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Title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Other Titles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the Self-evalu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uthors
문지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의 실태 및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에 참여한 교사들이 인지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책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및 연수 참여도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20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262부의 설문지 중 유의미한 250부의 응답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 문항특성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구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 검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t검증과 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중 절반 정도의 교사가 자체 평가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자체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 참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학교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나 부장교사의 경우 비참여자나 교사에 비해 평가 참여율이 높았고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나 부장 교사의 경우 더욱 다양한 평가 관련 업무에 참여하고 있었다.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에 관한 연수를 받아본 교사는 34%로 나타났으며, 부장교사가 교사에 비해 연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연수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자체 평가 참여여부에 따라 살펴본 결과, 참여집단의 전체 평균이 비 참여 집단의 전체 평균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평가 참여교사들의 인식을 배경변인 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경력 별 구분의 경우 ‘교사는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직급별 구분의 경우 ‘교사는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가 학교 교육의 질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 외의 항목에서는 경력 별, 직위별 구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자체 평가 참여여부에 따라 살펴본 결과, 참여집단의 전체 평균이 비 참여 집단의 전체 평균에 비해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다. 평가 참여교사들의 인식을 배경변인 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경력 별 구분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직급별 구분의 경우 ‘학교 구성원 간의 대화를 촉발하였다’, ‘교사가 자신의 교육과정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올바른 평가 관이 정립되었다’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 항목에 대한 평균에서는 경력이 높아질수록, 부장교사인 경우 평균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다. 넷째,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에 대하여 질문한 결과, ‘과중한 업무 부담으로 인한 시간부족’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 밖에 ‘교사가 평가대상으로서 평가 받고 있다는 분위기’, ‘실적위주의 보여주기 식 평가운영’, ‘학교의 관료적 체계로 인하여 전체 교사의 의견보다는 부장 교사나 학교 관리자 등의 소수 의견위주의 반영’, ‘평가 과정에서 전교직원이 참여하는 협의회 부족’, ‘자신의 업무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소극적인 태도’, ‘평가의 실효에 관한 부정적 인식’, ‘교사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데서 오는 좌절감’의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를 배경변인 별로 분석해 보면, 경력 별 구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직위별 구분의 경우 총 21개 항목 중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문항에서 3문항, 교사의 평가 능력과 관련한 문항에서 7문항, 교사 지원에 관련한 문항에서 1문항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평가 실시 방법에 관한 요소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문항이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된 연수에 교사의 참여 기회를 확대 시켜야 한다.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로 나타난 많은 항목들이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부정확한 혹은 부정적인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를 활성화 시키려면 교사들이 정확한 학교 교육과정 자체 평가의 목적과 내용에 관하여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된 연수에 교사의 참여 기회를 확대시켜야 하며 연수 시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본연에 목적에 대한 교사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 부분을 강화시켜야 한다. 둘째, 전교사가 참여하는 민주적인 협의회가 구축되어야 한다. 교사들은 협의회에서의 숙의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자체 평가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될 것이며, 소속 학교의 구체적인 평가 목적과 내용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학교 관리자들은 모든 교사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민주적인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수렴하여 즉각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that i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currently and thereby examining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groping the improvement plans. The issues that are intended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Second, how is the perception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self-evaluation different following teacher's participatio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background? Third, how is th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self-evaluation different following teacher's participation, and are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background? Forth, what is the problem of the self-evaluation among the teachers who have been participated in self-evalu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above issu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300 teachers of 20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62 copies of materials were returned and 250 cop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sult. t-test, ANOVA and χ²(Chi-square) analysis were done to sh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hen needed.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survey is as follows. First, about half of the teachers that are the subject of the survey had an experience to participate in the self-evaluation and the main concrete contents were the participation through the survey for the self-evalua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eachers who develop the school curriculum or the chief teacher was higher than others. Among the respondents 34% has been trained about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hief teachers was higher than teachers.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lf-evaluation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self-evaluation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Then, let's examine the result of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lf-evaluation following the teachers' background. The case of the recognition that teacher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elf-evaluation w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s on the teachers' experience. The recognition of 'the self-evaluation is helpful for the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the school education' was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s on the position. Except those cases, there is nothing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lf-evaluation about the effect of self-evaluation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Then, let's examine the result of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elf-evaluation following the teachers' background. There was nothing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s on the experience. The recognitions of 'the self-evaluation lead up to a living discussion', 'the self-evaluation has played a role that let the teachers themselves examine the curriculum' and 'the teachers recognize the effects and necessity of the evaluation' were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s on the position. The perception of the chief teachers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Forth, it appeared that in order to activate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that centers on teachers, it is urgent to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address the excessive workload of teachers and the lack of time first of all. Besides the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mood that teachers are considered as subjects who got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evaluators', 'perfunctory evaluation' and 'the activation of a council or a debate that can reflect the opinion of all the teachers as an important plan' and so on. Then, let's examine the result of the perception of teachers following the teachers' background. There was nothing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s on the experience. There were 11 cases among 21 cases that were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s on the posi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should be increased that the participation rates of training about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The host of the training focus on making the agreement of teachers about the purpose of the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Second, a systematical and democratic council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opinions of all teachers can be evenly reflected in all courses of the evaluation. Then, the teachers can be interested in the self-evaluation through the process of delibe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