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reator김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9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12-
dc.description.abstract피질 뇌경색 발병 후 종종 뇌졸중후 간질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뇌졸중후 간질의 병태생리기전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경두개 자기 자극술은 피질의 흥분성을 조사하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뇌졸중후 경련 발생의 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두개 자기자극술을 이용하여 뇌졸중후 간질환자에서의 피질의 흥분성과 억제성의 변화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성 뇌경색을 가진 36명의 환자로 18명은 뇌졸중후 간질환자(평균 연령, 60.4±9.8 세, 여자 3명과 남자 15명)였고 18명은 경련이 없었던 대조군(평균 연령, 67.3±12.1세, 여자 4명과 남자 14명)이었다. 병변은 일측성 전두-두정엽 또는 전두-측두-두정엽(각각 16/18; 14/18)이나 측두-두정엽(각각 2/18; 4/18)에 위치하였다. 운동 피질의 흥분성을 보기 위한 지표로 기저 운동 역치(resting motor threshold: RMT)와 기저 운동 역치의 100%, 120%, 140%의 자극강도에서 생성된 운동유발전위의 크기 및 피질 휴지기(cortical silent period: CSP)를 병변쪽 반구와 반대쪽 반구에서 모두 측정하였다. 뇌졸중후 간질 환자군에서는 병변쪽 반구에서 반대쪽 반구에 비하여 RMT가 증가하였다(78.0±15.9% 및 66.4±12.5%, p = 0.030).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병변쪽 반구에서 역시 RMT가 증가하였다(70.4±18.3% 및 63.3±9.3%, p = 0.276). 뇌졸중후 간질환자군의 운동유발전위는 병변쪽 반구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100% RMT에서 0.013 0.017 및 0.006±0.002; 120% RMT에서 0.105±0.073 및 0.036± 0.015; 140% RMT에서 0.209±0.099 및 0.099±0.075, p = 0.001). 그러나 반대쪽 반구의 경우 두 군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100% RMT에서 0.006±0.004 및 0.007±0.006; 120% RMT에서 0.072±0.069 및 0.078±0.063; 140% RMT에서 0.113±0.101 및 0.176±0.150, p = 0.331). 뇌졸중후 간질 환자군에서는 120%와 140% RMT 자극강도에서 병변쪽 반구의 운동유발전위가 반대쪽 반구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던 반면(각각 p = 0.038과 0.043), 대조군에서는 이와 반대로 병변쪽 반구의 운동유발전위가 반대쪽 반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 = 0.048과 0.023). 이러한 경향은 뇌졸중후 간질 환자군에서 100% RMT 자극강도에서는 보이지 않았지만 120%와 140% RMT의 자극강도에서는 뚜렷하였다. 대조군은 100% 자극강도에서 병변쪽 반구와 반대쪽 반구간의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운동역치의 양반구간의 운동유발전위의 비대칭 지수(interhemispheric asymmetric index)는 뇌졸중후 간질 환자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두 군간의 이러한 경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4). 병변쪽 반구에서의 피질 휴지기는 뇌졸중후 간질환자군에서 반대쪽 반구에 비하여 의미 있게 증가하였고(205.1±83.7 및153.7±60.6초, p = 0.011) 대조군에서도 역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222.8±87.2 및 174.7±38.0초, p = 0.064). 결론적으로 기저운동역치 및 피질내 억제성은 만성피질경색을 가진 뇌졸중후 간질환자와 대조군에서 모두 병변쪽 반구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뇌졸중후 간질 환자군에서는 역치이상의 자극강도로 자극하였을 때 운동피질의 흥분성이 병변쪽 반구에서 뚜렷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이는 더 많은 수의 신경세포체가 동시에 자극됨(recruitment)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피질내 억제성의 변화보다는 증가한 피질 흥분성 즉 운동역치이상의 자극에 의한 피질 운동세포들의 recruitment의 증가가 뇌경색 후 파괴되어 있는 피질 병변에서 간질이 발생하는 기전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경두개 자기자극술을 이용하면 뇌경색후 간질발생의 위험률 예측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Poststroke epilepsy (PSE) often develops after cortical infarction, but pathophysiologic mechanisms are not completely understoo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is a noninvasive technique for safely evaluating cortical excitability, which may help elucidate the mechanism mediating poststroke seizur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cortical excitability and inhibitory interactions using TMS in patients with poststroke epilepsy. Thirty six patients with chronic cortical cerebral infarction with or without subcortical lesions have been included; 18 patients with poststroke epilepsy (mean age, 60.4±9.8 years; three females and fifteen males) and 18 control patients without epilepsy (mean age, 67.3±12.1 years; four females and fourteen males). The lesions were located at unilateral frontoparietal or frontotemporoparietal (16/18 and 14/18, respectively) or temporo-parietal areas (2/18 and 4/18). The indices for motor cortical excitability were measured including resting motor threshold (RMT) and MEP amplitudes at 100%, 120%, 140% RMT and cortical silent periods (CSP) both in the affected and unaffected hemispheres. Cortical excitability showed increased RMT in the affected hemisphere (AH) compared to the unaffected hemisphere (UH) in PSE group (78.0±15.9% vs. 66.4±12.5%, p = 0.030). Control group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H and UH (70.4±18.3% vs. 63.3±9.3%, p = 0.276). Normalized MEPs (nMEP) of AH in P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0.013±0.017 vs. 0.006±0.002 at 100% RMT; 0.105±0.073 vs. 0.036±0.015 at 120% RMT; 0.209±0.099 vs. 0.099 ± 0.075 at 140% RMT; p = 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H between PSE and control groups at each intensity (0.006±0.004 vs. 0.007±0.006 at 100% RMT; 0.072±0.069 vs. 0.078±0.063 at 120% RMT; 0.113±0.101 vs. 0.176±0.150 at 140% RMT; p = 0.331). In PSE group, nMEPs of AH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UH at 120% and 140% RMT (p = 0.038 and 0.043, respectively) whereas control group revealed lower nMEP in the AH compared to the UH at those intensities (p = 0.048 and 0.023, respectively). At 100% RM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H and the UH both in PSE and control groups. Asymmetric indices of nME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PSE group comparing to those in control group which tended to decrease (p = 0.04). CSP in the AH significantly prolonged compared to the UH in PSE group (205.1±83.7 vs.153.7±60.6 seconds, p = 0.011). Control group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increase of CSP in the AH (222.8±87.2 vs. 174.7±38.0 seconds, p = 0.064). In conclusion, motor thresholds and intracortical inhibi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ffected hemisphere both in PSE and control groups with chronic cortical infarction. In PSE group, however, motor cortical excitability at suprathreshold stimulations increased markedly in the affected hemisphere, which indicates more neuronal recruitments after the stimul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cessive cortical excitability and more neuronal recruitments rather than altered intracortical inhibition can be responsible for the epileptogenesis after the destructive cortical le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CKNOWLEDGMENT = vi ABSTRACT = vii I.INTRODUCTION = 1 II.SUBJECTS AND METHODS = 3 III.RESULTS = 9 IV.DISCUSSION = 21 V.CONCLUSION = 29 VI.REFERENCES = 31 VII.국문 초록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4653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he Changes of Cortical Excitability in Patients with Poststroke Epilepsy-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뇌졸중후 간질환자에서의 피질 흥분성의 변화-
dc.creator.othernameKim, Jee Hyun-
dc.format.pageix, 4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