을 거쳐 친밀감이 소통되는 교실을 만듦으로써 교실 내 관계를 세워 나갔고, 교실 내 일상 속에서는 관계 갈등과 문제 상황을 다루어나갔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학교생활에 대한 동기화를 위하여 학급과 학년 단위에서 특별한 제도를 시행하고 행사를 개최하였다. 연구자의 교실 밖 학교에서의 경험은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구자는 학교장을 잘못된 관행을 행하는 사람으로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동료교사들과 함께 학교장의 잘못된 관행적 행동을 바로잡기 위하여 드러내기와 문제제기, 그리고 ‘행정정보공개청구’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상식이 통하는 학교를 만드는 경험을 하였다. 그런데 이 경험은 개인적으로는 어린 시절 미해결 과제로 남아 있던 잘못되어진 아버지를 반성시켜서 바로잡고자 했던 내적 욕구와 심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연구자의 학교장과의 경험은 개인적 삶의 맥락에서 심리적 자아실현이었다. 둘째, 변화를 지향하는 동료교사들과의 경험은 학교생활의 새로운 기쁨이었고, 관행에 따르는 동료교사들과의 경험은 변화를 지향하고자 할 때 교사 내부에서 마주칠 수 있는 또 다른 장애를 느끼게 하였다. 한편, 학교장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교사들이 열린 학교 공간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고 민주적 협의 절차에 따라 규칙을 정하고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모습은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체험이었다. 셋째, 연구자는 신학기 초에 초치기를 하는 느낌과 과로사의 위험을 느낄 정도로 일의 홍수에 빠져 바쁘게 지냈는데 특히 시한이 정해져서 내려오는 일들은 교사를 바쁘게 하는 주원인이었다. 이상의 연구자의 한 해 살이 경험 속에서 연구자는 ‘자립과 성장’, ‘일방성과 자율성’, ‘부정에 대한 민감성’, ‘아이성’ 등 연구자의 삶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 심리적 기제들을 발견하였다. 이 기제들은 교사의 개인적 삶의 맥락과 긴밀히 관련되는 것으로 교사의 삶의 이야기는 교사의 한 해 살이를 설명하는 배경이 되었다. 또한 연구자의 교실 안과 교실 밖 경험 속에서는 몇 가지 특징적인 면이 발견되는데 연구자는 이를 ‘교사의 수업’, ‘교사의 학생 관계’, ‘교사의 학교생활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성찰하였다. 한편, 교사의 한 해 살이를 내부자의 입장에서 드러내는 데서 출발하여 자서전적 방법으로 진행한 이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첫째, 이 연구는 교과 및 학생들과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교사의 삶의 과정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예증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가 자신이 직면하는 사물이나 상황을 유기적 관련성 속에서 파악하면서 삶에 통합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는 각 개인의 삶 자체가 곧 교육과정이라는, 교육과정 개념의 확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실증적 과학적 패러다임이 야기할 수 있는 분절성이 교육과정 개념의 확장이나 ‘경험의 과정’으로의 재개념화를 통하여 극복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이 연구는 한 교사의 삶과 교육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주면서 교사의 삶과 교육 경험이 교사가 살고 있는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의 근대적 민주화운동의 과정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살았던 교사의 구체적인 실천적 삶은 한국 교육문화의 특수성 속에서 교사로서의 경력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생성적 꾸레레의 사례이다. 셋째, 이 연구는 질적연구방법론의 전통 속에서 교육과정 영역에서 재개념주의를 선도했던 Pinar의 자서전적 방법을 직접적이고도 구체적으로 적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넷째, 자료수집에서부터 논문 작성에 이르기까지 자서전적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진 이 연구의 과정은 그 자체가 ‘여기, 지금’을 살아가는 연구자의 삶을 구성하면서 연구와 연구자의 삶이 내적으로 통합되는 경험을 주었다. 다섯째, 한 해 살이에 대한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실과 학교에서 교사가 스스로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자각하고 나아가 그런 경험이 어디서 왔는지를 분석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성찰의 경험을 줄 수 있다. 그리하여 교사들에게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살아지는’ 교사 삶이 아니라 의식하면서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교사 삶의 시작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 밖 일반인들에게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교실과 학교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사의 학교 삶에 대한 이해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의 자료가 될 수 있다. 일곱째, 초등 교사를 준비하는 예비교사들에게 초등학교 담임교사로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이해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이상과 같은 연구의 의의와 함께 이 연구는 한계를 갖고 있다. 먼저, 이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삶으로 일반화되어 언급될 수 없다. 그런 일반화된 언급은 이 연구의 목적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질적 연구방법, 특히 자서전적 방법을 사용한 연구의 목적은 현상의 ‘이해’와 연구 내용의 연구자 삶에의 통합을 통한 성장에 있지 처방에 있지 않다. 다음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기술은 연구자의 주관적 경험일 뿐이다. 즉 연구물에서 부정적으로 언급된 개인들은 단지 연구자의 입장과 관점, 시각에서 부정적으로 경험되었을 뿐이다.;This study is the autobiographical report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endeavor to describe and analyze her own daily experiences in and out of the classroom in school for one academic year. The researcher tries to understand and integrate the one year's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her life history through autobiography writing and it's psychological introspection and analysis. The study was inspired and initiated by the question of Pinar, the forerunner of re-conceptualism and advocate of autobiographical method in curriculum theory, "how my formal academic studie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my life?" The existential and psychoanalytic approach of Pinar and his concept of 'currere' became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recorded her daily experiences in the school for the year of 2009 (2008 for pilot study) and collected the journal of children about their class experiences and thoughts. The diary and children's journal collected were reviewed,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each keyword to present the teacher's experiences in school into five scopes, 1)the class teaching experiences 2)the daily experiences with students 3)the experiences with managers 4)the experiences with colleague teachers and 5)the experiences of miscellaneous work. The first two are the experiences in the class room while the others are out of the class room. In order to maintain research distance and objective perspective to researcher's own experiences, two professional educationist were accompanied and supervised from the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to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data. Along wit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flected on her life history and constructed an autobiography which composed of 3 chapters. The autobiography were reflected many times to analyze and interpret for discovering the lifelong motivations, hidden impulses and needs, theme of her life history interweaved with the one year's experiences at school. This process was accompanied with a professional counselling psychologists who helped to discover and to understand the unconscious aspects of her experiences. As a pioneering endeavor to present the real experiences of teacher at the chalkface through autobiographical report of the researcher herself, this study has some significances in the study of teacher's experiences and qualitative research in field of curriculum. Firs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a teacher about the relationships and the class teachings in school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experiences of teacher. It presents life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a teacher who lived in the period of modern democratic movement of South Korea. The life story and educational career of the teacher have been formul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is is an example for showing how a teacher's career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re developing in a specific cultural context as a developing curree. It also helps to extend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re-conceptualize it as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s in life. Second, this is one of the first experimental efforts to apply the methodology of Pinar, autobiography, with his original question about self-alienation of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research. The researcher choose one's life history to became a teacher and the daily experiences in school as the research object, the researcher and her life were not isolated but integrated into the process of research. Third, this research would be an example for presenting curriculum as 'the process of experiences' as the re-conceptualist argued. Since a teacher's whole life experiences are melted in the one year's experiences in school, the process of autobiographical research was the process of learning and grow getting insights and better understanding. Forth,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episodes what the teacher experiences in school can provide a picture for school life to the would-be teachers and the researcher for teacher's experiences. It also could be a help for the way to aware and analyze teacher's experiences through reflective self-examin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