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국악영역 분석 연구

Title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국악영역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Korean Music in the 7th Grade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07's Revision
Authors
이찬숙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근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7th grade music textbooks to suggest effective teaching.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137 Korean traditional songs were included in 16 music text books. Folk music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 were presented the most. Jajinmori, the Korean rhythm, which we call it “Jangdan” was mostly presented. For a traditional mode, Gyeoimyunjo mode songs which are southern folk mode and eastern folk mode were popular. In terms of scale of system, minor was very common. Most of Korean traditional song were composed in binary form. Solo or duet Danso music were consisted of 48.4% in instrument music. Second, contents of Korean music in the music text book were various. Teaching activities were integrated with playing, singing, and listening. Activities were proposed almost the same with different writing style. Each music text book included various instruments to play. Among them, Danso and percussions were the mostly used instruments. Furthermore, even though 2007 curriculum did not require Pansori, it was used for singing. Contrary, all textbooks did not include composition by digital media even if it was required. Learning Korean music related with daily life was presented differently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teaching Korean music. First, notation of music is different in each textboo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 notation of Korean music. Second, Some of the textbooks did not deal with the materials required in the 2007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should be very considerate to select a right music textbook to organize a class. Third, performance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with daily life should be presented by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Fourth, when teachers select a music text book, they should consider if this music textbook covers enough materials with various forms.;본 연구의 목적은 16종의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내용을 분류•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국악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국악교육의 필요성, 교육과정에서 국악 내용의 변천 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본문에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 곡과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제재 곡은 이해 영역 중 국악과 직접 연관된 악곡의 종류, 장단, 음계, 형식, 악기 구성 및 연주 형태로 나누었으며 학습활동은 활동 영역인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와 생활화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재 곡은 총 137곡이 수록되었다. 악곡의 종류로는 민요와 전래동요, 장단으로는 민속악 중 자진모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전통음계로는 평 조 보다 계면조의 곡이 많았으며 민요조로 분류했을 때 남도 민요조와 동부 민요조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조성체계로 분석하였을 때, 단조의 비중이 높았으며 그 중 마단조 곡이 가장 많았다. 곡의 형식으로는 국악형식의 메기고 받는 형식과 서양음악 형식의 두 도막 형식으로 이루어진 곡의 비중이 높았다. 악기와 관련되어 단소의 음색을 탐색할 수 있는 곡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연주형태로는 독주, 전통적인 편성, 실내악 규모의 합주형태, 국악 관현악, 양악기와 국악기의 합주형태가 제시되었다. 둘째, 교과서의 구성 및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6종의 교과서를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학습자를 중심으로 통합적이며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수록된 내용이 여러 가지 제재 곡 및 활동이 제시되어 교과서 내용에 다양성이 확보되었다. 활동, 이해, 생활화가 통합적으로 제시되었으나 학습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학습활동 또는 악곡에 활동의 성격을 표기한 점이 발견되었다. 활동 영역 학습활동은 악곡의 형식, 음계 등의 특징을 활용하여 제시되었으며 하나의 학습활동이 연주, 노래 부르기, 감상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대체적으로 각 영역의 내용이 다양하였으나 악기 연주하기의 경우 모든 교과서에서 단소와 사물악기를 활용하였으며 활동 내용 또한 서술방식의 차이일 뿐 거의 동일하게 제시되었다. 교육과정을 토대로 활동을 살펴봤을 때, 노래 부르기의 경우 일부 교과서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판소리가 활용된 점이 발견되었으며 음악 만들기(창작)의 경우 모든 교과서에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음악 만들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활화의 학습활동은 교과서에 따라 양적 차이가 있고 주로 생활 속에 음악을 활용하는 활동이 제시되었으며 전개상 마무리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교육에서 교과서를 활용한 효과적인 국악수업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교과서에 따라 일부 악곡의 표기(내용)가 다르다. 표기에서 일관성이 결여된 점은 학습에 있어 내용에 대한 혼란 및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교사의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교사는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교과서의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을 조직해야 한다. 일부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되지 않은 내용이 수록되거나 반대로 교육과정의 내용이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교사는 교과서의 내용을 선정함에 있어 교육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일부 교과서에서 활동의 성격을 구분하여 내용을 제시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학교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연주하기와 생활화 관련 영역의 내용(학습활동)을 재조직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과서가 방대한 양을 다양한 형태로 다루고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음악교과서의 국악 영역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교과서의 내용은 교육과정을 비교적 잘 반영하였으며, 다양한 내용과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교과서 별로 특징이 뚜렷하였으며 일부 아쉬운 점이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교과서 선택 및 수업 구성에 있어 하나의 기초자료가 되며 나아가 이를 통해 효율적인 국악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