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현대시 단원 내용의 성격 유형 연구

Title
현대시 단원 내용의 성격 유형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Modern Poetry Unit : Centered on Experience and Knowledge
Authors
박슬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검정 교과서가 다양하게 나오면서 교사가 교과서의 구성 성격을 제대로 알고 선택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교과서의 구성 유형을 밝히고 새로운 교과서 구성 유형의 실제를 밝히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경험과 지식을 새롭게 범주화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교과서의 현대시 단원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유형의 현대시 단원을 구성하였다. 검정 교과서 체제로 바뀌면서 교과서를 선택하고, 적절하게 가르치기 위해 교사에게는 많은 책임감이 주어졌다. 다양한 교과서 사이에서 교사는 적절한 교과서를 선택하고, 교과서를 제대로 알고 가르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서의 구성 성격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해 보인다. 본 연구는 다양한 교과서의 구성 성격을 제대로 알고 가르치고자하는 목적아래 시작하여 1차 교과서부터 2007 개정 검정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현대시 단원을 분석하고 새로운 구성 유형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교과서 교육 내용 중 현대시의 경험과 지식에 주목하여 이들의 성격을 새롭게 범주화 했다. 학습자들이 교과서를 통해 학습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범주화 했는데, 현대시 경험은 ‘선행 경험, 읽기 경험, 소통 경험’으로 범주화하고, 현대시 지식은 ‘작품 내부 지식, 작품 주변 지식, 작품 외부 지식’으로 범주화하여 각각의 성격을 설명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범주화한 현대시 경험과 현대시 지식을 중심으로 1차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부터 2007 개정 검정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모두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경험적 성격, 소통적 성격, 이론적 성격으로 나누어 그 교과서 현대시 단원의 특성을 밝혔다. Ⅲ장에서 언급한 각각 유형의 특성과 한계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새로운 구성 유형의 교과서 실제에 대해서 생각했다. 구성 방향과, 체제에 대한 설명 그리고 실제적인 현대시 단원을 설정하여 그 모습을 실현했다. 본 연구는 교과서 교육 내용의 핵심인 ‘경험과 지식’을 새롭게 범주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1차 교과서부터 2007 개정 검정 교과서의 현대시 단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경험적 성격, 소통적 성격, 이론적 성격으로 나누고, 이를 참고하여 새로운 현대시 단원의 실제를 만들고자 했다. 이는 교과서 현대시 단원 구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이러한 관심이 교과서를 만들고, 교과서를 선택하여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새로운 자극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기대한다.;This research is purposed to clarify the composition types of the textbooks so that the teachers can select and teach the textbooks by knowing properly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as the authorized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07, have been variously published and also to define the reality of the composition types of new textbooks.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aims to categorize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newly so as to analyze the textbooks and to analyze the modern poetry unit of various textbooks through this. In this addition, this research has composed the new type of the modern poetry unit being based on such analysis. A lot of responsibilities have been placed on the teachers to select and teach the textbooks properly as it has been changed into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The teachers need the capability to select the proper textbook and to teach it by knowing this in proper way. However, it seems that it is yet insufficient to recognize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at the school site. This research, as it commences for properly knowing and teaching various textbooks, is purposed to analyze the modern poetry unit for the first-year of the middle school up to the authorized textbook, which was revised in 2007, from the 1st textbook, and to present the reality of new composition type. Firstly, in Chapter II, being concentrated on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modern poetry amo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extbook, this research has newly categorized such characteristics. It has been categorized being centered on the learning course of the learners through the textbooks, and it has been explained the respective characteristics as the experience of the modern poetry has been categorized into 'Precedence Experience, reading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the knowledge of the modern poetry is categorized into 'Internal knowledge of text, knowledge around text and external knowledge of text'. In Chapter Ⅲ, being centered on the experience of the modern poetry and the knowledge of the modern poetry categorized in Chapter II, this research has analyzed all fro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1st grade of the middle school to the ones of the authorized textbooks, which was revised in 2007. Being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has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poetry unit of such textbooks by dividing these in the experiential character, communications character and theoretical character and then clarified such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 In Chapter IV, be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 of each type specified in Chapter Ⅲ, it considered the reality of the newly-composed types of textbooks. Such appearance has been realized by setting up the composition course, explanation for the system and actual unit of the modern poetry. This research has newly categorized 'Experience and knowledge', which are the cor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textbooks, and analyzed the unit of the modern poetry of the authorized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07, based on this. Also, this research has tried to segregate these into the experiential character, communications character and theoretical character and to make the reality of the modern poetry unit by referring to thi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occur the concerns about composition of the modern poetry unit, and that such concerns will bestow new stimulus on the teachers publishing the textbooks and the ones selecting and teaching these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