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수업 상황 요인에 따른 국어교사의 피드백 화법 양상 연구

Title
수업 상황 요인에 따른 국어교사의 피드백 화법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ers’ Speech in Giving Feedback According to Class Settings
Authors
박윤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현재 다양한 교수 모형이 개발되어 과거의 교사의 전달 중심인 교육 방식과는 다른 교육 방식이 교실에서 실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업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교사의 발화 행위이다. 특히 교사의 발화 중 피드백 화법은 의도한 학습 목표를 학생들 스스로가 이해도를 점검하고 공고히 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정작 교사 본인은 자신이 수업 중에 학생들이 보이는 반응에 대해 어떻게 피드백 하였는지 깊이 있게 생각해 본 경험이 별로 없고 교사의 질문 전략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많으나 상대적으로 학생들의 반응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교사의 피드백 화법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의 시작을 중학교 국어 수업 상황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수업 화법 중 교사의 피드백 화법에 두었다. 그리고 피드백 화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 요인에 따라 피드백 화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 실제 수업장면을 전사하고 분석하여 교사의 피드백 화법의 적절성과 올바른 교사 피드백 화법을 위한 화법 분석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제안해 보았다. 먼저 수업 화법에 대한 이론과 본 연구의 중점이 되는 피드백 화법에 대한 전체적인 이론을 살펴 피드백 화법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였다. 수업 상황에서 피드백 화법은 교사가 학생의 응답에 주는 정보와 그 방법이라는 것으로 정의하고 피드백 화법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파악하고 피드백 화법을 분석하는 단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피드백 화법이 나타나는 상황인 수업의 구성 요소와 연관 지어 피드백 화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피드백 화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크게 수업 참여자 요인, 수업 환경 요인, 수업 과제 요인으로 나누고, 수업 참여자 요인을 교사와 학생 요인으로 수업 환경 요인을 수업 시기와 교사와 학생간의 친밀도 요인으로 수업 과제 요인을 난이도와 영역 요인으로 다시 구분하였다. 그리고 요인에 따라 교사 피드백 화법 양상은 어떠하며 각 요인들이 융합하여 작용할 때는 교사 피드백 화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살펴보았다. 이후 실제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과 면담을 통해 더욱 치밀하고 구체적인 상황에서 교사의 피드백 화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피드백 화법은 그동안 대화분석에서 이루어져 왔던 절대적인 기준과 화행의 유형으로 분석할 경우 올바른 교사의 피드백 화법의 효과를 밝힐 수 없으며 실제 구체적인 맥락에서 분석을 해야 교사 피드백 화법이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교사 피드백 화법의 연구 대상이 중학교 국어 교사 수업이라는 대상의 한계와 좀 더 다양한 측면의 피드백 화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논의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피드백 화법은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교사 피드백 화법은 절대적인 기준과 이론에 바탕을 둔 유형 분석이 아닌 구체적인 수업의 맥락에서 살펴야 한다. 본 연구는 앞으로 교사는 수업 진행에서 필요한 피드백 화법을 제시할 때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한 번 더 점검하고 효과적인 피드백 화법을 구사하여 수업 과정에서 교사와 학습자간의 유의미적이고 참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피드백 화법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Currently, while a variety of instruction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and new teaching styl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where mostly teachers did the talking in class, are being used, what is still the most biggest part of the class is a locutionary act of teachers. In particular, we should take note of the speech of teachers when they give feedback to students because it has a great deal of impact on students when they try to understand and solidify their intended learning objectives on their own. However, teachers themselves have little experience in thinking over how they give students feedback on reactions from them in class, and while there are plenty of studies focusing on question strategies of teachers, there are little researches done about teachers’ speech in giving feedback to maintain and enhance reactions from students. Therefore, starting from the speech in teachers’ feedback among other speeches used during class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of the middle school,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speech in giving feedback, and transcribed and analyzed what was said in class to see what difference the feedback speech would show as to those factors identified. And it examined the properness of teachers’ speech in giving feedback, and suggested where an right analysis of teachers’ speech in giving feedback should be going. First of all, after reviewing overall theories on speech in class and the feedback speech whi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s of the feedback speech were organized. Defining the feedback speech in class settings as input and a method given by teachers to responses from students, the study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speech and set up the unit to analyze it. And factors that may have an effect on the feedback speech were analyzed linking with components of class where the speech takes place. Those factors affecting the feedback speech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items, a factor of class participants, that of class situations and that of class assignments, and then the factor of class participants were subdivided into two parts, factors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hat of class situations, those of class atmosphere and intimac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finally a factor of class assignments, those of a level of difficulty and areas of domains. And the study looked at what aspects teachers’ speech in giving feedback took on according to those factors and how it changed when each factor converged and worked. Later, throug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who actually conducted classes, the speech of teachers in giving feedback was analyzed in a more elaborate, specific situation. As a result,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if the speech used when teachers give feedback is analyzed with absolute standards and types of speech acts that have been used in analyzing dialogues, the effects of the right speech of teachers in giving feedback cannot be identified, and whether or not it is effective can be decided only when it is analyzed in the actually concrete context. This study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that only Korean language classes given by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tudied here and factors affecting the speech of teachers in giving feedback were not fully discussed in terms of various aspects. Since the speech used in giving feedback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nd defining domains of students, the speech in teachers’ feedback should be examined not by an analysis of types based on absolute standards and theories but by the specific context of class.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t in proposing the direction of the feedback speech so that when offering feedback, teachers will check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class one more time to use the effective feedback speech, which allows a meaningful and tru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occur during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