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3 Download: 0

일반계 고등학교 음악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연구

Title
일반계 고등학교 음악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the Musical curriculum in general high schools : Focusing on general high school in Seoul
Authors
안애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운영되는 음악과정을 분석하여 비 예술계 고등학교에서의 전문음악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음악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음악과정의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지금까지 예체능과정의 필요성, 수요, 시설에 관한 연구만 이루어졌을 뿐 그 가운데 음악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음악과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음악과정의 학급 수와 학생 수를 살펴보고, 개설된 전문 교과목, 전문교과의 수업 시 수,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비율을 파악하였다. 또한 실제 음악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참여 동기, 음악과정의 목적, 사교육 여부, 음악과정의 교육내용 및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 진로, 문제점의 내용을 담은 설문을 실시하여 실제 교육과정의 편성•운영과 학생들의 응답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음악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26개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의 경우 8개 고등학교의 남•여학생 211명에게 배포하고, 185부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과 χ²(Chi-square)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시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음악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는 26개교가 있으며, 현재 727명이 재학 중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만 대상으로 하는 학교는 2개교, 3학년만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11개교, 2학년과 3학년을 모두 운영하는 학교는 13개교였다. 실제 음악과정을 운영하는 학교 가운데 50%만이 2학년부터 음악과정을 개설하고 있어, 전문교과를 2학년 또는 1학년부터 이수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의견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과정에 개설된 전문 교과목을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 1과목에서 8과목까지 편성하고 있었다. 또한 전문교과의 수업 시 수는 6단위에서 32단위까지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음악과정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하나로 개설되어 있어 전문교과의 편성이 단위 학교의 자율성에 근거하기 때문에 학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교육내용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의 경우 전문교과의 학습량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응답이 61.7%, 전문교과의 비율이 높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63.4%로 전문교과의 개설과 운영에 수용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셋째, 음악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45.9%는 ‘음악가가 되기 위해서’ 음악과정에 진학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94.5%는 전공과 동일한 혹은 유사한 계열로 대학 진학 의사를 밝혀 음악과정이 일시적인 음악교육이 아니라 고등교육기관과 연계되어있는 전문음악교육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과거에 음악관련 사교육을 받았다는 학생이 98.5%, 현재 받고 있다는 학생이 92.3%로 음악 전공과 관련하여 대다수의 학생이 사교육을 받고 있어 공교육을 통한 전문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생들은 음악과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연습실, 방음시설과 같은 시설 지원, 해당 전문교과와 관련된 전문성을 가진 교사의 배치, 학교 관리자의 음악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음악과정은 궁극적으로 음악 전공을 희망하는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는 교육 여건 개선, 학교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 교류,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학습자의 의견 수용 등을 통해 학생 중심의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musical curriculums in general high schools and propose ways to improve musical curriculum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to know the number of students are taking musical classes, professional subjects being offered, class hours for professional subjects, and the ratio between general subjects and professional subjects at the general high schools in Seoul.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win 12.0 and according to subjects, χ²(Chi-square)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hen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swers and the actual practice of curriculu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26 general high schools that operate musical courses, and 727 students are attending. In practice, only half of the schools open musical curriculums from sophomore years, showing contrast to students' opinion that professional subjects should be taken from freshman or sophomore years. Seco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bject contents because Musical curriculum is one of the selective curriculums and the organization of professional subjects depends on each school's self-determination. 61.7% students answered that professional subject class hours were needed to be extended. 63.4% answered that professional subjects need higher proportion in the curriculum. Schools have need to accept these opinions. Third, 45.9% students attending musical coursed replyed that the hoped to become a professional musician, and 94.5% replyed that they would further advance their study in the same or similar field. Hence, musical courses are not just temporary musical education but professional musical curriculums connected to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urth, students answered that in order to operating musical course effectively, the following are needed : supports such as practice rooms, soundproof facilities, teache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s, school authorities fully understanding the need of musical programs. Musical courses ultimately provide learners with the contents what they require. For this, schools should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interchange information as a way to relieve contents gap for each schools, and listen to learner's needs in constructing a curriculum. Based upon these attempts, schools do their best effort to provide student-oriented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