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초등문학교육 모형 개발

Title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초등문학교육 모형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based on brain science theory
Authors
우미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최첨단 뇌 촬영 기법의 발달로 인한 뇌 과학의 연구 결과는 인간에게 최적의 학습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뇌의 특성이나 기능을 교과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문학교육도 뇌의 기능이나 학습 기제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육의 특성을 살린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습자의 문학 능력 신장을 위해 뇌과학이론에 기반한 초등문학교육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구성 요소는 어떠한가? 1-1.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목표는 어떠한가? 1-2.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원리는 어떠한가? 1-3.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내용 요소는 어떠한가? 1-4.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방법은 어떠한가? 2.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 모형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2-1.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모형은 어떠한가? 2-2.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수정 모형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1을 위하여 뇌과학이론의 주요 개념 및 문학의 본질, 초등문학교육의 특성과 관련된 문헌 분석을 실시하여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구성 요소를 목표, 원리, 내용 요소, 방법으로 제시하고 이를 구조화하였다. 첫째, 문학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통하여 문학 능력을 길러 자아를 실현하고 문학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바람직한 인간을 기른다는 제7차 문학교육의 목표와 관련지어 보면, 문학교육은 학습자의 문학 능력 신장을 통한 전인적인 인격 형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교육의 목표는 문학 능력의 신장으로 제시되었고, 문학 능력의 하위 영역은 수용 · 비평 · 창작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원리는 다양한 상징체계의 활용, 총체적인 문학 환경의 제공, 감각 · 동작 학습의 기회 제공, 긍정적인 정서 체험의 기회 제공, 신체 리듬 고려와 주의 촉진 전략의 활용, 의미 탐색과 패턴 형성의 기회 제공, 문학적 공유의 기회 제공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내용 요소는 아동문학의 구성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문학 내용 체계를 관련지어 주제, 구성(사건), 인물(화자), 배경, 문체, 관점의 여섯 가지로 제시되었다. 넷째, 초등문학교육은 초등학교 학습자의 특성인 모방성, 활동성, 유희성, 통합성 등을 살리면서 인지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문학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방법은 전뇌를 활용할 수 있는 행위, 시 · 청각 이미지, 언어적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구성 요소들을 토대로 하여 모형 개발과 모형 수정의 두 단계를 거쳐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 단계에서는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쳤고, 모형 수정 단계에서는 다시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에 따라 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모형 개발의 각 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 단계에서는 초등학교 학습자의 발달 특성 분석, 학습자․교사 요구 조사 분석 및 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과제 분석을 토대로 학습 목표를 진술하였고, 효과 및 만족도 분석을 위한 평가 도구로 문학 능력 검사지와 모형 평가서를 개발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모형 및 총 7회기의 문학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개발 절차들은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실행 단계에서는 서울G초등학교 5학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4월 셋째 주부터 5월 셋째 주까지 5주에 걸쳐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 모형에 의한 문학 수업을 실행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문학 능력 검사와 학습일지 분석 및 2차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모형 수정에 반영하였다. 둘째, 모형 수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개발 단계에서는 모형을 수정하고 총 7회기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6월 둘째 주부터 7월 셋째 주까지 6주에 걸쳐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 수정 모형에 의한 문학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일반적인 문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문학 능력 검사를 측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학 능력 검사지와 모형 평가서를 사용하였다. 모형에 의한 문학 수업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의 문학 능력 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비평과 창작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 수정 모형에 의한 문학 수업이 학습자들의 문학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또한 모형 평가서를 분석한 결과,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 모형이 문학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문학 수업에 대한 관심이나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 구성 요소들을 토대로 체계적인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으며, 초등학교 학습자의 문학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 모형이므로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뇌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과정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문학 능력의 신장에 초점을 둔 문학교육 모형의 개발과 실행에 타당성 있는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행되어야 할 후속 연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모형의 타당성을 최종적으로 입증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효과 검증이 요구된다. 또한 문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거나 변인을 달리해서 보다 정교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뇌 기반 초등문학교육 모형을 통한 문학 수업이 학습자들의 좌 · 우뇌의 인지 스타일이나 지능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brain imag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brain science researches are providing people with scientific grounds for optimal learning. We need to study how the characteristics or functions of the brain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 For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we need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learning mechanism of the brain and to develop learning mode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education.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brain science theories for enhancing elementary learners’ literary abilit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develop a model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as follows. 1. What are the component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1-1. What are the goal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1-2. What are the principle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1-3. What are the content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1-4. What are the method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2. How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2-1. How is the model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2-2. How is the revised model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To answer Question 1, we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the major concepts of brain science theories, the nature of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identified the component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as goals, principles, contents and methods, and structured the elements. First, seeing in connection to the goals of the 7thNational Curriculum for literature education, which are to achieve self-realization by developing literary abilities through receiving and creating literature and to raise desirable persons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development of literary culture, literature education can develop whole personality through enhancing the learners’ literary abilities. Accordingly,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was suggested as the enhancement of literary abilities, and the areas of literary abilities were sub-divided into reception, criticism and creation. Second, the principle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were the use of various symbolic systems, the provision of all-inclusive literary environment,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sensitive learning and gesture learning,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positive emotion, the consideration of physical rhythm and the use of attention prompting strategy,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exploring meanings and forming patterns, and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literary sharing. Third, the content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were suggested as theme, structure(episode), characters(speakers), background, style and viewpoint, associating the components of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structure of literary contents in the elementary literature curriculum. Fourth,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literary experiences for expressing variou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while maintaining elementary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imitation, activeness, amusement and integrity. Thus, the method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were suggested as behaviors, audiovisual images, and linguistic methods utilizing the whole brain. In Question 2, based on the component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we developed a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through two stages, namely, model development and model revision. The stage of model development performed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nd the stage of model revision performed again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and verified the effects. First, the steps of model development are as follows. The analysis step analyzed elementary learner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e needs of learners and teachers, and tasks. The design step stated the goals of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ask analysis, developed a literary ability test and a model evaluation tool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odel and learners’ satisfaction, and examine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development step developed the model and literature teaching-learning plan for a total of 7 sessions. These development steps were verified by specialists. In the implementation step, based on the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literature classes were given to an experimental group of 5th-grade students at Seoul G Elementary School for 5 weeks from the third week of April to the third week of May. The evaluation step tested the students’ literary abilities, analyzed their journals and surveyed their needs, and reflected the results in model revision. Second, the steps of model revision are as follows. The development step revised the model and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7 sessions. In the implementation step, based on the revised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literature classe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six weeks from the second week of June to the third week of July, and ordinary literature classes were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evaluation step tested students’ literary abilities using the literary ability test and the model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research. After literature classes were given based on the model, the result of literary ability test was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criticism and creation. This suggests that the literature class using the revised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learners’ literary abilities. What is m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l evaluation tool, the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was found to help learners improve their literary abilities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interest in or attitude toward literature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suggest that the developed model is valid because it was developed through a systematic process based on the components of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and it was effective in enhancing elementary learners’ literary abilitie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valid guideline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literature education model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literary abilities based on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learning mechanism working in the brain. On the other hand, we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es to b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est the definite validity of the model, the long-term effects of the model should be evaluated through further research.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various forms of evaluation tools to measure literary abilities and to make a more elaborately designed research by expanding the scope of subjects or using different variables. Furthermore, it may be meaningful to study how learners’ cognition style of the left and right brains and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are affected by literature class using a brain-based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