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연희-
dc.creator윤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8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0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xamine papers published in Korea and to investigate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upon its dependent variables by meta-analysis. This study adopted the subjects below to attain the purpose: 1. What effect size does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upon the leadership's dependent variables, for inst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 What effect size do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for instance,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taking the initiatives and setting an example, promotion of innovation, etc? 3. What effect size do dependent variable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depending upon school grades? The author collected as many as 155 papers with retrieval word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some information services, for instance, scientif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at was supplied by the National Assembly's electronic library as well as the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retrieval website of KISS and college libraries, etc. The study selected 47 papers among the 155 papers that had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well as dependent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tudy suggested statistical values, for instance, t-test, ANOVA, and correlation coefficient etc that could convert effect size by experimental research, and it excluded not only the papers that could not examine relations of both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because of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but also the ones that were difficult to inspect at libraries. The author produced coding manual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papers and to classify the coding into the name of authors,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the papers, the name of university, the name of graduate school,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school grade and teachers' gender, etc. The author put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values by Excel program to investigate collected materials and to estimate effect size based on the values: And, the author, experts and three graduate school students at their doctor's courses conducted pilot test before coding, and they were trained again to investigate inconsistent cases and to test reliability between inspecto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large effect size having influence upon dependent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s. Second, the effect size of each subordinate variable was large in order of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taking the initiatives and setting an example and promotion of innovation: And, the effect size of organizational effects was larger than that of job satisfaction was same as total effect size was. Third,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influence upon variables of school grades: Th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s was larger than that of middle schools was, and the difference was not large. The study investigated precedent researches o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reach conceptual agreement The study found out results of integrated researches to overcome repeated ineffectiveness of similar researches and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 to new areas. And, the study made use of advantages of meta-analysis to apply it to local papers of the area that were researched for a long time, and to suggest strong conclusion that general research methods could not make.;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재분석하여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와 학교급에 따라 어떠한지를 메타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2.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구성요소들(인간존중, 솔선수범, 변화촉진)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3.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학교급에 따라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회의 전자도서관(www.nanet. go.kr)과 한국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4u. net), 한국학술정보(KISS)의 검색사이트(search.koreanstudies.net), 각 대학 도서관을 활용하여 주요 검색어가 ‘변혁지향적 지도성’, ‘변혁지향적 리더십’, ‘변혁적 지도성’, ‘변혁적 리더십’, ‘변화지향적 지도성’, ‘변화지향적 리더십’, ‘변형적 지도성’, ‘변형적 리더십’인 155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 155편 중에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독립변인이고, 직무만족도와 조직효과성이 종속변인인 연구 47편이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연구의 설계가 실험연구로서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통계치(예를 들어 t 검증, F 검정, 상관계수 등)가 제시되어 있고 단순 빈도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여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파악할 수 없는 논문과 해당 도서관에서 열람이 불가능한 논문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수집된 분석 대상 논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코딩매뉴얼을 제작하여 저자, 발행연도, 논문제목, 소속대학, 소속대학원, 독립변인(구성요소), 종속변인(관련 종속변인), 학교급 변인으로 구분하여 코딩하였다. 위와 같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종 통계치를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하여 그 값을 기초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연구자를 포함하여 해당 분야 전문가 및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등 3명이 코딩 작업에 앞서 사전 예비검사를 통해 확인을 하고, 발견된 불일치 사례에 대한 재훈련을 실시하여 평가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각각 1.05와 1.73으로 35.31%와 45.82% 만큼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각 구성요소별 효과크기의 값은 인간존중, 솔선수범, 변화촉진이 각각 1.29, 1.04, 0.91로 인간존중, 솔선수범, 변화촉진 순으로 컸고, 전체 효과크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직무만족도에 비교해서 조직효과성의 효과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 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직무만족도에서는 초등과 중등이 각각 1.41과 1.36, 조직효과성에서는 1.87과 1.59로 두 변인 모두 초등이 중등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별로 크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축적되어온 관련 연구들을 통해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하여 선행 연구들의 도달하지 못한 개념적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다. 통합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여 비슷한 연구들의 반복되는 비효율성을 지양하고 연구문제를 새로운 연구 분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메타 분석의 장점을 활용하여 오랜 시간에 걸쳐 연구가 축적되어온 이 분야의 국내 논문만을 가지고 메타 분석을 적용한 결과, 일반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불가능한 강력한 대결론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변혁적 지도성 = 8 1. 지도성의 개념과 지도성 연구의 발달 과정 = 8 2. 변혁적 지도성의 개념 및 특성 = 13 3. 변혁적 지도성의 구성요소 = 21 B.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 = 32 1. 직무만족도 = 32 2. 조직효과성 = 48 C. 변혁적 지도성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의 관련 연구 = 57 1. 변혁적 지도성과 직무만족도 = 57 2. 변혁적 지도성과 조직효과성 = 59 3.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급 변인 = 62 Ⅲ. 연구 방법 = 66 A. 메타 분석 = 66 1. 메타 분석의 개념 및 특징 = 66 2. 메타 분석의 방법 = 70 3. 메타 분석의 장점과 한계점 = 76 B. 연구 대상 선정 및 수집 = 80 C. 자료의 코딩 = 85 D. 자료의 분석 방법 = 87 1. 자료의 전산입력 = 87 2. 효과크기의 산출 및 해석 = 88 3. 자료의 동질성, 신뢰구간 및 편의 검정 = 90 4. 신뢰도 검정 = 9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94 A.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 = 94 1.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크기 = 94 2. 변혁적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 = 97 B. 변혁적 지도성 구성요소별 효과크기 = 99 1. 인간존중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 = 99 2. 솔선수범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 = 102 3. 변화촉진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 = 105 C. 학교급 변인에 따른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 = 108 1. 학교급 변인에 따른 변혁적 지도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크기 = 108 2. 학교급 변인에 따른 변혁적 지도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효과크기 = 111 Ⅴ. 요약 및 결론 = 114 A. 요약 및 논의 = 114 B. 결론 및 제언 = 122 참고문헌 = 126 부록 = 148 ABSTRACT = 1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38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c.creator.othernameYoon, Yeon Hee-
dc.format.pagexii, 19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