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원-
dc.contributor.author정예은-
dc.creator정예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67-
dc.description.abstract학생들의 오 개념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또 다른 오 개념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올바른 지리 학습을 위해 학생들이 지리 개념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고, 어떤 오 개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오 개념을 분석하는 것은 학습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는, 선상지와 삼각주, 고위 평탄 면과 침식분지, 범람원과 배후습지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오류를 분류할 수 있는 유형 틀을 고안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는, 이러한 오 개념 및 오류를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고, 세 번째는 학업 성적 별로 오 개념 및 오류의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요인도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오 개념과 오류를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연구한 학자들은 오 개념이라는 용어 대신 소이론, 학생들의 과학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장애의 관점에서 연구한 학자들은 개념이미지, 인지적 장애 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또한 학생들의 생각은 전문가에 비해 단순하고 여러 가지 상황과 조건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연구를 통해서도 학생들의 오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는 한 가지 관점이나 한 가지 용어를 통해 오 개념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용어와 관점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오 개념과 오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오 개념과 오류를 파악하기 위해 질문지를 개발하고 포커스 그룹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대상은 지형을 학습한 고등학교 2학년을 선정하였고 학업성적에 따라 상, 중, 하 그룹으로 나누었다. 파일럿 테스트와 본 실험 을 합하여 실험에 참여한 학생은 총 46명이며 이 중, 연구 결과에서 제외되는 경우는 없다. 질문지는 두 번의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수정, 보완하였다. 수정된 질문지에서는 상 그룹만을 대상으로 한 [토론 1]과 전체를 대상으로 한 [토론 2]를 첨부하였고, 이것을 가지고 두 번의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진행은 먼저 질문지에 모식도를 그리게 하고 지형 전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난 후 예, 아니오 로 답하게 하는 문항을 풀도록 하였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면담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한 그룹 당 5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오 개념의 다양한 정의와 전문가와 초보자의 지식을 비교 한 것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오 개념 및 오류는 반복적인 체계가 있으며 이것을 통해 오류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틀을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지리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오 개념 및 오류를 분류하는 자세한 유형 틀이 없었고, 지형이나 기후 등 영역별로 분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오 개념을 분석하면서 반복적이고 체계적으로 등장하는 유형 틀을 만들어 적용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고 내면화하며 개인적인 지식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동료와의 토론 및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신의 오 개념을 인지하고 수정해나가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전문가와 다른 사고과정을 통해 개념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전문가에 비해 단순하게 사고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많은 상황과 조건을 고려하지 못한다. 학생들은 한 가지 요소로 전체를 해석하기도 하며 자신의 개념이미지를 통해 사고하기도 한다. 셋째, 학업성적에 따라 오 개념의 형성 요인이 다르게 나타난다. 상 그룹의 경우 교과서나 교사의 설명 등을 언급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는 상 그룹 학생들은 외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중, 하 그룹에서는 개인적인 개념, 소이론 등의 사례가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개념을 설명할 때 자신의 생각이나 논리로 설명하는 사례가 많았고, 개인의 인지구조나 경험 등이 요인이 된 것으로 내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Misconception of students could influence learning and it can also create other kinds of misperception.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correct learning, more research is necessary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types of misconception that the students display. Moreover, analyzing the misconception of learners could also be a method to understand about the learning process. Thus in this research, there are three purposes in total and i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m. First of all, the purpose is to design a framework which classifies fallacies from students appearing on areas such as fan delta, high plantation surfaces or erosion basins, flood plains or back marsh. Secondly, the research aims to approach with a constructivist point of view, while the third is to discover the differences among misconception and errors through academic achievements, and search for the factors that cause these differences. The scholars who researched on misconception and fallacies on a constructivist viewpoint used other terms such as mini-theory and science for students whereas scholars who positioned in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utilized phrases such as conceptual image and perceptional dysfunctions. Moreover, according to an investigation, students think in a more simple way compared to professionals and they have difficulties figuring out various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which could give a grasp that students have misconception. As this former research shows, misconception was studied under a certain viewpoint or terminology. In this research analysis, various terms and viewpoints were applied to find out about misconception and fallacies of students. In the current research, students were grouped and interviewed in-depth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misconception and fallacies using surveys. The subjects were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studied topography and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dvanced, intermediate, and developi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re 46 in total including the Pilot Test and the main experiment, and none were excluded from the test results.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two Pilot Tests. The modified survey had an attachment of "discussion 1" focusing on advanced group and "discussion 2" based on the whole group,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main experiment. The procedure of the experiment was first done by drawing mimetic diagrams on the survey and explaining about the geographical features in general. Afterwards, they were told to solve questions and give yes-or-no answers as well as clarify the reasons why they think so. Such procedure had 50 minutes elapsed time per gro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as analyzed by various definitions of misconception suggested from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mparing the knowledge of professionals and amateur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goes as the following. First and foremost, there is a repetitive system for misconception and errors of students, and a framework was created to apply for distinguishing the types of errors. For geographic education, a detailed differentiating framework for classifying misconception and fallacies was non-existent, and most of them were done by landscape or climate. However, this research intended to apply a type appearing repetitively and systematically so that misconception of students could be analyzed. In addition, students could establish and internalize personal knowledge where their results could be analyzed from a constructivist point of view. Furthermore, the students could discuss and interact actively with their colleagues, perceiving and modifying their own misconception on the way. Also, students learn concepts through thinking processes that are different from professionals. Students think in a more simple way compared to professionals and also through problem solving process they might not consider broad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They often interpret the whole with just one factor and even think through their self-conscious image concepts. Thirdly, according to academic scores, the causes for misconception formation appear differently. In advanced groups, there were more cases where explanations of professors or textbooks were mentioned. This certainly proves that students from advanced group are being affected more by exterior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intermediate and developing groups there were a lot more examples where personal concepts and mini-theories were displayed. To conclude, there are many cases where one's thoughts could be logically explained in defining concepts, where an individual's perception structure or experience became a cause and internal factor being a huge influence in the p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용어의 정의 3 C. 연구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오개념 연구 4 B. 오개념이 생기는 요인 18 C. 오개념 연구 방법 21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24 B. 연구도구 25 C. 연구절차 29 Ⅳ. 연구결과 및 분석 30 A. 연구결과 30 B. 결과분석 및 논의 37 Ⅴ. 결론 및 한계점 54 A. 결론 54 B. 한계점 및 제안 56 참고문헌 58 부록 62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10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형단원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지리 오개념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Analysis on Geographical Miscon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Topography-
dc.creator.othernameJung, Yae-Eun-
dc.format.pagevi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