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및 진로성숙과의 관계

Title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및 진로성숙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ies
Authors
김효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에 관한 연구이다. 초등학교 시기는 진로에 대한 인식이 시작되는 시기이며, 학교교육과 더불어 가정에서의 자녀에 대한 올바른 애착형성은 자녀들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애착과 자아개념을 설정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진로성숙 수준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런 접근을 통해 얻어지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에 관한 이해는 앞으로 이들의 진로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천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156명, 일반가정 아동 160명, 총 31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애착 검사를 위해 유성경과 박승리, 황매향(2010)이 한국의 초·중·고등학생에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타당화하여 개발한 한국형 부모애착척도(IPA)를 사용하였으며, 자아개념 검사를 위해 윤희준(1985)이 범주화하여 제작한 자아개념 검사를 태명화(1998)가 다시 재구성한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진로성숙도 검사를 위해 안창규(2003)의 Holland 진로발달검사 중 1부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 아동의 부모와의 애착과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 검증에서는 부모와의 애착과 진로성숙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애착에서는 부애착, 모애착 모두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높았으며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이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 사회단체, 학교 차원의 지원과 상담프로그램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진로성숙 수준에 있어서 일반가정 아동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진로성숙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흥미를 갖고 찾아갈 수 있도록 진로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근거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 아동의 부모와의 애착, 자아개념, 진로성숙 수준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일반가정 아동의 경우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매개를 하는 않는다는 결과를 보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일반 아동과 마찬가지로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아개념의 매개 효과에서는 완전매개 모형이 채택되었다. 부모와의 신뢰, 의사소통, 소외와 같은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사회적, 인성적, 학업적 자아의 자아개념 수준이 높고 자아개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 수준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부모애착과 더불어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과 진로성숙 수준의 관계에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아동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가정 아동은 부모애착이 진로의식 성숙 수준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이는 일반가정 아동의 경우는 어려서부터 부모애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진로의식도 성장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는 부모애착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서 자아개념이 매개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개념 설계에 있어서 자아개념이 중요한 매개를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진로성숙 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부모애착과 자아개념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아직까지 제대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진로성숙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진로성숙의 측면에서 부모애착, 자아개념이라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진로관련 프로그램 개발이나 상담전략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with a focus on the former's career maturity, which had not been systematically researched. The study set parent attachment and self-concept as the factors to affect career maturity and examined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That approach would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 set of findings that would serve as basic data to future researches on how to enhance their career awareness.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a parent attachment inventory, self-concept inventory, and career maturity inventory to 156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60 from general ones from fourth to sixth grade in Incheon. Employed in the study to measure parent attachment was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IPA) revised and validated by Yoo Sung-kyung, Park Seung-lee and Hwang Mae-hyang(2001). Children's self-concept was measured with the Self-Concept Inventory categorized and created by Yun Hee-jun(1985) and reorganized by Tae Myeong-hwa(1998). Their career maturity was examined Holland Course Development Test by Ahn Chang-gyu(200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tested differences in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 attachment and career maturity. The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had a significantly higher communication level with parents both in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social groups, and school need to provide them with supports and counseling programs so that they can form stable attachment. The career maturity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than those from multi-cultural ones, which raises a need to provide the latter with career education, counseling, and experiential activities to enhance career awareness. Second, the relations among the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more parent attachment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had, the more significantly greater career maturity they exhibited. However, self-concept had no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o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areer maturity as their parent attachment level rose.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adopted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The higher parent attachment level they were in including trust,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the greater self-concept they had including physical, social, personality, and academic self-concept. The greater self-concept they had, the higher their career maturity became.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a self-concept approach is also needed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 their career awareness.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between elementary school kid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Parent attachment had direct influences on career maturity among children from general families. Since they form parent attachment stably when young, their higher parent attachment level leads to their higher career awareness. On the other hand, self-concept played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us it can be interpreted that self-concept has important mediating effects on their design of career concept. The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bout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has not been fully researched,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f parent attachment and self-concept as the variables to affect career maturity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general ones. It was also a significant attempt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self-concept in the aspect of career maturity. Th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a career education program or setting counseling strateg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