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을 통한 수업 개선 연구

Title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을 통한 수업 개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by Computer Assisted Self Supervison
Authors
조효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혜영
Abstract
Although the lesson-learning encouragement approach has tremendous effect on teacher's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fact, there is little activity of learning encouragement in school field. A good class is based on a teacher's professionalism, so I must find and carry out systemic practicing ways with critical mind abo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how a teacher develops m ability and expertise through my educational experiences seen through the process practicing professional class by utilizing the self-learning encouragement with PC ai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set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is the process of self-learning encouragement with CASS carried out? Second, what is a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self-learning encouragement with CASS? To solve these questions, the research selected a qualitative method observing English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analyzing the data gotten from the observations. The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one teacher, the researcher in this research and 6th-grade students in a class. To collect relevant data, total 8 lessons were performed for 4 weeks, and the design of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self-learning encouragement with CASS by suggested Kim Kyung-Hyeon(2006). In terms of specific method, the investigator wrote down some his reflective diary about what he observed, and why selected such teaching activities were selected. And he observed his own lessons and got from colleague teachers' feedback. For the analysis tool, the investigator amended KICE(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s general standard on lesson professionalism to apply the standard to the subject of English. Finally, based on the meta reflection suggested by Korthagen(1985), the investigator reflected her lesson and established a new plan for next lesson. The summarize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can be concluded that a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shown in the process of self-learning encouragement with PC aid must take efforts to provide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s to students, and suggest appropriate postscript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level leading to draw some free class atmosphere. Especially, in the limited space of class, the first requirement for natural input of language was students' active join in lesson. And that is come from students' inner motives. In addition, students who couldn't concentrate on lesson might have any learning-relevant problems, it is important to participate the excluded students after consulting them. Second, the meaning of self-learning encouragement with PC aid to a teacher's lesson professionalism was found in that it not only provided a chance to think over her teaching experiences reflectively and helped both the teacher and students to discover meaningful experiences. Based on the conclusions, this research has following meanings. First, this research was a practical one carried out by a teacher working i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to find out the meaning of lesson professionalism by observing and reflecting her own lessons. Therefore the research was meaningful in that a teacher herself became a researcher and practiced the research. She was not only stimulated to reflect her teaching method but also recognized how to learn her reflections. So second meaning of this study was in her efforts to raise her growth competence according to the meta reflection resulted from her learning with coworkers' help. Based on this research's conclusions,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some limit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was limited in that it was carried out within relatively short period. That is, total 8 lessons using the approach of self-learning encouragement with PC aid were performed from March 8th to April 2nd in 2010. And it found its problems from colleague teachers' feedback. Though such kind of research, in general, needs the research period more than 1 year, the investigator in this research had strong inner motivation to the lesson professionalism, so she successfully completed this research within relatively short time. So some long-term researches are required to verify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Secon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limited numbers of students in 1 class of 6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the city of B, Gyeonggi-do. If a research would change variables like his view point about English, my educational philosophy, students' interest level and their attitudes, and his personal background, etc., the same result as that of this research would not be drawn. Therefore,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required that more case studies will be performed for verification in the future.;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수업장학의 효과가 심대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학교 현장의 수업장학 활동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좋은 수업이 교사의 전문성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바, 교사는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교육 환경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지고 체계적인 실천 방법을 찾아보고 수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을 활용하여 수업전문성 실천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육적 경험들을 통해 교사가 성장 능력을 키우고 전문성을 변화시켜가는 과정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컴퓨터보조 자기장학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둘째, 컴퓨터보조 자기장학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육적 경험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이자 수업자인 교사 1명과 6학년 1학급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4주 동안 8번의 수업을 진행하면서 김경현(2006)이 제시한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에 근거하여 연구방법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적인 면에서는 무엇을 관찰하였는지, 왜 그러한 교수 활동들을 선택했는지에 관한 반성일지를 쓰고 스스로 자기 수업을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동료교사의 피드백을 받았다. 분석도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수업전문성 일반 기준 안을 영어 과목에 맡게 수정하여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Korthagen(1985)이 제안한 메타적 반성에 근거하여 능동적으로 반성하고, 다음 수업을 위한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보조 자기장학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육적 경험은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면서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려면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적절한 발문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것은 곧 자유로운 수업분위기를 이끌어낸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특히 교실이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서 자연스러운 언어입력을 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는 학생들의 내적 동기에 기인한다. 또한, 수업에 집중하지 못한 학생의 경우 분명 학생에게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상담과정을 거쳐서 소외된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갖는 의미는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은 교사 자신의 교수경험에 대하여 반성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하면서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는 것이다.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의 교사가 실제로 자신의 수업을 관찰하고 반성하면서 수업전문성의 의미를 찾아가고자 노력한 실행 연구로 교사 스스로가 연구 자가 되어서 연구를 실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교사가 반성하도록 자극만 받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반성을 학습해야 하는 지를 깨닫고 동료의 도움을 받는 학습에 의해 메타적 반성에 따라서 ‘성장 능력( growth competence)'를 키우는 것을 드러내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에서의 결론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그 기간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한계로 들 수 있다. 즉 2010년 3월 8일부터 2010년 4월 2일까지 총 8회에 걸쳐서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을 수행하였고 동료교사의 피드백을 통해서 문제점을 찾아갔다. 일반적으로 1년이나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실행 연구가 필요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연구자가 수업전문성에 대한 강한 내적 동기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여 마칠 수 있었다. 장기간에 걸친 연구를 통한 검증이 요청된다. 둘째, 이 연구는 한 명의 연구자가 경기도 B시의 S초등학교 6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실시한 연구이다. 연구자가 영어교과를 바라보는 관점과 교육철학, 학생들의 관심과 태도, 연구자의 개인적 배경 등에 따른 변인들을 달리 했을 경우 동일한 연구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에 관한 후속 연구를 통한 검증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