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조인선-
dc.creator조인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9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9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논술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아동의 논술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논술능력을 살펴보고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논술능력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논술능력이란 문제와 제시문의 정확한 이해와 분석인 문제파악능력, 주장하는 바를 타당한 논거를 바탕으로 논증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 다양하고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 이 모든 것을 표현해 낼 수 있는 표현력으로 이루어져있다. 논술이 표현만이 아니라 이해의 과정도 포함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창의적으로 말과 글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것과 깊이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술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토론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함으로써 사고를 표출하는 기회를 갖고 동시에 근거를 들어 상대방을 설득하는 과정을 겪음으로써 논술의 기본적인 논리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으로 읽을 때 단순히 읽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읽기 후 토론 활동을 함으로써 논술능력이 신장되도록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논술능력과 비판적 읽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인식에 관한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본 프로그램인 토론 활용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절차는 ‘준비하기→평가적 읽기→추론적 읽기→토론하기→정리하기’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적용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위치하고 있는 S초등학교 6학년 3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21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논술능력을 검사하였으며,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투입한 후 자료를 수집하고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검사 결과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을 실시하였고, 양적인 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사전, 사후검사에서 나온 결과물을 질적으로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 토론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은 논술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논술능력 중 문제해결능력을 제외한 문제파악능력, 논리적 사고력, 표현력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텍스트 위주의 비판적 읽기에서 벗어나 필자, 독자 요인의 비판적 읽기 활동으로 대상을 확대해 비판적 읽기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고, 읽기가 되지 않고서는 쓰기를 할 수 없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읽고, 토론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쓰며, 그 의견을 말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듣는 총체적 언어교육으로 논술교육을 실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다른 교과 영역으로 확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효과 적인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 비판적 읽기 과정을 다양한 학년에서 수집,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이나 특성을 파악하고 제안한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하는 연구에 본 연구가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8주간의 단기간에 걸쳐 프로그램이 실행된 관계로 유의미한 결론을 얻지 못한 부분도 있다. 따라서 좀 더 장기간에 걸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논술능력의 변화양상을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사용한 읽기 자료는 연구집단의 비판적 반응을 양산할 수 있도록 글쓴이의 주장을 담고 있는 교과서의 설득범주 제재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하지만 비판적 읽기는 글쓴이의 주장을 담고 있는 글 뿐 만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글을 접하면서 읽기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타당한 기준을 가지고 의미를 재구성해 나가는 읽기가 되어야 함을 고려하여 좀 더 다양한 종류의 읽기 자료를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30명의 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더욱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얻어내는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scussion-based critical reading program geared toward fostering children's essay writing abilities and to examine its impact on children's essay writing abilities. Essay writing abilities consist of problem understanding, logical thinking faculty, problem-solving skills and expression skills, which respectively refer to accuratel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given problem and writing, demonstrating one's well-founded assertion, finding the best solution and describing what's on one's min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ssay writing involves not only the process of expression but that of understanding, and it could be linked to one of the requirements of the revised 2007 language arts curriculum that is to understand language and writing creatively and express oneself verbally and in writing. A discussion-based critical reading progra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improve essay writing abilities. A need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teachers and children to find out their awareness of essay writing abilities and critical reading to determine in which way th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then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ir needs. That was composed of preparing, evaluative reading, inferential reading, discussing and wrapping-up.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students who were in their six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bong-gu, Seoul.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21 sessions during an eight-week period of time. To test the validity and effect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After their essay writing abilities were assessed in the pretest, the discussion-based critical reading program was provided, and then the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data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5.0, and t-test was utiliz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over the pretest and posttest data.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experiment, the discussion-based critical reading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essay writing abilities. Among their essay writing abilities, that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all the subfactors of essay writing abilities except problem-solving skills, which included problem understanding, logical thinking and expression skills, as there were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 those regar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present a critical reading model of instruction by adding the writer and reader factors to existing text-centered critical reading and to provide essay writing education as a holistic language education constituted by critical reading, discussing, asserting one's own opinions and listening to others. Besid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future research efforts on the application of critical reading programs into other subjects. In the future, it's required to analyze the critical reading processes of different graders to figure out their level and characteristic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ical reading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to make it more applicable to every student irrespective of gend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is study. This study was implemented just on a short-term basis of eight weeks, and the reading materials used in the program were persuasive writings without covering diverse themes. Finally, the program was provided just to 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sixth-grade class, and the findings might not be generalizab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논술능력 4 B. 비판적 읽기 10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대상 29 B. 연구설계 31 C. 연구절차 32 D. 연구도구 34 E. 자료분석 49 Ⅳ. 프로그램의 실제 및 결과 50 A. 프로그램의 실제 50 B. 프로그램의 결과 60 Ⅴ. 결론 및 제언 74 A. 결론 74 B. 제언 77 참고문헌 78 부록 82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85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의 논술능력 신장을 위한 토론 활용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Discussion-Based Critical Read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Essay Writ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o, In Seon-
dc.format.pagevi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