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문학 독서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설문 쓰기 양상 연구

Title
문학 독서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설문 쓰기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hetorical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ading in Elementary Education
Authors
이지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Since literature reflects human life, students could have experience of diverse values and be able to make their own decisions in their life. Those literature experience would not only facilitate students' anticipation in rhetorical writing but be helpful to make the writing be extensive and persuasiv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literature reading in rhetorical writing in order to overcome the formulaic writing in elementary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one class of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jak Gu. It applied restructured stages based on rhetorical writing strategy and teaching stages of literature-using-writing.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three evaluators using criteria and checklists. It has been analyzed the ability in rhetorical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ading. First of all, the study determined the rhetorical writing procedure to have three steps; planning, stating and evaluating. Second, it analyzed the final writing in three aspects;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Finally, the study wanted to obtain the relation between the procedural writing and the final rhetorical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ading. At the stage of planning, the result has shown that students have more possibility to have broad idea of planning when they are given literature than just topic. While stating, students showed their ability in making arguments. However, they needed to learn more about the structure;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At the evaluating stage, they were active to correct not only colleges' writing but their own.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eir final writings throughout the three aspects. The content has the highest score due to their proceeding literature readings. Furthermore, their expression score was also high since they had naturally exposed to literature before writing. However, the organization has low score which means students need to study more about the structure of rhetorical writing.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re has the relation between the procedural writing and the final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ading. If students are taught the certain points of the procedural writing, they could perform better in the final writing. In conclusion, teachers should be focus on analyzing students' weakness of certain aspects in final writings and provide with more lessons on procedural rhetorical writing.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due to the small examined group and based on literature that is only from the textbook. Moreover, it is suggested further study using statistic method to be quantitative analysis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procedural rhetorical writing and the final writing based on literature reading.;문학 작품은 인간의 삶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문학 작품을 읽는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삶의 가치를 경험하고 그러한 가치들에 대해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수용하는 내면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문학적인 경험은 학습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논설문 쓰기에 참여하게 되는 촉진제가 되고 논설문의 내용을 풍부하고 설득력 있게 만들어 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 맞추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 논설문 쓰기 학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학 독서를 활용한 논설문 쓰기 학습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논설문 쓰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생의 문학 독서를 활용한 논설문 쓰기 능력을 단계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후에 완성글을 내용, 구성, 표현의 세 영역별로 분석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단계별 쓰기의 양상과 완성글의 양상이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를 완성글의 세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의 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문학 독서를 활용한 논설문 쓰기 학습은 문학 논술 전략과 문학 독서를 활용한 논설문 쓰기 지도 단계를 참고로 5학년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하였으며, 학생들의 결과물은 세 명의 채점자에 의해 채점 기준표 및 척도표를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문학 독서를 활용한 논설문 쓰기 학습 시행 결과 계획하기 단계는 어느 정도 높은 능력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많았고 이는 글쓰기의 논제만 주어졌을 때보다 문학 작품을 읽었을 때 더 다양하고 넓게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논제 정하기 과정은 어려워하는 학생이 상대적으로 많아 문학 작품과 관련하여 논제를 생각해 내고 논제에 적합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술하기 단계는 논거 만들기의 과정의 대다수의 학생이 평균 이상의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문학 작품을 자신의 경험과 연관 지으며 생각할 수 있고 작품을 통하여 새롭고 다양한 해결방안과 근거를 많이 찾아낼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논거 조직하기 과정은 하 수준의 학생이 많았는데 이는 본 연구가 문학 작품을 활용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상대적으로 논설문의 형식이나 구성 방법에 대한 학습은 적게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논설문의 특성과 서론, 본론, 결론의 3단 구성 요소 등에 관한 학습이 좀 더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 점검 및 평가하기 단계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쳐 쓰기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동료의 글을 읽고 수정할 부분을 가르쳐 주고 자신의 글을 알맞게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학 독서를 활용한 논설문의 완성글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이 상, 중 수준에서 논설문을 완성했다. 또 영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글의 내용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문학 작품을 읽고 다양한 읽기 경험이 풍부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논설문을 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 글의 표현 영역의 점수도 여러 문학 작품을 읽으며 다양한 낱말과 어휘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학습한 뒤라 평가가 중 이상으로 높게 나왔다. 그러나 글의 구성 영역에서는 낮은 점수가 나왔으며 내용뿐만 아니라 형식적인 면에서의 논리적인 구조에 관한 정확한 학습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문학 독서를 활용한 단계별 쓰기와 완성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글의 내용 영역에서 상 수준의 평가를 받은 학생들은 문학 작품을 읽고 이해하는 단계의 점수가 매우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논설문 쓰기에 소재로 사용되는 문학 작품 자체를 바르게 이해해야 논설문의 내용 또한 완성도 있게 짜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글의 내용 영역에서 중, 하 수준의 평가를 받은 학생들이 부족함을 보인 단계 중 하나가 논거 만들기인데 이를 통해 논설문에서 적절하고 타당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논거 만들기 영역에 대한 학습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글의 구성 영역에서 중, 하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단계는 논거 조직하기 단계이다. 이는 글의 구성 영역에서 중, 하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집중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단계가 논거 조직하기 단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 구성 영역을 기준으로 학습 집단을 상, 중, 하로 나누었을 때 수정 및 교정하기 점수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구성 영역에서 학습자가 능력의 차이를 보이더라도 교사나 동료 학습자가 도움을 준다면 수정 및 교정이 필요한 부분을 알맞게 고쳐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글쓰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어색한 부분을 고쳐 쓸 수 있도록 안내해주고 동료 학습자들과 함께 자신들의 작품을 돌려 읽어 보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표현 영역에서 상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높은 평가를 받은 단계는 논술하기 단계이다. 즉 논술하기 단계를 잘 마친 학생들이 표현 영역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점검 및 평가하기 단계의 점수와도 관계성이 깊은데 이는 점검 및 평가하기 단계를 제대로 마쳤을 때 표현 영역에서의 완성글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문학 독서를 활용한 논설문 쓰기 학습에서 학생들의 단계별 쓰기와 완성글이 관계가 있으며 교사가 단계별 쓰기의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지도한다면 완성글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쓴 완성글의 어느 영역이 부족한지 분석, 판단하여 단계별 쓰기에서 보충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결과는 단기간 동안 5학년 한 학급에게 적용하였으며 교과서 속의 문학 작품만을 활용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 본 연구는 학생들의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통계를 활용하여 단계별 쓰기와 완성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