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

Title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
Authors
김나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가 연령과 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과 미술표현능력의 관계는 어떤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는 연령에 따라 어떠한가 1-1.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은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2. 명화에 대한 유아의 선호는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2-1.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2. 명화에 대한 유아의 선호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은 미술표현능력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D유치원과, W유치원의 만 3, 4, 5세 유아 각 50명씩 총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별로 남녀 각각 25명씩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된 명화는 다양한 주제가 포함된 5점의 명화(인물화, 풍경화, 정물화, 추상화, 초충도)로 유아의 명화 선정기준(교육부, 2005)에 따라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명화를 가지고 독립된 공간에서 개별면접으로 4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유아가 명화를 보고 나타내는 모든 반응은 녹음되어 전사(약 25시간, 1500분)되었고, 이를 통해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명화에 대한 미적 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Acuff와 Sieber-Suppes(1972)에 의해서 개발된 ‘A Manual for coding description,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s of visual art forms(ASM)’을 재구성하여 사용한 임수진(1998)의 ‘미적반응 평가 척도’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명화에 대한 미적 반응은 시각적 정보에 기초한 반응, 가정적 반응, 평가적 반응에 대한 질문을 통해 나타난 반응을 분석기준에 따라 살펴보고 이를 점수화하여 평가하였다. 명화에 대한 선호는 가장 좋아하는 그림과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미술표현능력은 ‘우리가족’과 ‘내가 좋아하는 동물’을 주제로 그린 그림을 가지고 최영옥(1999)이 번역하여 사용한 Project Spectrum(Krechersly, 1994)의 ‘시각예술영역(Visual arts Domain)부분평가 척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t검증, 상관분석, x2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어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미적 반응을 보였는데 특히 시각적 정보에 기초한 반응과 가정적 반응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명화에 대한 유아의 선호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다만, 선호이유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어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 많은 주제와 관련된 이유를 보였다. 둘째,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명화에 대한 유아의 선호와 선호이유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어 남아는 초충도, 여아는 풍경화를 가장 선호하였고 선호이유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주제와 관련된 이유를 더 많이 보였다. 셋째,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은 미술표현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명화에 대한 유아의 미적 반응과 선호를 연령, 성별에 따라 살펴보고 미적 반응과 미술표현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다양한 미적 반응을 위한 감상활동을 실시해야 함을 알려줌과 동시에 감상활동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preferences to famous paintings mak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nd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to famous paintings and ability of artistic 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1. What are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preferences to famous paintings, according to age ? 1-1. What differences will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to famous paintings, make, according to age? 1-2. What differences will the children's preference to famous paintings, make, according to age? 2. What are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preferences to famous paintings, according to gender? 2-1. What differences will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to famous paintings, make, according to gender? 2-2. What differences will the children's preference to famous paintings, make, according to gender? 3. What are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to famous paintings, according to their ability of artistic expression? This study targeted 150 children (50 children of age 3, 4 and 5, respectively) from D kindergarten and W kindergarten, and the target consists 25 boys and 25 girls, by age. With respect to the famous paintings used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their preferences, five famous paintings (portraits, landscapes, still lifes, abstractions, chochungdo), containing various subjec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famous paintings for children, and individual interviews, based on the selected paintings were performed in the independent space over 4 weeks. All the children's responses to famous paintings were recorded and transferred(about 25 hours, 1500 minutes), and through this,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preferences were analyzed. For the tools to analyz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to famous paintings,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Lim, Su-Jin's(1998) 'aesthetic response rating scale', having reorganized and used ‘A Manual for coding description,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s of visual art forms(ASM)’, developed by Acuff and Sieber-Suppes(1972), was used. With respect to the aesthetic responses to famous paintings, the responses, expressed through the questions relating to the response, based on visual information, response ,based on the assumption and the responses, based on evaluation,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for analysis, and scored for the evaluation. The preference to famous paintings were examined by the most preferred painting and the reason, and the ability of artistic expression was evaluated, according to 'visual art domain partial evaluation scale' of Project Spectrum (Krechersly, 1994), used by Choi,Young-Ok(1999) after her translating, based on the paintings which were painted based on the subjects of 'my family' and 'the animal I lik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correlation analysis,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 to famous paintings varies, according to age, so the more the age, the more they showed aesthetic response. Especial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based on visual information and the responses based on assumption. However, with respect to the children' preference to famous paintings by age, there was no difference. However, with respect to the reason for the preference,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the more the age, the more the reason was associated with the subject. Second,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 to famous paintings did not vary, according to gender. However, with respect to the children's preference to famous painting and the reasons, there was differences by gender. Boys preferred Chochungdo the most, and girls preferred landscape painting the most. For the reason of the preference, girls showed more reasons relating to the subjects, than boys did. Third, with respect to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 to famous paintings showed (+) relation with the ability of artistic expression. Examining the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preferences to famous paintings, by age and gender,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 responses and the ability of artistic expression, will indicate that the teachers should perform appreciation activities or various aesthetic responses, in the field of children education, and will help appreciation activities to be realized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