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정아-
dc.creator유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6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63-
dc.description.abstract어린시절에 읽은 좋은 문학 작품의 감동은 성인이 되어서도 잊혀지지 않으며 오랜 동안 삶의 자양분으로 남아있게 된다. 최근에는 인쇄된 매체인 책과 함께 컴퓨터나 인터넷을 이용한 문학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탐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흥미를 갖고 있는 매체인 웹을 기반으로 아동문학 교육 활동을 전개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이를 구체화하여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을 위한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1-1.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을 위한 구성 영역은 무엇인가? 1-2.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을 위한 하위 영역은 무엇인가? 1-3.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을 위한 세부 요소는 무엇인가? 2.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2-1 학습자의 요구는 무엇인가? 2-2.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3.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 모형은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3-1. 목표는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3-2. 구성은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3-3. 전개는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3-4 교수-학습자의 관계 및 역할은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3-5. 평가는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연구문제 1을 위하여 아동문학교육 및 웹 기반 교육, 모형개발 관련 문헌 분석을 분석하였고, 아동문학교육 관련 웹 사이트 및 웹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사례 분석을 하였다. 또한, 아동문학교육 전문가(대학교수 3인, 박사과정 수료생 2인)와 교육 공학 전문가(대학교수 2인, 국가출연 연구소 연구원 1인, 박사과정 수료생 2인)로 구성한 전문가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의 구성요소는 크게 다섯 개 영역(목표, 구성, 전개, 교수-학습자의 관계 및 역할, 평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다섯 개의 영역은 각 각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고, 각 각의 하위 영역은 다시 세부 요소들로 구성되었다. 첫째, '목표'영역은 '아동문학 교육의 목표'와 '웹 기반 교육 목표'를 하위 영역으로 하고, '아동문학 교육 목표'는 수용, 평가, 창작의 세부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웹 기반 교육 목표'는 정보교환 및 의사소통과 다양한 경험의 세부 요소로 구성되었다. 둘째, '구성'영역은 '수용', '평가', '창작'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고, '수용'은 이해와 감상요소로, '평가'는 비평과 해석 요소로, '창작'은 부분창작과 창조 요소로 구성되었다. 셋째, '전개'영역은 '교수계획', '활동도구', '전개형태', '자료관리'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교수계획'은 교수형태, 학습형태, 절차형태의 요소로 구성되었고, '활동 도구'는 실시간, 비실시간, 개별적 요소로 구성되었다. '전개형태'는 운영형태, 운영자, 활용정도의 요소로 구성되었고, '자료관리'는 자료저장과 자료보완의 요소로 구성되었다. 넷째, '교수-학습자의 역할'영역은 '상호작용', '피드백', '진도검토', '발문'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상호작용'은 상호작용 의지와 유형 요소로 구성되었고, '피드백'은 행위자, 시기, 도구 요소로 구성되었다. '진도검토'는 진도검토 대상요소로 구성되었고, '발문'은 발문 유형 요소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평가'영역은 '평가자', '평가 절차', '평가 대상물', '평가 보고 방식', '평가 문항 유형', '평가 영역'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평가자'는 교사, 학습자, 자원 인사 요소로 구성되었고, '평가 절차'는 결과와 과정요소로 구성되었다. '평가 대상물'은 참여도, 기여도, 결과물 요소로 구성되었고, '평가보고 방식'은 공개와 비공개 요소로 구성되었다. '평가문항 유형'은 선다형, 기술형, 단답형의 요소로 구성되었고, '평가영역'은 목표별 요소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 2를 위하여 교사와 학습자 대상의 요구 분석을 하였다. 요구 분석 결과는 빈도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모형의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첫째, '목표'영역에서는 교사와 학습자가 모두 문학교육 목표보다는 웹 기반 교육 목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영역에서는 '수용'활동의 경우, 학습자는 이해하기 활동을 더 선호하였고, 교사는 이해와 감상하기를 비슷한 정도로 선호하였다. '평가'활동의 경우, 학습자는 비평하기 활동을 더 선호하였고, 교사는 해석하기 활동을 더 선호하였다. '창작'활동의 경우, 학습자와 교사 모두 창작하기를 더 선호하였다. 그리고 교사와 학습자가 모두 '구성'영역에서 '창작'활동을 가장 높게 요구하였다. 셋째, '전개'영역의 하위 영역인 '교수계획'에 대해서 학습자는 아동문학 목표에 관계없이 역할놀이 수업형태를 선호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는 아동문학 교육 목표에 따라 수용활동과 평가활동을 위한 학습형태는 토론식 수업을 선호하였고, 창작활동을 위한 학습형태는 역할놀이 수업을 더 선호하였다. '활동도구'에 대해서 학습자는 목표에 관계없이 자료실을 선호하였고, 교사는 수용과 창작활동을 위한 도구로는 자료실을 더 선호하였지만, 평가 활동을 위한 도구로는 토론방을 더 선호하였다. '전개 형태'의 운영형태와 활용정도, '자료관리'에 대해서 교사와 학습자는 공통적으로 커뮤니티 형태의 운영, 면대면 수업의 보조적 활용을 더 선호하였고, 자료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에 비해 운영자에 대해서는 차이를 나타냈는데, 학습자는 학습자들이 운영하는 형태를, 교사는 전문기관에서 운영하는 형태를 선호하였다. 넷째, '교수-학습자의 관계 및 역할'영역의 하위 영역인 '상호작용 유형'에 대해서 학습자는 정보 수집을 더 선호했으나, 교사들은 정보공유, 정보제공, 정보수집을 모두 높게 요구하였다. '피드백 행위자'의 경우 학습자는 작가를 선호하였으나, 교사는 학습자를 더 선호하였다. '진도검토 대상'의 경우, 학습자는 모둠별을 선호하였으나, 교사는 개별적 검토를 선호하였다. '상호작용 의지', '피드백 시기', '피드백 도구', '발문'은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가 동일하였다. 다섯째, '평가'영역의 하위 영역인 '평가절차', '평가대상물', '평가 보고방식'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는 동일하였다. '평가절차'는 과정과 결과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를 요구하였고, '평가대상물'은 참여도와 결과물을 모두 고려한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평가 보고방식'은 전자메일을 이용한 비공개 형태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평가자'의 경우, 학습자는 전문평가자를 더 선호한 반면, 교사는 학습자 자신과 학습자 동료를 선호하였다. 연구문제 3을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 정준상관관계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빈도분석 결과와 영역 및 요소간의 관계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인 모형의 탐색이 가능하였고, 모형 영역별 및 세부 구성요소별로 제시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 활동의 목표는 교사와 학습자가 정보교환 및 의사 소통 목표를 더 선호하지만, 영역간 관계 분석을 통하여 웹 기반 교육 목표와 아동 문학 교육 목표 영역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 목표는 아동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추구되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 활동의 구성은 아동문학 교육 목표에 따라 수용활동, 평가활동, 창작활동으로 구성하지만, 창작활동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의 전개는 수용, 평가, 창작활동에 따라 다르게 전개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교사와 학습자가 비교적 높게 선호한 전개 형태는 '역할놀이' 수업이지만, 구체적 활동에 따라 다른 전개 방식으로 전개하는 것이 더 적합함이 밝혀졌다. 특히, 평가 영역은 '차시별 수업'이 더 적합하고, 창작 영역은 '활동 중심 수업'이 더 적합함이 나타났다. 또한, 활동도구는 교사와 학습자 모두 '자료실' 을 높게 선호하였지만, 구체적인 활동과 관련성이 높은 활동 도구는 '토론방'인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의 운영은 운영자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학습자를 운영자로 할 경우, 커뮤니티 형태의 운영이 바람직하고, 교사와 사서교사가 운영자일 경우에는 WBI형태의 운영이 바람직하며, 전문기관이 운영할 경우에는 웹 사이트 형태의 운영이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전개 형태와 운영자, 교수-학습자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요소로 밝혀졌다. 교사와 학습자는 적극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전자메일로 피드백을 주고 받는 것을 선호하며, 확산적인 발문을 통한 상호작용을 선호하므로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에서 교사와 학습자는 모두 활동의 주체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의 평가는 전문평가자와 학습자, 교사, 사서교사 등이 포함된 학습공동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전문평가자가 평가하기를 선호하였고, 교사들은 학습자와 학습자 동료가 평가하기를 선호하였다. 전문가에 의한 평가나 학습자, 학습자 동료에 의한 평가를 면대면 환경에서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활동의 참여도 및 과정과 결과를 모두 평가하고, 전자매일을 통한 비공개 형태의 평가 방식을 취하는 것은 면대면 환경보다는 웹 기반 환경에서 가능한 평가 방식이다. 즉, 웹 기반 아동문학의 평가는 면대면 환경과는 다른 다양한 형태의 시도가 가능하고, 이를 적용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모형의 구체적인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의 구성은 아동문학 목표에 따라 수용, 평가, 창작 활동으로 구성하되, 창작활동에 높은 비중을 두도록 한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요인간 관계 분석 결과 '창작하기'는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활동임이 밝혀졌다. 이것은 아동문학 창작 활동이 시·공간적으로 제한된 학교의 면대면 환경보다는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수업 전개가 가능한 웹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활동의 구성에 따라 활동의 전개를 달리해야 한다. 아동문학 수용활동은 학습자 중심의 활동으로 전개하되, 활동에서 다루는 문학작품의 선별작업이 필요하다. 평가 활동은 교사 주도의 차시별 수업으로 전개하되, 토론식 수업과 토론방을 활용한다. 창작 활동은 역할놀이와 같은 활동중심 수업으로 전개하며, 자료실, 토론방 등을 이용하도록 한다. 셋째, 교사, 사서교사, 학습자, 전문가 등이 포함된 가상 학습공동체의 지원을 통한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 활동을 제시한다. 학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활동의 전개 형태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웹 커뮤니티 형태였고, 피드백의 행위자나 평가자로 전문가를 요구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전문기관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 형태의 전개 형태를 선호하였고, 피드백의 행위자나 평가자로 학습자와 학습자 동료를 선호하였다. 학습자들은 면대면 상황에서 만나기 어려운 전문가를 만나고 싶어하고, 교사는 면대면 환경에서는 실제적인 적용이 어려운 학습자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웹 기반 환경에서 적용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요구는 온라인에서 형성되는 가상 학습공동체를 통하여 구현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진행되어야 할 후속연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창작' 영역은 면대면 환경에서 전개되는 방식과 웹 기반 환경에서 전개되는 방식에 큰 차이를 둘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문학 창작 영역을 심화시켜 웹 기반 아동문학 창작 교육의 구체적인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교사와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의 운영형태는 학습자중심의 커뮤니티 형태와 교사, 사서교사, 학부모 중심의 웹 사이트 형태였다. 이는 운영자에 따른 운영 형태의 다양화로 요약될 수 있는데,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다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른 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을 특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웹 기반 아동문학 수용활동을 위한 문학작품의 선별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문학 작품은 학습자들의 연령, 성별,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웹의 특성은 문학작품을 분류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웹 환경에 적합한 문학 작품을 선별하는 작업은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웹 기반 아동문학 평가는 교사, 사서교사, 학습자, 전문가를 포함한 가상학습 공동체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전개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구체화된 웹 기반 아동문학 평가의 방향을 탐색하는 연구도 의의가 있으리라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eneral model for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to validate the model. Only few attempts have so far been made at this subject. Few researches which have been researched by children's literature practitioners or educational technology's researchers have thrown new light on the subject. In the last few years, several articles have been devoted to the study of web-based children's education.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web-based children's education, little is known about the model of web-based children's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o identify major components of a model for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2. To analyze needs of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3. To develope a model of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o identify major components of this model, the literature review, the professionalist test, and the formative research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about 1,400 web sites and web communities, which are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an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se cases, 7 assistant researchers were involved. After the analyzing of these cases, the components of model are changed, collected and reconstructed. To analyze needs of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develope the model,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e., frequence analysis, data component analysis and canonical component 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frequence analysis explained the degree of preference and the confirmative component analysis confirmed the theoretical model's components. The canonical component 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relation of components of model,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ccounted for the consequences of components. The subjects of need analysis on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were teach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eb sites(cases)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s. The schools were called 'book reading centered school', which have conducted research on the children's literature an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and carried out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two point. One was a model of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have five major components i.e., objects, construction of activity, display of activity, management of it, and evaluation of it. And the other was the components were in close connection with them.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must be consisted of activity objects which were relat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objects and WBI objects. The children's literature based education's object were related with acceptance ability, evaluative ability and creative ability. The objects of WBI were relat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munity learning. At secondly, according to the object of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ctivity were constructed acceptance activity, evaluation activity, and creative activity. The 'acceptance activity'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which wrer 'reading electronic book', 'comprehension of context', and 'appreciation about books'. The 'evaluating activity' consisted of two components which were 'explication book' and 'critic book'. The 'creative activities' consisted of two components which are 'creation new story' and 'collecting story'. At third, the display of the activities was influenced by kinds of activities and objects of activities. The creative activities and evaluation activities were more influenced by instruction methods rather than acceptance activities. So, the creative and evaluation activities may account for a kinds of activity based on the writing, discussion, collaboration, and role playing. And, for the explanation of the component of display activities, one must point to the activity tools.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red to on-line discussion tool and on-line database tool. It moaned that these were more useful when they study in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than any other tools. At, fourth, the management of activities was controlled by three type of manager who were teachers/librarians, professionalists of reading education and students. The teachers and librarians were in charge of a WBI, the professionalists of reading education were in charge of web sites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students were in charge of web communities. Finally, the evaluation activity was conducted by teacher, librarian, writers, professional of reading education and student. The students and teachers preferred to use e-mail and active feedback about their activities. It might be put the whole question of this study briefly in this way. To identify the major components of the model, a number of literatures which were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web-based education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the components of model were structured. The components of model were 'object of activity', 'construction of activity', 'display of activity', 'management of activity', and 'evaluation of activity'. But, these components were modified three times, which was a general process of development of model. The first process was formative study, the second process was professionalist test, and the third process was needs analysis.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 three point about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first, the creative writing was revealed the core of the web-based children's education. The on-line creative activity is unique comparing to off-line activity. It can more promote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through many types of interaction involving many students and teachers than off-line classroom which is limited to time and space. It was special in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second,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can be followed by cyb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t has a great potential capacities that can enhance the motivation of students for the study of children's literature. The third,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can be managed and evaluated by three types of managing and evaluating groups. The teachers/librarian group is suitable for WBI management, the specialist of reading group is suitable for web site management, and students group is suitable for web community management. This paper does not discuss the effect of web-based education. But, to argue this point would carry us too far away from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may leave the details to futur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아동문학교육 = 7 1. 아동문학교육의 목표 = 8 2. 아동문학교육 활동 = 17 B. 웹 기반 교육 = 28 1. 웹 기반 교육의 특성 = 28 2. 웹 기반 교육의 모형 = 33 C. 웹 기반 아동문학교육 = 40 1. 웹 기반 아동문학교육의 방향 = 40 2. 웹 기반 아동문학교육 활동 = 45 Ⅲ. 연구 방법 = 51 A. 연구 대상 = 51 B. 연구 도구 = 54 C. 연구 절차 = 59 D. 자료 분석 = 62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64 A. 웹 기반 아동문학교육 모형의 구성요소 = 64 B. 웹 기반 아동문학교육활동에 대한 학습자 및 교사의 요구 분석 = 79 C. 모형의 영역 확인 및 모형의 탐색 = 97 Ⅴ. 요약 및 결론 = 125 A. 요약 및 논의 = 125 B. 결론 및 제언 = 140 참고문헌 = 143 부록 = 158 Abstract = 2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579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문학-
dc.subject웹 기반-
dc.subject교육 모형-
dc.subjectChildren's Literature-
dc.title웹 기반 아동문학 교육 모형 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dc.format.pagexi, 25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초등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