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준식-
dc.contributor.author배재원-
dc.creator배재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6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624-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aims to re-establish objective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propose a direction the culture education should take in accord with the goal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Thus far,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has been given as an educational tool for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of language or along that lin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 various purposes of learning the Korean cultur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new paradigm in the culture education, besides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erefore, the study of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Korean language learners' learning motives and objectives so that it can construct a new paradigm of culture education and accordingly suggest a direction of teaching the culture. Chapter Ⅰ presents the aim and necessity of this study, examining the previous literature related to the current topic into the goals and directions of culture education,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and methodologies of culture education. Then it explains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research. Chapter Ⅱ critically considers the cultur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the concept of culture, extensive and stratified, i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foreign language pedagogy which is relevant to the research, as well as from the those of humanities, sociology, and anthropology. Furthermore, a close insp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is carried out on each type of culture educations, i.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he status quo of culture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vestigated in terms of debate over the status and methodology of culture education. There is a suggestion that the notion of culture, confined to the communication for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be extended. Chapter Ⅲ establishes two paradigms of culture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new paradigms includes the three kinds of motivation, viz., instrumental motivation (la motivation utilitaire), integrated motivation (la motivation intégrative), and existential motivation (l'existence d'une motivation)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solidify this theory, there was a depth interview with Korean American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wh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background of a native country and the motive of learning Korean. As a result, another purpose of developing ‘Cultural Literacy’ could be extracted as a paradigm, which is additional to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goal and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There was also a relation set up between the two paradigms of culture educatio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developing ‘Cultural Literacy.’ Chapter Ⅳ presents the principles of culture education and suggests a direction that the culture education should follow according to the two paradigms. To begin with, the features of Korean culture, as an educational subject, were examined, which were categorized into Cultural Products, Cultural Practice, and Cultural Perspective.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 categories were also defined: Their relationships could be cast in the culture of visible outcomes and the culture of invisible actions, in which the Cultural Products and the Cultural Practice occur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Perspective whereas the Cultural Products and the Cultural Practice influence the Cultural Perspective in return. These close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categories of Korean culture were applied as a foundation for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ulture education. Next, the basic principle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ere presented: One is an ‘intercultural approach’ in which the Korean culture is positioned in comparison to a native country(residing country) and the other is a ‘holistic approach’ to the three categories of Korean cultur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Based on such, a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was proposed in accord with the two paradigm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Literacy.’ Chapter Ⅴ reconsiders the key issues of the research and looks into the implications of culture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it presen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new paradigm of fostering ‘Cultural Literacy’ for the existing study on the culture education which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s part of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in that it sought a direction of educating cultu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come the foundation in the research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that mirrors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diverse variables, and the suggested direction in compliance with the two paradigms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in the study of methodologies for the culture education. Moreover, the attempt that the properties of Korean culture were applied as a basic principle for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ntrinsically related the research of Korean culture with its education.;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를 재설정하고, 문화 교육의 목표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 교육의 도구이거나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문화 학습에의 다양한 목적을 고려할 때 문화 교육 목표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학습 목표를 살펴봄으로써 문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목표 및 방향, 문화 교육 내용,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고,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그 다음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를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하였다. 우선 광범위하고 중층적인 문화의 개념을 인문학, 사회학, 인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외국어교육학에서 논의하는 문화의 개념도 알아보았다. 이어 현재 한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국제이해교육,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유형별 특성을 면밀히 짚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현황을 문화 교육의 위상과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소통의 틀 안에 묶여 있는 문화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을 구축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의 이론적 배경은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동기에 도구적 동기 및 통합적 동기와 더불어 실존적 동기가 존재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론을 공고히 하기 위해 자국 문화 배경과 한국어 학습 동기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재미교포 학습자와 중국인 학습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 교육의 목표와 방향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외에 또 다른 목표인 ‘문화 이해 능력’ 함양이라는 패러다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 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으로 구축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이해 능력’ 함양의 관계를 설정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문화 교육 원리를 제시하고 두 패러다임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한국문화를 성취문화, 행동문화 및 관념문화로 범주화하였으며, 그 범주 간의 상호 관계성을 밝혀보았다. 이들의 관계는 가시적 결과의 문화와 비가시적 작용의 문화로 규명할 수 있는데, 관념문화를 바탕으로 성취문화와 행동문화가 발생하고, 성취문화와 행동문화는 다시 관념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한국문화 범주 간의 긴밀한 상호 관계성은 문화 교육 원리의 근거로 적용되었다. 다음으로 자국(거주국) 문화와의 비교 속에 한국문화를 자리매김하는 ‘상호 문화적 접근’과 한국문화 세 범주에 대한 ‘총체적 접근’을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이라는 두 패러다임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 점들을 다시 짚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언어 교육의 일환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 온 문화 교육에 ‘문화 이해 능력’ 함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였으며, 그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한 문화 교육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두 패러다임에 따른 문화 교육 방향 제시는 문화 교육 연구에 있어 하나의 이정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한국문화의 특징이 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로 적용될 수 있도록 시도함으로써, 한국문화 연구와 한국문화 교육의 내재적 연계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목적 1 B.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11 Ⅱ.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 15 A.문화와 문화 교육 15 1.문화의 개념과 문화에 대한 관점 15 2.문화 교육의 유형과 특성 21 B.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개념 38 1.의사소통과 문화 38 2.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43 C.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현황 48 1.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위상 48 2.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안 51 Ⅲ.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 63 A.문화 교육 목표 재설정의 필요성 63 B.(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지향하는 문화 교육의 목적 73 1.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 73 2.한국어 학습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의식 및 문화 교육 목적 75 C.문화 교육의 두 패러다임: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 94 1.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교육 94 2.문화 이해 능력 함양과 문화 교육 98 3.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 능력의 관계 105 Ⅳ.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와 교육 방향 108 A.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 특징과 범주 108 1.문화 교육 대상으로서의 한국문화 특징 108 2.한국문화 범주 간의 상호 관계성 114 B.한국문화 교육의 기본 원리 134 1.상호 문화적 접근 원리 134 2.한국문화 세 범주에 대한 총체적 접근 원리 140 C.두 패러다임에 따른 한국문화 교육 방향 143 1.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 방향 143 2.문화 이해 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 교육 방향 146 Ⅴ.결론 150 참고문헌 153 Abstract 1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19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dc.creator.othernameBae, Jae Won-
dc.format.pageviii, 17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