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장성은-
dc.creator장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들 중 유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미술교육에 대해 보육교사가 어떠한 인식과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보육교사들이 현장에서 유아 미술교육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교육실제를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앞으로 보육현장에서 유아 미술교육이 더 의미 있게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재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교육실제는 어떠한가? 1-1. 유아 미술교육의 내용은 어떠한가? 1-2. 유아 미술교육의 지도 방법은 어떠한가? 1-3. 유아 미술교육의 평가는 어떠한가? 2.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아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아 미술교육 시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2-3. 보육교사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 미술교육에서의 교육실제 및 보육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총 3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 하였다. 설문지는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응답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교육실제를 알아본 결과 첫째, 유아 미술교육의 내용에서 보육교사는 교육주제에 따라 담임교사가 계획안을 작성하고 있으며, 활동을 계획할 때 교육주제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유아 미술교육 자료 중 인터넷 교육 자료를 통해 가장 많은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미술교육의 지도 방법을 보면 소집단으로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으며 소집단 활동 시 5명 이내의 인원수로 20분-30분 이내로 활동하고 주 2회 정도 실시하고 있었으며, 대집단 활동 시에는 10-15명의 인원수로 30-40분 이내로 활동하며 주 1회 정도 실시하고 있었다. 유아 미술교육 속에서 교사는 다양한 재료를 유아들이 충분히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가장 많이 주고 있으며 동기 유발자의 역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미술교육의 평가에서 작품 완성 후 유아가 친구들에게 자신의 작품을 보여주고 설명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미술 활동의 평과 결과를 유아 개개인의 발달수준을 이해하거나 유아의 표현능력을 파악하고 부모 면담자료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첫째, 유아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모든 보육교사들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유아 미술교육이 중요한 이유로 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둘째, 유아 미술교육을 진행할 때의 어려움 여부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가 교육기관에서 미술교육과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교육내용이 현장에서의 미술 활동 진행시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장에서 유아 미술교육을 진행 할 때 56.5%의 보육교사들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미술교육을 위한 시간부족과 주제선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 지난 1년 동안 미술 활동과 관련된 교사 재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이 8.7%로 나타나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최근 1년 동안 유아 미술교육과 관련된 교사 재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유아 미술교육을 위한 재교육시 필요한 것으로 다양한 재료의 종류와 활용 방법을 가장 필요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hildcare teachers who are educating among childcare teachers employed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difficulties that early childhood class childcare teachers have about ar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e study is also designed to provide the basic data about retraining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operate a meaningful ar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by exploring the current art education practice running for early childhood in field. The research questions with regard to the research objective are as followings. 1. How is the current art education practice running for early childhood? 1-1. How i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art education practice running for early childhood? 1-2. How is the teaching method of the current art education practice running for early childhood? 1-3. How is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art education practice running for early childhood? 2. How is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art education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2-1. How is the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the art education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2-2. What are difficulties that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like? 2-3. How is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retrain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138 childcare teachers who are educating an early childhood class employed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questionnaire with 34 questions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education practice and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art education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It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after verifi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 percentage, average &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ply analysis by each question using SPSS 15.0.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For the analysis of current art education running for early childhood, first of all,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class plan a class agenda by education themes and focus on education themes the most when preparing activity plans. Also, they collect relate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materials from the internet the most. Second of all, the small grouping was the most utilized form for a teach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a small group was formed within 5 members in 20 minutes at a time once or twice a week whereas a large group with 10-15 members in 30-40 minutes once a week. It was also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provide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o fully explore various materials the most in art education, and consider themselves motivators as the most important role to play. Lastly, for the evaluation of art education, childcare teachers use a way to have their children present their completed artwork to his/her peers, and use the evaluation result from art activities to understand each student’s development level or presentation skill and to meet their parents for a student counseling. For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art education practice running at childcare centers for early childhood, firstly, all of childcar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practice for early childhood and picke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or the reason of importance. Secondly, for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ve, most childcar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an art-related learning from academy institutes and it was helpful when practicing art activities in field. However, 58% of childcar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ar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s difficult to run due to the appropriateness of activity hour and theme selection. Thirdly, for the recognition about the retraining, 11.4% of teachers said that they have experienced an art-related retraining for teachers in the previous year, which means that the opportunity of art-related retraining for childcare teachers wasn’t given enough for the past year. Besides, it was found that the most needed contents for teacher retraining regarding the ar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as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and utilization meth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 미술교육 5 1. 유아 미술교육의 중요성 5 2. 보육·교육과정과 미술교육 7 3. 미적요소와 미적 원리 12 4. 교사의 역할 16 B.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18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연구도구 27 C. 연구절차 28 D. 자료 분석 28 Ⅳ. 결과 및 해석 29 A.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교육실제 29 1. 유아 미술 교육의 내용 29 2. 유아 미술교육의 지도 방법 36 3. 유아 미술교육의 평가 45 B. 어린이집의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47 1. 유아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47 2. 유아 미술교육 진행시의 어려움 49 3. 유아 미술교육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 52 Ⅴ. 논의 및 결론 55 A. 논의 55 1.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교육실제 55 2. 유아 미술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59 B. 결론 및 제언 61 참고문헌 64 부록.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교육실제 67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90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 미술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교육실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 and Education Practice about Ar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c.creator.othernameJang, Sung-Eun-
dc.format.pagevi, 8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