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사이버 대학에서 과목선택권에 따른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만족도간의 영향력 차이 규명

Title
사이버 대학에서 과목선택권에 따른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만족도간의 영향력 차이 규명
Other Titles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groups on course options on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time management,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in the cyber university
Authors
최혜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사이버학습은 새로운 학습방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사이버대학은 2001년 61,00명의 입학생으로 시작된 이래로 현재 105, 485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4개의 대학원이 개원되어 598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사이버학습이 가진 높은 중도탈락률, 낮은 몰입도, 전문성 부족 같은 질적인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도 사이버학습의 질적인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사이버학습의 가장 큰 특징은 기본적으로 학습자 주도의 자율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고, 학습내용이 다양해짐에 따라 학습에 대한 선택권이 전통적 학습환경보다 훨씬 많이 주어진다. 따라서 전통적 학습환경과 사이버학습에서 학습자가 가진 자율성의 정도가 다르고, 자율성이 학습성과에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통해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에 대해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거쳐, 자율성의 한 개념인 과목선택권에 따라 학습성과 영향변수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습성과 영향변수로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를 선정하였고, 학습성과 변수로는 학습몰입,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목선택권에 따른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만족도와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 과목선택권에 따른 집단간 경로계수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및 시간관리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및 학습몰입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3. 과목선택유형에 따라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만족도에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가? 분석을 위해 편의표집으로 A 사이버대학의 2010년 2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차례에 걸쳐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필수과목 집단은 한방건강학과의 음양오행육기론으로 한의학의 기본 특징과 주요 이론 등을 개관하는 기초과목이며 300명이 수강 하고 있다. 선택과목집단은 요가명상학과의 명상학으로서 명상의 종류 및 수련방법 등을 가르치는 과목이며 306여명이 수강하고 있다. 온라인 설문조사는 해당 사이버대학의 학사관리시스템에 탑재하여 실시되었으며, 공지사항과 이메일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설문에 참여해 줄 것을 독려하였다. 설문에 응한 응답자는 606명이었으며, 그 중 필수과목을 수강한 학생은 300명, 선택과목을 수강한 학생은 306명이었다. 측정도구의 적합도 및 신뢰도를 확인화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을 검증하기에 앞서 SPSS 12.0으로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AMOS 6.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의 적합성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성과 변수와 학습성과 영향변수들의 직, 간접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도출된 최종모형을 바탕으로 측정 동일성 제약, 집단간 등가제약을 통해 경로계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내적통제소재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β=-.01(t=-.17 p>.05), 온라인 과제가치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β=.47(t=9.91, p<.05), 시간관리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β=.45(t=10.52, p<.05) 으로, 내적통제소재는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내적통제소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β=.04(t=1.07, p<.05), 온라인 과제가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β =.61(t=11.28, p<.05), 시간관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β=-.08(t=-1.896, p>.05), 학습몰입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β=.29(t=5.36, p<.05) 으로, 시간관리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습몰입은 온라인 과제가치와 만족도 사이를 부분매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관리와 만족도 사이를 완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 분석결과, 온라인 과제가치·학습몰입 경로, 시간관리·학습몰입 경로 모두 선택과목 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통제소재·만족도, 온라인 과제가치·만족도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몰입·만족도 경로는 필수과목 집단이 선택과목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및 만족도 사이에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과목선택권에 따라 경로계수 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버학습의 질적인 성장을 위해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설계 및 운영과정에서 다각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과목선택권에 따라 경로계수가 차이를 보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필수과목 및 선택과목 집단에서 차별적인 교수전략 및 운영을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변인들을 선정하고, 통합적인 구조모형을 상정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특히 상대적으로 연구가 소홀했던 이러닝 환경에서 과목선택권을 연구주제로 삼아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연구는 국내 A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606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하나의 과정을 선정하여 편의표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 일반화에 대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사이버 대학이나 다른 과목을 선정하여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둘 째, 본 연구는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를 외생변수로 선정하고, 학습몰입, 만족도는 내생변수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변인 외에도 자기효능감, 메타인지, 학교의 지원 등이 있으므로 다양한 변인을 선정해서 변인 간의 통합적인 모형을 확장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율성의 한 개념인 과목선택권에 따른 집단 간의 차별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지만, 자율성을 좀 더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실험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변인 간의 관계를 단정지을만한 인과관계로 보기 어려움 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본 연구가 한 시점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단적으로 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Entering 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diffusion of internet has set the e-learning as a new way of learning. Despite of its fast growth, high rates of drop outs, low learning flow, and lacking the professionalism havebeen brought up as problems. Lot of researchers has been studying various ways to find the solutions to deal with these issu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earning. One of the notable traits of the e-learning is that it is lead by the students themselves. They have the full control of things like, where they would learn, and how class will be scheduled. The autonomy of the e-learning varies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will learn under autonomy. Thus the study is needed to prove that autonomy effects in e-learn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ternal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time management are selected for the learning outcome related variables and learning flow, satisfaction are selected for learning outcome var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o groups on course option, and explain to the causal model learning outcomes(learning flow, satisfaction) focused on internal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and time management in cyber univers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and time management affect learning flow? 2. Do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time management, and learning flow affect satisfaction?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time management, and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course options? To conduct a present study, A cyber university was chosen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 online survey were conducted among the students enrolled at ¨department of oriental health science¨ and ¨department of yoga and meditation¨ in the fall semester of 2010. Present study chose department of oriental health science as a required subject group, and department of yoga and meditation as an optional subject group. A total of 606 learners responded both two groups. 300 learners were belong to required subject group, and 306 learners were belong to optional subject group.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ive variabl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Sobel’s test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2.0 and AMOS 6.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ine task value, time management have 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ut learn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flow. Second, learn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learning flow have 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ut time management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ird, learning flow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task value and satisfaction,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nd satisfaction Fourth, Results of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groups on course options, both online task value→flow learning path, and time management→learning flow path in optional group have a strong effectiveness than in required group. It was revealed that both locus of control→satisfaction path, online task value→satisfaction path are not significant. learning flow→satisfaction path in required group have a strong effectiveness than in optiona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direct and indirect effect between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time management, and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re have different effective by different path. So we need to use variance instructional design, so that improve quality of e-learning. Lastly, Recommend for further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urvey in this study was based on 606 students enrolled in the cyber university using convenience sampling.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 So it needs to choose other cyber university or different courses in further studies. Second of all, this study chose locus of control, online task value, time management as an endogenous variables and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as an exogenous variables. However there are lots of variable affecting learning outcomes. So it is needs to deal with other variables. Lastly, since it is a not an experimental research, this study is difficult to explain casual relationship exactly. Thus, longitudinal research will be recomm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