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윤희-
dc.creator전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1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71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11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사회 경제적 수준의 향상에 따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 검진이 보편화 되면서 혈액 종양표지자 검사가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추후 시행되어야 하는 추가적 검사의 종류나 표지자 자체의 추적 관찰 시기 등에 관한 연구 등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 검진 수진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소화기 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종양 표지자 CEA(carcino embryonic antigen), CA19-9(cancer antigen 19-9), AFP(alpha fetoprotein)의 상승 소견을 수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 종양표지자 상승 환자들의 특징과 추적 검사결과를 분석하였다. 2003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 목동병원에 내원하여 일반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3종의 종양표지자 검사를 시행한 수진자 6664명 중 한 가지 이상의 종양표지자 상승 소견을 보인 253명과 정상 소견을 보인 6411명의 환자들의 연령 분포, 과거력과 비만도 등을 비교 하였으며,종양표지자 상승군 253명의 환자들 중 본원에서 한 차례 이상 추적 관찰을 시행 받은 106명 환자들(CEA 상승군 71명, CA19-9 상승군 23명, AFP 상승군 12명)의 경과를 분석하였다. 종양표지자 상승군 253명의 남녀 비(62:38)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40대가 44.3%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고혈압, 당뇨, 결핵의 과거력은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종양표지자 상승군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 보유율이 높았다(18.8% vs 6.4%). CEA 상승은 남성에서, CA19-9 상승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AFP 상승은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복부초음파, 위내시경, 상부위장관 검사, 대장내시경을 통하여 1예의 췌장암이 진단되었으며, AFP 상승군에서추적 관찰 중 2예의 간세포암종이 첫 검진 18개월, 22개월 후 각각 진단되었다. 추적 검사가 이루어진 106명 수진자들의 재검사는 6-12개월 사이에 시행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혈중 종양표지자 수치가 증가한 경우는 38명(35.8%), 감소는 66명(62.2%), 변화 없었던 경우가 2명으로 종양표지자 상승군 중 57%가 추적 관찰 시 종양표지자의 감소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CEA, CA19-9, AFP상승 소견을 보인 건강검진 수검자의 대부분은(252/253=99.6%) 검진 당시 악성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AFP 상승 소견이 있는 간염바이러스 보유자 외에 CEA, CA19-9 상승 환자에서 추적 검사의 필요성과 재검사 시기 및 평가 범위에 대한 추가적인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Background/Aims Blood level of tumor markers are checked inadvertently in general health screening programs without supporting scientific evidences and it has become a practical problem for a clinician to determine how far to investigate, and how often to follow up, the patients with elevated tumor markers. To serve the principle data for this problem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elevated serum levels of CEA, CA19-9 and AFP, and the clinical consequences of these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 Among 6664 persons who visited the health care center of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March to December in 2003, 253 patients who had elevated blood levels of at least one of CEA, CA19-9 or CEA were includ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control. Changes of the blood levels of elevated tumor markers and final diagnoses were investigated in 106 patients who were revisited our institution at least one or more time after the initial evaluation. Results Overall, the sex ratio of the elevated tumor marker group was 62:38 and 44.3% of them were in their forties CEA elevation seemed to be more frequent in male and CA19-9 in female, and AFP elevation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HBV carriers. A case of panceratic cancer was diagnosed with the initial evaluation in elevated CEA group. 57% of the elevated tumor markers were decrease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and two cas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ere detecte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18 months and 22 months after the initial evaluation in elevated AFP group. Conclusion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with elevated CEA, CA19-9 or AFP on routine health screening was free of malignancy (99.6%). HBV carriers with elevated AFP must receive regular surveillance and larger scale investigations are warranted for those with elevated CEA or CA19-9.-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3 III. 결과 5 고찰 10 V. 결론 14 Ⅵ.참고문헌 15 ABSTRACT 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95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건강 검진에서 발견된 종양 표지자(CEA, CA19-9, AFP)상승의 임상적 의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of elevated blood levels of CEA, CA19-9 and AFP on Health Screening-
dc.creator.othernameJun, Yoon Hee-
dc.format.page3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