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Relationships between 24-Hour Blood Pressure, Subcortical Ischemic Lesions and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Title
Relationships between 24-Hour Blood Pressure, Subcortical Ischemic Lesions and Vascular Cognitive Impairment
Other Titles
24 시간 혈압 측정, 겉질밑 혈관성 뇌병변과 혈관성 인지장애 사이의 연관성 분석
Authors
김정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혈관성 치매 예방을 위해 혈압 조절은 매우 중요하다. 수축기 혈압의 증가와 맥압의 증가가 백질 병변 여부 및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하루 중 혈압 변동과 겉밑질 소혈관 허혈 병변의 악화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일부 연구 결과들도 이견이 많다. 일부 연구에서는 소혈관 병변 정도와 인지장애가 야간 혈압 저하 소실 및 수축기 혈압 변동의 증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으나, 이와 반대되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연구 결과나 연구 수가 적은 이유는 연구 대상이나, 연구 방법 그리고 분석 방법에서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는 인지기능이 정상이며 뇌병변이 없는 고혈압 환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피질하 허혈성 뇌병변에 의한 인지장애 환자군과 치매 환자군 각각에서 보행용 24시간 혈압측정을 시행하여 24시간 혈압 측정치의 각 요인과 피질하 허혈성 뇌병변 그리고 혈관성 치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 하였다. 2006년 3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건양대학병원 신경과, 분당서울대학병원 신경과, 이대목동병원 신경과에서 인지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37명의 피질하 혈관성 경도인지장애 환자군과 42명의 피질하 혈관성 치매 환자군을 전향적으로 모집하였고, 대조군은 고혈압으로 건양대학병원 심장내과 외래 방문 치료 중인 환자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뇌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상세한 신경심리검사와 보행용 24시간 혈압측정검사를 시행하였다. 이완기 혈압을 제외한 모든 측정치가 세 군 사이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에 비해 피질하 허혈성 혈관성 인지장애환자군이 수축기 혈압 증가가 컷으며, 수축기 혈압 변동, 맥압, 그리고 ambulatory arterial stiffness index는 피질하 허혈성 혈관성 치매 환자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가 보였다. 특히 야간 혈압 저하의 소실은 대조군에 비해, 피질하 혈관성 경도인지장애 환자군 및 피질하 혈관성 치매 환자군에서 의미 있게 흔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야간 혈압 저하의 소실은 피질하 허혈성 뇌병변 중심부 백질 병변보다 뇌실 주변 허혈병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주의력, 시공간 능력 및 전두엽 집행 기능 장애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정상 대조군이나, 피질하 혈관성 경도 인지장애환자군에 비해 피질하 혈관성 치매군에서 야간 혈압 저하 소실 및 맥압 증가 수축기 혈압 변동 증가 등이 많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혈압 저하 외의 이러한 혈압 요소의 조절이 피질하 혈관성 치매 예방을 위해 중요 할 것이라고 제안한다.;Background: Controlling blood pressure (BP) is the most important treatment for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SVaD), since high systolic BP (SBP) and pulse pressures (PP) are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white matter lesions. However, the few studi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urnal BP rhythm and the progression of small vessel disease in the brain have produced inconclusive results. Some studies suggest that small vessel lesions and cognitive performance are affected by the loss of a nocturnal BP dip or SBP variaibility, but others have produced opposing results. These conflicting results are due to differences in subjects, methods and assessment techniques. In this study, I compared and analyzed 24-hour BP values between control, subcortical vascular mild cognitive impairment (SvMCI), and SVaD groups using careful criteria for each patient groups and 24-hour ambulatory BP monitoring. Subjects and Methods: Among outpatients that visited the Department of Neurolog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Department of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and the Department of Neurology,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or the evalua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Department of Cardiology, Konyang University Hospital, for control of hypertension between March 2006 and November 2007. During this period, 42 patients with SVaD, 37 patients with SvMCI, and 20 normal control subjec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inclusion criteria. All of the subjects received brain MRI and MR angiography, detailed neuropsychological testing, and 24-hour ambulatory BP monitoring. Results: All types of BP except diastolic BP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study groups. Multiple comparisons between these groups reveal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daytime SBP between controls and SvMCI; in SBP variability, PP and ambulatory arterial stiffness index (AASI) between controls and SVaD;, and also marked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nondippers between SvMCI and controls and between SVaD and SvMCI. Loss of nocturnal dipp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ventricular hyperintensity and cognitive impairment. Conclusion: I have found that SVaD is associated with loss of nocturnal BP dipping, increased PP, and SBP variability. Accordingly, the correction of these factors could be important for prevention of SVaD, independent of the reduction in B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