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지향-
dc.contributor.author조선민-
dc.creator조선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3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전통 문화유산인 종묘제례악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프로젝트 접근법(project approach)을 적용하여 교사와 학습자가 종묘제례악의 의미와 가치를 함께 탐구하는 교수·학습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600년 동안 단절 없이 지속되어 온 다른 민족과 구별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악으로, 동양적 제례의 전통을 우리의 문화와 결합시킨 세계 유일한 사례이기 때문에 ‘전통 문화의 고유하고 본질적인 가치’면에서 교육적 의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중학교 1학년 16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8종의 교과서(교학사, 금성, 박영사, 성안당, 세광, 지학사, 태성, 현대 음악출판사)에서 종묘제례악의 배경과 악 · 가 · 무 구성, 악기편성에 대하여 상세히 수록하였으며, 5종의 교과서(교문사, 더 텍스트, 두산동아, 천재교육(민은기 외), 태림 출판사)에서 종묘제례악의 음악사적 의미와 가치를 서술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세계화 ·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다양한 시대와 여러 문화권의 악곡들을 통한 음악적 안목의 신장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가치를 인식하게 하기 위해 학습이 한층 더 강조된 종묘제례악을 보다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대안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차시에서는 종묘제례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프로젝트의 준비를 위한 활동으로 학습자들의 사전 경험, 지식 등을 반영한 공동 주제망 및 교수·학습안을 구성하여 종묘제례악 학습에서 이루어져야 할 주요 영역들을 골고루 포함시키고 앞으로 전개할 학습의 방향을 학습자들과 함께 설정하도록 제시하였다. 2차시에서는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학습의 과정에 개입하여 조사 및 탐구를 주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탐구의 시간을 제공하고, 현장학습을 통해 종묘제례악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3차시에서는 종묘제례악 학습의 결과를 동료들과 함께 공유하고 종묘제례악의 음악과 춤을 활용하여 의식음악을 재창조하도록 하여 학생들 스스로가 의식음악의 의의를 생각하면서 종묘제례악에 의미와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본 교수·학습안의 신뢰도 및 효과를 검증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진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본 지도안이 종묘제례악을 이해하고 가치를 느끼기에 적합하며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해 국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다고 조사되었으며, 한편으로는 방대한 자료를 실질적으로 모두 학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경우 학습자의 발달 단계와 능력 수준에 따라 종묘제례악 학습에 사용된 개념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하길 권장하며, 이에 따라 학습자들이 스스로 종묘제례악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고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edagogy in which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alike pursue the meanings and value of Jongmyo-Jeryeak, which is one of the cultural heritages of Korea, using the project approach for the freshmen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s. Jongmyo-Jeryeak is one of the most famous musical heritages in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only of its kind in the whole world for it has combined the ceremonial culture of the Asian tradition and our own culture. For this reason, Jongmyo-Jeryeak is highly recognized in term of 'the original and substantial value of the traditional culture' for its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16 kind of music text books that are newly introduced with the adaptation of the revised musical curriculum of 2007.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showed that the music textbooks from 8 publishers (Gyohaksa, Geumseong, Parkyoungsa, Seongandang, Segwang, Jihaksa, Taeseong, Hyundai Musical Publication) appeared to cover the organization of Jongmyo-Jeryeak in terms of the music, songs, dances, and the instrument arrangements. Five other publishers covered the subject with more focus on the implication and value of Jongmyo-Jeryeak in terms of the music history (Gyomoonsa, The Text, Doosan-Donga, Cheonjae Gyoyook(Min et al.), Taerim Musical Publication). As a result of this and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new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where the cultivation of the musical aptness through experiencing the music of various cultures and the importance of our musical heritage is more and more emphasized, and for this reason, where weight Jongmyo-Jeryeak carries in the curriculum increased even more, we proposed a pedagogy to teach Jongmyo-Jeryeak using the project based approach. In our first stage, therefore, the pedagogy that was suggested incorporated the activities to help the students achieve fundamental understandings and prepare for the project and was intended to include, as a result, was established along with a network of themes where the previous experiences and knowledge was reflected. With this curriculum, all of the domains that should be covered in teaching Jongmyo-Jeryeak were all widely included, and the learners were encouraged to set the direction of the lessons in cooperation with the teachers. In the 2nd stage, substantial interventions were made in the learning process by the learners to utilize the experts who have abundant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 to provide the learners to explore on their own and learn with more of self initiative. Also, the opportunities for field trips were provided so that the learners can make a more in-depth research on Jongmyo-Jeryeak. In the 3rd stage, the learners were to share what they had learned about Jongmyo-Jeryeak after the preceding stages and guided to recreate their own version of ritual music using the music tunes and dances that were found in Jongmyo-Jeryeak. In the mean time, the program was also intended to let the learners to think of the meanings of the ritual music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Jongmyo-Jeryeak as well.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eachers to find out the reliability and efficacy of the pedagogy, along with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to be used in actual classes at school. The result of the survey revealed that many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is curriculum plan would be enough to help the learner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value of Jongmyo-Jeryeak.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project approach could be helpful in stimulating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about the traditional music of Korea.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interviewees thought that it would be impractical to let the student try to learn all of the vast amount of the material. In this regard, it was recommended to select and utilize the concepts used in teaching Jongmyo-Jeryeak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level and capability of the learners when apply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n actual classrooms. And, it is our hope that the findings in this study may help the learners of Jongmyo-Jeryeak feel and express the value and meanings thereof on their ow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3 C. 연구의 제한점 4 D. 선행연구 4 Ⅱ. 이론적 배경 6 A. 프로젝트 접근법 6 1. 프로젝트 접근법의 정의와 배경 6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및 특성 9 3. 프로젝트 접근법의 학습과정 11 B. 종묘제례악의 이해 18 1. 종묘제례악의 역사 및 구성 18 2. 종묘제례악의 교육적 가치 29 Ⅲ. 연구방법 31 A.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종묘제례악 내용 31 1. 중학교 1학년 16종 교과서의 종묘제례악 분석 31 B.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종묘제례악 교수·학습안의 실제 34 1.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종묘제례악 학습절차 34 2.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종묘제례악 교수·학습안 47 C.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종묘제례악 교수·학습안의 설문결과 분석 65 Ⅳ. 결론 및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73 부록 1. 의식음악 브레인스토밍 학습지(1차시) 73 부록 2. 모둠 활동 학습지(1차시) 74 부록 3. 전문가 탐구 활동 학습지(2차시) 75 부록 4. 현장학습 탐구 활동 보고서(2차시) 76 부록 5. 학습 평가지(3차시) 81 부록 6. 현직교사 설문조사지 82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5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종묘제례악 교수·학습안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edagogy of Jongmyo-Jeryeak for Junior High Freshmen Using the Project Approach-
dc.creator.othernameCho, Sun Min-
dc.format.pageix,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