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 실행연구

Title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 실행연구
Other Titles
Action Rearch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Authors
김명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동료장학을 실행하고, 동료장학 후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동료장학의 내용인 유아 포트폴리오 개선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의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동료장학에 참여한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명이며 연구 기간은 2010년 2월 22일부터 2010년 4월30일까지이다. 연구는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의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3차 방안 모색, 3차 방안 실행, 1,2,3차 실행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동료장학의 협의회 전 사본, 참여관찰일지, 교사 심층면담 전 사본 자료 등을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연구 문제 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저널, 개선된 유아 포트폴리오 자료, 평가 계획이 반영된 주간교육계획안과 일일 교육계획안, 연구 참여자들의 각종 기록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동료장학이 수업 공개 중심으로만 타율적으로 내용의 초점 없이 운영되어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따른 해결 방안으로 교사의 다양한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기 위해 동료장학의 방법 및 형태를 다양화하였다.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동료장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료장학의 운영을 단계적으로 실행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동료장학의 내용을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으로 정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동료장학의 방법을 다양화하여 주제 협의하기, 전문서적 읽기, 저널쓰기를 실행하였다. 또한 동료장학의 형태를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 카페를 활용하여 저널을 올리고 공유하였으며 각종 자료와 정보를 나누었다. 동료장학을 성공 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실행하며 운영하였다. 동료장학 내용의 초점을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으로 정하고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교수와 평가를 통합하는 방안을 찾아 실행하였고 유아 포트폴리오의 내용을 다양화 하며 자료를 수집하였다. 1차 실행의 결과 참여 교사들은 동료장학 내용에 대한 실제적인 부분에 대해 알고 싶어 하였으며 오프라인 모임의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또한 동료장학의 내용인 포트폴리오 개선방안의 수정이 필요하였다. 2차 실행에서 동료장학의 방법 중 주제 협의하기, 저널쓰기와 동료장학의 운영 은 그대로 진행하였다. 수정된 사항으로는 동료장학의 방법에서 실제적인 부분에 대해 알 수 있는 논문읽기를 하였고 동료장학의 형태에서 참여 교사들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대화방을 활용하여 동료장학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동료장학의 내용인 포트폴리오 개선 방안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2차 실행의 결과 동료장학 내용에 대한 최근 경향을 알 필요를 느꼈다. 동료장학의 내용인 포트폴리오 개선 방안에서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동료장학의 방법 중 주제 협의하기, 저널쓰기와 동료장학의 형태, 동료장학의 운영은 그대로 진행하였다. 수정사항으로는 동료장학의 방법에서 최근 경향을 알 수 있는 논문을 읽었다. 동료장학의 내용으로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를 학부모 상담에 활용하였고 상담 내용을 포트폴리오 자료로 수집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을 통해 참여 교사들은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련된 지식과 기술이 발달되었다.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유아와 더욱 많은 상호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유아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이 형성되었다. 또한 유아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근거에 의해 상담을 함으로써 학부모와 신뢰 로 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동료장학에 참여한 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의 동료장학에 참여함으로써 반성적 사고능력이 신장되었고, 유치원 교사로서 자신감이 증진되었다. 한편 교사들은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지지하는 협력적 문화를 조성하게 되었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seeking and implementing the ways that kindergarten teachers operate the peer supervision in efficient manners, and figuring out that the peer supervision influences on the teacher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peer supervis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vide the guides for improving the children portfolio which is the content of the peer supervision.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which wer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s are: 1. What are the operating ways of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2. What are change of teacher who took part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teachers who worked at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February 22 to April 30 in 2010. This study progressed by realizing the problems of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and seeking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the 1st implementation, evaluating the 1st implementation and seeking the 2nd ways, the 2nd implementation, evaluating the 2nd implementation and seeking the 3rd ways, the 3rd implementation and evaluating the 1st, 2nd and 3rd implementations in order. This study analyzed by the studying question by symbolizing and classifying the copies of conferen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the dairies of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and the cop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In addition, this collected and analyzed the journals of teachers, the revised children portfolio materials, the weekly and thedaily educational plans applied the evaluating plans, and each kind of material of the participants. The following results are from this study. Firstly, it was the problems tha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ntioned that the peer supervision operated the one-shot type without focusing on the fields, and just concentrated on the open class in an other-directed way as a result, it was not really helpful for teachers. The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were diversifying the methods and the form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operating them for the teachers to feel success. Furthermore, the focusesof the peer supervision were for improving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resulted from the necessities and requests of the participants,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children portfolio and seeking and implementing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1st implementation, this studydiversified the way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carried out making agreements of themes, reading and discussing the professional books, and writing journals. What’s more, this uploaded the journals by utilizing online cafes as well as offline ones in terms of form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divided each material and information. The organization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grouped by teachers who were in the similar development stages and had interests, and implemented and operated the improvements of the children portfolio by step. This study set the focus of the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built the systematic plans of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found and implemented the ways to integrate teaching and evaluation, and collected materials by diversifying the contents of the children portfolio. As a result of the 1st implementation, the participated teachers wanted to know about the practical parts about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recognized the difficulties of offline meetings. In addition, the ways to improve the portfolio which wer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required to be changed. The ways of the peer supervision in the 2nd implementation were reading theses which enabled to know about the practical parts, and implementing the peer supervision by utilizing the online chatting rooms by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participated teachers. At this stage, the ways to improve the portfolio which were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changed. As a result of the 2nd implementation, the recent tendencies about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essential to know. This study realized the necessity to utilize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as the ways to improve the portfolio which were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The ways of the peer supervision in the 3rd implementationwere reading theses which enable to know the recent tendencies. As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the materials of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were used for consulting with the parents, and the consulting materialswere collected for the portfolio materials. Secondly, by operat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in effective manners, the knowledgeand techniques of the participated teachers related to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were developed. While collecting the materials of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the participated teachers developed their understanding about and intimacies with children. Furthermore, they formed the trustabl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by consulting with them based on the objective and realistic reasons by utilizing the children portfolio. Also,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supervision improved their self-reflection considerations by participating in the peer supervision in the continuous and various ways, and strengthened their confidence in professionalism as kindergarten teachers. In contrast, they changed their thinking about the peer supervision positively,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nd had the willingness for the new peer supervision for developing its professionalism. This resulted in the cooperative culture which supported the professional growth of the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