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학교문법의 부정의문문 교육방안 연구

Title
학교문법의 부정의문문 교육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Negative Questions in School Grammar
Authors
이진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국어는 부정의문문에 대한 대답을 할 때에 자신의 입장에서 긍정인지 부정인지에 따라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자의 질문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예/아니요‘의 대답을 한다. 이는 질문자의 질문 내용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입장에서 긍정인지 부정인지에 따라 ’예/아니요‘의 대답을 하는 영어식 방식과는 다르다. 그런데 현재 언어생활에서 부정의문문의 대답방식에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드라마 대사 분석과 중등 학습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부정의문문의 실제 사용에 혼란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부정의문문의 내용이 학교문법에 포함되어야 함을 밝히고, 그 기술의 방향과 함께 부정의문문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는 부정의문문이 무엇인지 개념을 밝히고,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그리고 현행 학교문법에 부정의문문의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Ⅲ장에서는 드라마 대사와 실제 국어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해 실제 국어생활에서의 부정의문문 사용양상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드라마 대사는 물론이고 실제 언어생활에서도 부정의문문의 대답방식에 혼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Ⅳ장에서는 학교문법의 부정의문문 기술의 방향을 정립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을 탐색해보았다. 지금까지 학교문법은 대개 규범적인 관점에서 기술되었으나, 본고는 이러한 규범적인 시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언어는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고 규범 또한 현실에 맞게 변해야 하는데, 학교문법은 지나치게 보수적이어서 언어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현실과 동떨어진 규범을 강조하기도 한다. 부정의문문의 대답방식에 혼란이 일어나게 된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사회의 언어현실이나 사고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언어의 변화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부정의문문의 기술에 있어서 규범적인 시각을 버리고 언어현실을 반영하여 현재 상황을 있는 그대로 제시해야 한다고 보았다. 무엇이 옳고 그르다는 규범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혼란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이를 인식하고 탐구해 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When answering to negative questions in Korean, you give a yes or no answer focusing the substance of the question, not depending on whether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positive or negative in your situation. This is different from the answer style in English where a yes or no answer is given only based on their circumstances regardless of the substance of the question. And now there has emerged a confusion for the answer style in the usage of language. Starting with this awareness, this thesis identified that there does exist the confusion in practical use of negative ques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ing the lines used in TV dramas. Also, it suggested that the content of negative questions be incorporated in school grammar and proposed the direction of its description. In Chapter Ⅱ, the concept of the negative question covered in this thesis was identified and its limits are set. And the way the content of negative questions is reflected in school grammar was reviewed and their problems were indicated. In Chapter Ⅲ, aspects of negative questions in the actual use of Korean language were analyzed through the survey of Korean users and the study of drama line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did exist the mix up in the answer style to negative questions in the practical use of language as well as in the lines of dramas. Based on this, Chapter Ⅳ reestablished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of negative questions in school grammar and explored the content and way of description. So far, school grammar has been described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but this thes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freed from that perspective. Language changes are continuous and norms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reality. But school grammar is too conservative to reflect the changes of language and sometimes emphasizes the kind of grammar that is out of touch with reality. There might be various causes that have resulted in the confusion for the answer style to negative questions but it can be viewed as a process of change in language that takes place as the reality of language or ways of thinking changes. Therefore, this thesis conclud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should be represented as it is when it comes to the description of negative questions by discarding the normative perspective and reflecting the reality of language. Not by suggesting norms to dictate what is right or wrong but by presenting the confusing situation as it is, students themselves will have chances to be able to recognize and study the situation, which will have signific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