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연규월-
dc.contributor.author박샛별-
dc.creator박샛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8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824-
dc.description.abstractThough serious efforts for clinical and genetic approaches in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n obesity have been made, it has been rarely studied on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gene expression of various adipokin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four major adipokines such as leptin, adiponecti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nd correlate psychosocial factors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Forty eight adult cases of patients admitted for abdominal surgery which are not related with inflammatory or neoplastic condition were analyzed for expression of 4 adipokines and 4 kinds of psychosocial tests. Pre-operativ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medical examination for all adult cases were made. Serum samples were obtained for analysis of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insulin, cortisol and 4 adipokines. Serum insulin and cortisol were measured using radioimmunoassay (RIA) method. 4 serum adipokine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40 adult cases were analyzed for mRNA expression in both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tissues using RT-PCR method. The psychosocial tests included The Eating Attitude Test(EAT),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Moudsley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MOCI), and Index of Clinical Stress (ICS) by means of questionnaires. Obesity is defined as BMI above 25.0㎏/m2. The Obese group was 23 samples(47.9%) and normal group was 25 samples(52.1%) among the subjects. Compared to normal group, circumference of waist and hip,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ith levels of total cholesterol, insulin and hsCRP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mRNA expression and plasma levels of leptin, VEGF and HGF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normal. The adiponectin mRNA expression and plasma level was lower in obese group than normal. mRNA expression of leptin, adiponectin and HGF was significantly more detected in subcutaneous fat tissue than visceral fat. mRNA expression of VEGF was significantly less detected in subcutaneous fat tissue than visceral fat. The psychosocial degre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stress index score had increased tendency in obese group(p=0.08). The more cortisol increases, the higher hsCRP is and the less serum adiponectin is. EAT was correlated with depression scale and stress index among psychosocial factors. Stress index was also correlated with depression scale. Compared to sex, CES-D was reverse related with VEGF in visceral fat tissue and stress index was correlated with cholesterol at male. Meanwhile, only CES-D was reverse related with waist-hip ratio at fem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atomic location of fat tissue have much influence on degree of adipokine appearance and psychosoci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ome items of clinical and laboratory obesity characteristics. Various factors including psychosocial,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 may be applied to indices of obesity. Also these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of obesity.;비만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대한 많은 임상 · 기초의학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그 기전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유전자들의 발현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문헌, 특히 비만 지표들과 정신사회적 요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인들을 대상으로 비만의 발생기전에 작용하는 것으로 정립된 유전자들 중 leptin을 비롯하여 혈관 내피계에 주로 작용하는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이하 VEGF), 세포의 분화 및 이동에 관련된 hepatocyte growth factor (이하 HGF) 및 비만 억제 기전에 관련되는 adiponectin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비만 관련 임상 인자들과 정신사회적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개복수술을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염증, 종양, 대사성 질환이 없는 48명으로 하였다. 수술 전 대상자들의 신체 계측 및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정맥혈을 채취하여 혈당과 콜레스테롤 농도를 일반생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아울러 혈청 인슐린, 코티솔,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이하 hsCRP)는 방사면역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고 혈청 leptin, adiponectin, VEGF, HGF 농도는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기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 중 40명에서는 수술 중 피하 및 복강 내 지방 조직을 채취한 후 leptin, adiponectin, VEGF, HGF mRNA 발현을 반정량적 RT-PCR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한편, 모든 연구대상의 식습관, 우울, 강박, 스트레스 등의 정신사회적 인자들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평가도구로는 각각 한국판 식사태도 검사,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모즐리 강박척도 및 임상 스트레스 지수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 중 체질량지수 25.0 ㎏/㎡ 이상인 비만군은 23명(47.9%)이었으며, 정상군은 25명(52.1%)이었다. 비만군은 정상군에 비해 허리 및 둔부 둘레, 체중, 수축기혈압 및 확장기 혈압이 높았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hsCRP 수치, 혈청 leptin, VEGF, HGF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보호인자로 알려진 adiponectin은 비만군에서 낮았다. 지방 조직에서의 mRNA 발현은 피하 지방의 경우 leptin, adiponectin, HGF mRNA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더욱 강한 density로 검출되었고, 복강 내 지방에서는 VEGF mRNA가 대조군에 비해 강한 density로 검출되었다. 정신사회적 인자들은 비만군이 정상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8). 코티솔의 변화 양상은 코티솔이 증가할수록 hsCRP은 높아졌고 혈청 adiponectin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사회적 척도들 중 식사태도 항목은 우울 및 스트레스 인자와 양의 상관성이 있었고 스트레스 지수는 우울 항목과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성별에 따라 구분해 보면 남성에서는 우울 척도가 내장지방 조직에서의 VEGF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스트레스 지수는 콜레스테롤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한편 여성에서는 우울 척도만이 허리 둔부 둘레비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adipokine의 발현은 지방 조직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adipokine의 혈청 농도 및 지방조직 내 발현은 비만도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또한 adipokine은 혈압, 콜레스테롤, 코티솔, CRP등 비만에서 동반되는 대상 이상과도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Adipokine은 정신사회적 인자들과도 부분적으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성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정신사회학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인자들이 비만의 척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인자들은 복합적으로 비만의 병태 생리 기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4 Ⅲ. 결과 = 11 Ⅳ. 고찰 = 23 Ⅴ. 결론 = 28 참고문헌 = 30 ABSTRACT =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7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만 성인에서의 Adipokine 발현과 정신사회적 요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Expression of Adipokines in Obese Adult and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Factors-
dc.creator.othernamePark, Sat-Byul-
dc.format.pageⅷ, 3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