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8 Download: 0

페이스북 기반 소셜러닝(Social Learning) 학습환경 설계

Title
페이스북 기반 소셜러닝(Social Learning) 학습환경 설계
Other Titles
Social Learning Platform Design on Facebook
Authors
조윤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숙
Abstract
현존하는 이러닝은 학습 콘텐츠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발전해오면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개별학습이 가능하도록 발전해왔다. 이러한 이러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러닝의 한계와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학습자에게 실재적(authentic) 학습환경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교수자 및 학습자간 ‘상호작용(interaction)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실재감(presence) 부족’의 느낌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이러닝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학습자의 ‘실재감 부족’ 해결을 위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함으로써 실재적 학습환경이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표적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페이스북(facebook)을 활용하여 소셜러닝(social learning) 학습환경을 설계 구현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페이스북이 소셜러닝 온라인 학습환경의 최적의 도구임을 사례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확인한다. 연구문제 2.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상호작용이 강화된 소셜러닝 학습환경을 설계 구현이 가능하다. 연구문제 3. 페이스북 개방형 응용프로그램 개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학습활동에 필요한 추가적인 학습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통해 연구작업을 진행하였다. 우선 사회적구성주의 교육이론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교수자의 일방적인 지식전달’이라는 기존의 교수·학습이론에서 ‘학습자 중심의 주도적 학습’으로의 교수·학습 이론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최근 소셜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소셜러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소셜러닝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리해보았다. 온라인상에서 실재적 학습환경을 제공해주기란 쉽지 않다. 온라인상에서 실재적 학습환경 제공을 위해 최근 등장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활용가능한 지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환경에서는 현실세계의 사회적 관계와 유사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통해 학습자에게 실재적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신속하고 즉자적 반응이 가능한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통해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확장된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이 크게 증진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실재적 학습환경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대표적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페이스북(facebook)의 교육적 활용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러닝 학습환경을 설계 및 구현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작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페이스북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참여적 학습이라고 정의되는 소셜러닝최적의 학습 플랫폼이 될 수 있었다. 단순히 인맥관리 서비스라고 생각하기 쉬운 페이스북은 현실세계의 사회적 관계와 유사한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할 수 있어 학습자에게 실재적 학습환경을 제공하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관심사 및 주제를 매개로 한 전문가 그룹과의 추가적 관계망 형성이 가능하여 지식 탐색 및 축적의 학습과정에서 소셜멘토링이 가능한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둘째,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상호작용이 강화된 소셜러닝 학습환경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하였다. 페이스북의 좋아요(like) 및 댓글쓰기, 공유하기(share) 등의 기능은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서 실시간 알림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수자 및 학습자간의 신속한 상호작용이 발생되어 학습자의 실재감(presence)을 높일 수 있었다. 셋째, 페이스북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능들 외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기능 확장이 가능하였다. 웹2.0의 개방, 공유, 참여, 협력을 기반으로 하여 페이스북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개방형 응용프로그램 개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필요한 학습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연구의 가능성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히 인맥관리서비스라고 생각하기 쉬운 페이스북을 활용하여 학습환경을 구현하고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을 기반으로 한 학습환경 설계 및 구현에 연구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페이스북 기반의 학습사이트에 대한 효과성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향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소셜러닝 사이트를 실제 학습에 활용하고 이에 대한 학업성취도 측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면 소셜러닝의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소셜러닝은 현재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페이스북 또한 지속적인 개발과 업그레이드를 통해 기술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5월 초 기준으로 학습환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에 본 연구시점 이후에 생겨난 연구 결과 및 개발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후 관련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연구결과 및 개발환경을 다루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관심있는 연구 영역은 기존의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과 연동되는 소셜러닝에 대한 연구이다. 셋째, 본 연구가 진행되는 시점에 가장 대표적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국외에서 개발된 페이스북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함에 따라 본 연구가 국외 기술 의존성이 높아지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에서도 굴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등장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되며 본 연구의 기본 설계를 토대로 국내 SNS를 기반으로 한 소셜러닝 학습환경 설계 및 구현 관련 연구 작업도 의미있는 후속 연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기반 소셜러닝의 기본적 학습환경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소셜러닝 학습사이트에 보다 적합한 학습내용의 선정에 따른 학습활동의 연관성 관련 연구는 진행되지 못하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학습사이트는 비형식학습(informal learning)과 형식학습(formal learning)의 개념에서 어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한 연구 및 학습내용의 유형에 따른 학습활동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소셜러닝 활동의 일반화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제약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대표적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페이스북을 학습 플랫폼으로 활용함은 현존 이러닝 사이트의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학습자의 ‘실재감 부족’을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순히 인맥관리서비스로만 생각하기 쉬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페이스북은 다른 소셜미디어 매체들에 비해 효과적인 수업활동 및 학습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소셜미디어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한 수업활동들이 생겨날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온라인상의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한 소셜러닝(Social Learning)은 교수자 및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강화를 통해 실재감 높은 학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해마다 발생하는 7만 여명의 국내 탈학교 청소년들이 느끼는 소수자로서의 고립감을 해소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E-learning comprise of delivery of contents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Current e-Learning services have advanced enough to enable learners to pursue individual learning without constraints (i.e., time and distance to classroom). Despites significant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e-learning, however, there exist a number of disadvantages and challenges. E-Learning fails to provide authentic and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to learners so that learners experience ‘lack of social interaction’ and ‘lack of human presence’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Thus,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Network Service (SNS) can be utilized to design authentic learning environment to overcome challenges that e-Learning community is facing (lack of social interaction and presence). Specifically, we aimed to design and develop a learning platform that facilitates social learning by utilizing Facebook, one of the most popular SNS. This study had three Specific Aims. Specific Aim 1: To summarize existing literature on e-Learning and discuss whether Facebook can be a optimal platform for e-learning. Specific Aim 2: To investigate whether Facebook can be utilized to design and develop appropriate social learning environment leading to enhanced ‘social or huma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or among learners Specific Aim 3: To investigate whether open-sourc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Open API) of Facebook can be utilized to enhance learning activities additionally and to provide flexibilities of activities To accomplish our study aims, first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concepts and history of e-Learning and social learning. Based on concepts of social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it was possible to summarize current changes in pedagogy from ‘one-way transfer of knowledge’ by instructors in a context of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to ‘self-directed learning’ by learners. Thus, we tried to conceptualize the social learning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web technology such as social media. There are a number of disadvantages of e-Learning on online. For example, a learner may feel isolated from instructors or from fellow learners due to lack of human interaction. We examined exemplary cases whether SNS can be used to provide interactive and direct learning environment. We hypothesized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active and effective learning platform on Facebook or SNS by connecting learners to social networking, which is similar to social relationships in real world. Furthermore, it was hypothesized that social interaction among learners or between learners and extended instructors can be enhanced through prompt, and immediate response mechanisms available in SNS. Additionally, we review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at choosing Facebook, one of popular SNS, can provide us the possibility of a learning platform for e-Learning. Finally, we designed and developed a learning platform on Facebook to test the possibilit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our design of a learning platform on Facebook, we conclude followings: First, Facebook can be an optimal learning platform for e-Learning environment to fulfill the requirements of social learning. Facebook is not just a simple social networking tool, but a tool that enable learners to establish social networks similar to existing human relationships in a real world. Thus, it is possible for learners to engage social interaction that is important in traditional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learners to additionally connect themselves with experts in their fields, so that learners can receive experts’ social mentoring in particular topics of interest within a context of social learning environment. Furthermore, various Facebook’s functions such as “like”, “reply” or “share” can provide immediate and real-time responses to both educators/instructors, which make learners feel the enhanced ‘presence’ of learners within environment. Second, we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design and develop a learning platform in Facebook, suitable to social learning with advantages of social interaction. Facebook provided flexibilities to expand necessary functions beyond basic functions for a leaning platform based on needs of instructors. The flexibility or connectedness between Facebook and Web 2.0 application that facilitate openness, sharing,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provided necessary learning functions or activities, which were easily constructed via Open API. Our primary study aim was to design and develop a learning platform based on Facebook. As a result, it is likely that our study did not address a number of important requirements in social learning. Those are follows: First, we did not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ur learning platform designed on Facebook. Future studies aiming to investigate the learners’ achievements through ‘real’ learning platform based on SNS are much warranted. The studies on effectiveness of social learning will provide the practical foundation for social learning. Second, the contents and technology related to Facebook is constantly changing. Our study was based on the developmental and service tools on Facebook, which were available to us on May, 2011. Thus, it is likely that new technology or changes in services are not incorporated into present study. The new, available technology or service applications may change the design of social learning platform that we constructed. For example, research on how to use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in relation to social learning online site can provide more realistic and applicable learning platform. Third, Facebook, as one of most popular SNS, was developed Mark Zuckerberg and his colleagues in the USA. Thus, our study based on Facebook, which may subject ourselves to depend on foreign technology. However, we believe that a SNS tailored to Korean society will become available in near future and the study to design and launch social learning platforms based on Korean SNS will help our understanding on how to use SNS for social learning in our Korean society. Fourth, our study is limited in that we did not examine what kind of contents will be appropriate for social learning platforms. Future studies are much need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s of informal learning and formal learning on e-Learning sit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among various learning topics. These studies will help us to popularize social learning based on SNS. Despites a few limitation, it is believed that our study may provide some insights on how to solve existing limitations associated with e-Learning, such as difficulties in human interaction and lack of presence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Compared to other types of social media services, we found that Facebook or other SNS may provid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in various pedagogical environments. For example, there exist approximately 70,000 dropouts every year in our traditional school system. By integrating approaches to encourage ‘human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we believe that social learning based on SNS may provide pedagogical learning environments to those minorities who are in need of learning but removed from traditional school syst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컴퓨터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