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서문희-
dc.creator서문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8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8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학교상담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의 처우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및 소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처우만족도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현재 중·고등학교와 지역청에 재직 중인 전문상담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처우만족도 질문지,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 상담자 소진 척도(K-CBI)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먼저 전문상담교사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 연령, 근무형태, 경력)에 따른 처우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소진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전문상담교사가 지각하는 처우만족도가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및 소진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알아보고, 처우만족도과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처우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소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우선 전문상담교사의 성별에 따라 처우만족도과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소진에서는 남교사에 비해 여교사가 더 많은 소진 경험을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변화에 따라서는 처우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소진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처우에 대한 만족도는 20대, 30대에 비하여 40대의 교사 집단이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는 20대, 30대, 40대 순으로 높았고, 소진의 경우에는 30대, 50대, 20대 순으로 많이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근무 경력에 따라서는 5년 이상의 경력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처우만족도와 낮은 소진 경험을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처우만족도는 전문상담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하여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처우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처우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의 전체변량 중 18.2%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처우만족도는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에 대해서도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는데, 처우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은 낮게 보고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전문상담교사 소진의 총 변화량 중 17.8%를 처우만족도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상담교사들의 처우만족도는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해서도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처우에 대한 높은 만족도는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을 직접적으로 완화시키기도 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임으로써 간접적으로 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진에 대한 설명량을 보면 처우만족도 단독으로는 17.8%, 심리적 안녕감이 투입되었을 때는 설명량이 44.4%로 늘어, 처우만족도가 통제된 후에도 심리적 안녕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with trea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mo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h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motion of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the facilitation of school counseling, and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treatment and burnout. Total 153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and local educational agencies were administered with a questionnaire about satisfaction with trea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nd Counselor Burnout Inventory(K-CBI) to collect data. Collected data were then used to test mean differences among satisfaction with trea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gender, age, types of work, and career). Then it was examined how satisfaction with treatment perceived by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as related to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was perform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with treatment and burnou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with the Sobel Te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rea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hil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rea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ender, the male teachers reported more burnout experiences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ll satisfaction with treat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urnout according to age. Those in their forties had more satisfaction with treatment than those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were in their twenties, who were followed by those in their thirties and those in their forties in the order. The burnout experiences were the most among those who were in their thirties, fifties, and twenties in the order. Those who had a career of five years or longer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with treatment and less burnout experience than the other groups with no differences observed among the groups i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atisfaction with treatment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more satisfaction with treatment they had, the more psychological well-being they experienced. Satisfaction with treatment had 18.2% explanatory power of the overall varia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satisfaction with treatment also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the burnout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 more satisfaction with treatment they had, the less burnout they reported. Satisfaction with treatment had 17.8% explanatory power of the overall variant of burnout. Finally, satisfaction with treatment perceived by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not only had direct influences on their burnout, but also mediating effects on it through psychological well-be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reatment directly relieves burnout and indirectly mitigates it through hig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xplanatory power of satisfaction with treatment for burnout was 17.8% by itself and increased to 44.4% whe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introduced. When satisfaction with treatment was controlled, psychological well-being still had significant impacts on burnou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4 Ⅱ. 이론적 배경 5 A. 전문상담교사제도 5 B. 전문상담교사의 처우만족 7 C. 심리적 안녕감 8 D. 소진 12 E. 처우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15 F. 처우만족과 소진의 관계 16 G. 처우만족, 심리적 안녕감, 소진의 관계 17 Ⅲ. 연구방법 20 A. 연구 대상 20 B. 연구 도구 21 1. 전문상담교사의 처우만족도 21 2. 심리적 안녕감 척도 23 3. 상담자 소진 척도 24 C. 연구 절차 25 D. 자료 분석 26 Ⅳ. 연구결과 28 A.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28 B. 주요 변인들의 차이분석 30 1. 성별에 따른 차이 30 2. 연령에 따른 차이분석 31 3. 경력에 따른 차이분석 32 4. 근무형태에 따른 차이 33 C. 처우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33 Ⅴ. 결론 및 제언 35 A. 요약 및 논의 35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9 참고문헌 41 부록 45 부록1. 처우에 대한 만족도 질문지 47 부록2. 심리적 안녕감 척도 49 부록3. 상담자 소진 척도 54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89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전문상담교사의 처우만족과 심리적 안녕감 및 소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