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구수현-
dc.creator구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10년부터 실행하기 시작한 표준보수교육 중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에 대해, 수요자인 신규 보육시설장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신규 보육시설장들은 직무교육에 대해 어떤 요구사항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신규 보육시설장 특성에 맞는 직무교육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이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신규 보육시설장의 보육관련 배경 및 인식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신규 보육시설장으로, 2010년 서울시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에 참석한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신규 보육시설장은 총 163명으로,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 연구 및 관련문헌을 토대로 유아교육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총 4개 영역, 8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을 구하였고, 필요한 경우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에 참여한 보육시설장의 교육정도 및 최종학교 전공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대부분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현 근무시설에 재직하기 전 보육시설 근무 경험이 있는 자의 경우 보수교육을 평균 2.29회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수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보육시설장들은 개인사정으로, 정보를 몰라서, 대체교사가 없어서, 과도한 업무로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그리고 승급 및 경력 부족 등으로 보수교육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순으로 보수교육을 이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보육시설장들이 직무교육에 참여하는 동안 보육시설장의 업무는 대부분 개별 보육시설의 경력이 많은 보육교사가 대신하거나 보육시설장 업무를 대신하는 사람이 없어 보육시설장이 직무교육이 끝난 후 시설로 돌아가 업무를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보육시설장들은 보육시설장을 하게 된 계기에 대해 관리자 역할에 도전해 보고 싶어서, 지금까지 쌓인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시행해 보기 위해서 등과 같이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보육시설장이 되었다는 응답이 높았으나, 동일 보육시설에서 근무경력이 많아져 보육시설장을 하게 되었다와 같은 비자발적 의지에 의해 보육시설장이 되었다는 응답율도 높았다. 신규 보육시설장의 과반수이상은 보육종사자의 전문성이 사회적으로 낮게 평가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보육종사자로서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신규 보육시설장 대다수가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 보육시설장 업무를 명확하게 알기 위해서와 보육시설장 업무에 대한 참고자료를 습득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반면,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보육시설장들은 교사 경력으로 보육시설장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보수교육의 내용이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신규 보육시설장들은 보육종사자의 질적 수준 향상 방안으로 보수교육의 내실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보다는 처우개선이 우선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보육시설장들이 신규 직무교육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과목과 보육현장 활용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교과목은 유사하였으며, 각 교과목별 이수 시간의 적절성에 대해 모든 교과목의 시간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시설장들은 신규 직무교육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데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윤리 확립과 자긍심 획득에는 상대적으로 도움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을 이수하는 시점에 대해서는 임용보고 되기 전과 후 등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신규 보육시설장들은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의 이수 시간으로 평일 주간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반수이상의 보육시설장들이 총 40시간인 현재의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 이수 시간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희망하는 직무교육의 형태로는 1순위가 이론중심의 강의였으며, 2순위가 현장견학, 현장 사례 및 연구 발표, 3순위가 실기 중심의 강의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강사진으로 현직 보육교사나 시설장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보육관련학과 전공교수를 선호하였다. 이 밖에도 보육시설장들은 현 교육내용을 조금 더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다루어 주길 원하였으며, 다양한 교수방법을 통해 교육 받길 희망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mposition method of in-service education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ew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lement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new child care center director efficiently by researching how the new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recognize the in-service education for them within the standard supplementary education which started to be implemented in 2010 and analyzing the requests of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regarding the in-service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background and recognition of the new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regarding child care services? 2. How do the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recognize the new in-service education? 3. What kind of requests do the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make about the new in-service education? The new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education, including the state and public, corporate, private, family and in-company child care center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A total of 163 new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made by researchers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es and related literatures with the consultation with experts of infant education, which were composed of 83 questions of four categorie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of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and, if necessar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lso computed for the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 new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education showed a wide variety i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college majors, but most of them had teacher licenses of child care center. The respondents who had worked at other child care center were found out to take 2.29 sessions of supplementary in-service education on average. The most quoted reason that the respondents did not take any supplementary in-service education was person problems according to the survey, followed by lack of information, lack of alternative teachers, lack of time because of excessive workload and insufficient level and experience. Experienced child care teachers were found out to do the jobs of new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temporarily while they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education. Some of the director were found out to work overtime because of the lack of substitute personnel. Many of the respondents took the head office of child care center for voluntary reasons. Some of them said they wanted to try the management positions and others said they wanted to use their knowledges and experiences more freely. However, many respondents also said they came to take the head offices involuntarily because of their career. More than half of new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were found out to think the expertise of child care workers were undervalued in the society. But they were found out to be relatively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ccording to the survey. Second, most of new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found the in-service education for new director necessary. The most quoted reasons for the necessity were to better understand the dut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 and obtain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the duty of facility director,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By contrast, the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who found the program unnecessary said they didn't need the training because they could carry out the dut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program was not helpful. More respondents pointed out better labor conditions for child care service employees for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than the improvement of supplementary training programs. The subjects that the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consider important for the vocation training program for them were mostly overlapped with the subjects which they found helpful for the file operations. The new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were also found the training hours of subjects in the program appropriately scheduled. The training program was found out to be most helpful for the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to earn professional knowledge but less helpful for them to strengthen professional ethics and obtain self-respects. Third, the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showed various opinions regarding the time of in-service educations for new director. The new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were found out to prefer the daytime class on weekdays to other classes for the training program.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found the current 40 hour-long program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largest portion of respondents were found out to prefer the theoretical classes most, which were followed by the class composed of field trips, case study and presentations and the practical class. They wanted the current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to be instructors for the training program most, which was followed by the professors of departments related to child care services. The new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 were also found out to want the current training program to be more detailed and specific based on more various teaching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보수교육의 정의 및 구분 4 B. 보수교육의 변화 6 C.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의 개편 내용 7 D.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과 유치원 원장 자격연수와의 비교 12 E. 보육시설장 직무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14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연구도구 19 C. 연구절차 20 D. 자료분석 21 Ⅳ. 연구결과 22 A. 신규 보육시설장의 보육관련 배경 및 인식 22 B. 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27 C. 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요구 33 Ⅴ. 논의 및 결론 39 A. 논의 39 B.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51 부록. ‘보육시설장 신규 직무교육의 현황 및 요구 분석’을 위한 설문지 54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92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보육시설장의 신규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cognition and Requests of Director of Child Care Center about the new Director In-Service Education-
dc.creator.othernameGu, Su Hyun-
dc.format.pagev,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