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16종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

Title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16종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7th graders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policy
Authors
장윤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지향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6 different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new educational policy revised in 2007, and seek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nge in educational policy to the change in the system, construction and the contents of a music textbook. The following were referenced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textbooks: Mussel and Glenn’s table of music textbook analyzing standards ; Min Kyung Hoon’s standard of analyzing music textbooks based on Hofsteteer; the new qualification standard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educational policies made in 2007. Two criteria along with specific sub categories are used throughout this study. The two criteria for this study are system and construction and contents. First, to analyze the system and construction, table of contents of the 16 different music textbooks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preface” of the books was studied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chapters. Second, musical domain, historical era, composer, and miscellaneous factors provided a base to analyze the contents of different textboo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alyzing according to system and construction, each textbook has a different way of laying out the chapters. Systematically, the chapters are formed based on musical activity, musical theme, and musical element, or they can be combined. Constructions of the chapters differ in terms of study methods and goals, depending on the writer and the publisher of each textbook. Analyzing according to musical domain within the contents criteria, out of the three domains-activity, comprehension, real life application-musical activity such as singing, instrumental performance, listening, and composing consumed the largest portion of the textbooks. Following was comprehension with 21.0%, and real life application with 8.9%. Real life application ranged 6~13%, which is a fairly low rate. Analyzing according to historical era, Korean music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western music, world music, and popular music. Miscellaneous factors say that there are various musical activities indicated in the textbooks. The revised musical policies made in 2007 provide us with more activities compared to the 7th educational policy. Examples include learning music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subjects, interdisciplinary studies within the musical domain, evaluation, physical activity, and ICT based learning. It is said that the influence of 2007 revised educational policy optimized the contents of music textbooks, but it deals with more information than necessary.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books are that Korean music is emphasized, world music is presented, and real life application of music is more encouraged. The textbooks provide a way to redirect the educational method according to school, district, student level, and provides deeper musical experience. Ways to let students learn musical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and the schools’ abilities are provided as well. Meanwhile, they present various teaching strategies like project learning and group learning, seek connectivity within musical domains as wells as encourage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make use of digital media and various new technologies.;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교과서 16종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교과서의 구성 체제 및 내용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 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면 각 교육과정에 따르는 교과서를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네 가지 활동영역 중 한 영역만을 분석하거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있기에 가창, 기악, 감상, 창작의 모든 영역을 대상으로 구성 체제와 내용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므로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분석하고자 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 분석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머셀과 글렌의 음악교과 내용 분석 평가기준 표와 Hofsteteer에 의한 민경훈의 음악교과 내용 분석 평가기준,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검정기준을 토대로 교과서 분석을 위한 2가지 분석기준을 마련하고 세부 하위 요소를 두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교과서 16종의 두 가지 분석 기준은 체제 및 구성분석과 내용분석이며 분석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분석은 교과서의 체제 및 단원구성 분석으로 교과서의 체제를 알아보기 위해 16종 교과서의 목차를 통해 교과서의 구성을 살펴보았으며, 16종의 교과서에서 앞부분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 책의 구성과 특징’ 부분에 기초하여 단원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분석은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으로 영역별, 시대사조 별, 작곡가 별, 기타 특징 별로 교과서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체제 및 구성 별로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 별로 단원을 구성하는 방식이 다르다. 체제를 분석해보면 활동중심, 주제중심, 음악구성요소 중심으로 단원이 구성되며 복합적으로 단원이 구성되기도 한다. 단원 구성 별 특징을 보면 저자 및 출판사에 따라 학습내용과 학습목표를 선정, 조직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 중 영역별 분석에 의하면 활동, 이해, 생활화의 세 가지 내용체계 영역 중 가창, 기악, 감상, 창작 등의 활동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이해영역이 21.0%, 생활화가 8.9%로 나타난다. 생활화의 비중이 6~13%로 높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교과서의 내용 분석 중 시대사조 별 분석에 의하면 한국음악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서양음악, 다문화, 대중음악, 기타의 순으로 나타난다. 기타특징 별 분석을 보면 다양한 활동이 교과서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범 교과 통합학습, 음악교과 내 영역별 통합학습, 평가, 신체활동, ICT 기반 학습 등 7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활동이 나타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여부는 음악내용을 적정화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시 수에 비해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국악내용은 상세화 되었다. 세계음악을 제시하고, 음악의 생활화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과서에 의해 지역, 학교, 학생의 특성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실음을 통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한다. 모 둠 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다양한 교수전략을 사용하며 다양한 매체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다. 학생의 요구와 학교의 실정에 맞는 악기를 선택하여 지도할 수 있게 하며 음악교과 내 영역별 연계 성 뿐 아니라 타 교과의 연계성을 고려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