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유주연-
dc.creator유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1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122-
dc.description.abstract학교 재구조화를 통해 교육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학교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단위학교책임경영제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개혁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학교 조직은 보다 전문화, 분업화될 필요성이 있다. 이제 학교조직은 학교장의 단독적인 의사결정만으로 그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우며 시대가 요구하는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하기 어렵게 되었다. 1971년 주임교사로부터 출발한 보직교사제는 부장교사를 학교의 중간관리자로 자리 매김함으로써 학교 경영 개선에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사의 승진 기회 확대와 사기를 높이고 교장, 교감, 교사의 중간적 위치에서 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크게 기여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단위학교의 책임경영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부장교사가 관리자 보좌역할, 교수학습활동 지원, 행정사무관리수행, 인화조정, 일반교사 지도 및 조언 역할, 그리고 해당업무를 계획하여 추진하고 총괄하며 학년 경영 및 학교 경영의 실무책임자로서의 역할을 다하려면 교육활동의 각 분야에 대한 다각적인 전문성을 갖춘 자격요건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책임경영에 따른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기대와 선임자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지 조사·분석하여 단위학교책임경영에 따른 부장교사 제도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단위학교책임경영 정착 당위성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단위학교책임경영에 따른 학교의 자율성, 전문성, 책무성 확보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수준은 어떠한가? 3. 단위학교책임경영에 따른 부장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부장 교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단위학교책임경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부장교사 자격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부장교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질문지법을 이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단위학교책임경영 및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기초로 지도교수와 협의하여 제작하였고 공립중학교 교사 5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448부(회수율77.2%)중 445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였고, 응답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영역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교사와 부장교사와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고 교차 분석을 통해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책임경영은 반드시 정착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응답은 전체 응답자의 60%가 ‘그렇다.’ 라고 답하여 단위학교책임경영 정착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일반 교사들의 단위학교책임경영의 당위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높지 않은 편이며 부장교사와의 인식 면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즉, 일반교사보다 부장교사가 단위학교책임경영의 정착 당위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당수의 경기도 중학교 교사들은 단위학교책임경영의 운영 주체로서 교사 자신을 지목하고 있다. 이는 교사 스스로가 자신을 교육활동의 주체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의 변화 및 발전을 이끌어 갈 책임 또한 교사 자신에게 있다는 생각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단위학교책임경영 정착 시 교육과정, 학사운영, 교원인사, 학교재정 영역에 있어서 자율성 확보, 전문성 확보, 책무성 이행에 대한 단위학교책임경영 정착 전·후 기대수준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각 영역에서 모두 현재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학교재정에 있어서의 자율성 확보에 대한 기대수준과 각 영역별 책무성 이행에 대한 기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현재 부장교사들의 역할을 9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그 중요한 순위를 조사한 결과는 부서총괄 - 수업 및 교육활동 - 행정업무처리 - 실무추진 - 지시전달 - 동기부여 및 격려 - 자문 및 지도조언 - 의견수립 - 장학 및 평가의 순으로 부장교사의 지도·조언 및 교수학습활동 지원 기능과 사무관리 수행기능을 보다 중요시 하였으나 단위학교책임경영 정착에 따른 부장교사의 중요한 역할의 순위변화는 부서총괄-수업 및 교육활동-의견수립-지시전달-동기부여 및 격려-실무추진-행정업무처리-자문 및 지도조언-장학 및 평가의 순으로 나타나 연락 조정 및 인화 조성과 학교 경영 참여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부장교사 임명방식은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장교사 임명 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업무추진능력(63.8%)을 꼽고 있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6.7%가 부장교사 자격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으로써 부장교사의 직무별 연수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한편, 부장교사 자격제도의 필요성에 관한 견해에서는 53.1%에 달하는 응답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어 부장교사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긍정적 견해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장교사 자격제도 도입 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조건으로는 해당 업무관련 직무연수 이수 여부(30.5%)와 해당 업무 관련 경험(47.1%)을 들어 교사들은 실제 업무 추진에 필요한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책임경영에 따른 부장교사 제도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책임경영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더 이상 부장교사가 직위상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업무추진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장교사의 전문성이 인정되고 중간 관리자로서의 지위가 존중받도록 하기 위해 부장교사의 자격을 강화하는 등 제도를 재정비 할 필요성이 있다. 물론, 학교 경영의 자율성이라는 측면과 관료적 조직 체제의 강화라는 측면이 상충 된다는 오해의 여지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부장교사의 수업 외 업무의 전문성 확보가 더 이상 개인적 자기 연찬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자격요건으로서 요구되며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오늘날 학교 혁신의 주제가 학교의 자율성 강화이며 학교 조직의 개편을 통한 효율성 증대라고 가정할 때 새로운 제도의 요구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둘째, 각 교육지원청별로 부장교사의 업무 지침을 작성하여 직무별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업무추진의 원활한 진행을 도와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장은 부장교사의 임면 시 부장교사 개인의 전문성, 희망이나 특기, 업무 역량, 교감 및 인사위원회의 의견 등을 수렴해서 결정하여 부장 임면으로 인한 의혹이나 갈등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과중한 부장교사의 업무를 줄이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불필요한 행정적 절차나 장부를 줄이고, 부장교사 전결권 확대, 수업 시수의 배려 등을 통해 업무추진의 과도한 부담을 줄이는 등 꼭 필요한 업무만 전담토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부장교사의 전문성은 부단한 자기 연찬에서 나온다. 부장교사는 자기가 맡은 업무의 전문성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학교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며 실제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수·학습 지도 기술의 전문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부장교사의 자격 강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자신이 맡는 업무에 관한 전문적 능력을 함양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부장교사 자격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경기도 일부지역에 국한된 결과인 만큼 향후 표집 대상의 확대 및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학교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부장교사 자격 강화 방안에 관한 구체적 논의가 전개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eachers' expectations for the hea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ir perceptions of appointment qualifications of head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according to school-based management, as well as to search for the efficient operational plans of the head teachers system according to school-based management.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legitimacy of establishing school-based management? 2. What are the expectation levels of teachers for school autonomy,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according to school-based management? 3.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regarding the roles of head teachers according to school-based management?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 school has a head teacher or not? 4.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regarding a need to reinforce the qualifications of head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chool-based management?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 school has a head teacher or not? Employed in the study to explore those research questions was the questionnaire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on school-based management and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questionnaire in consultation with her advisor. The questionnaire was then distributed to 580 teachers in public middle schools. Of 448 questionnaires that were returned(return rate: 77.2%), total 444 were put to statistical treatment. Gathered data were put to frequency analysis in each area with the SPSS 12.0 program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In addition, t-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common teachers and head teachers, and cross-tabulation was performed to see if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analysis results and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0% of the respondents said "Yes" to the question, "Do you think school-based management should be settled down no matter what?" which indicates that the perception of school-based management has been spreading among teachers. However, the general teachers still had no high perceptions of the legitimacy of school-based management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head teachers in that regard. That is, the head teachers perceived the legitimacy of school-based management more than the common teachers. Secondly, a majority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Gyeonggi Province pointed teachers themselves as the operational subjects of school-based management, which reflects that teachers regard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believe that the responsibility of leading changes and growth in school falls upon them. Based on those perceptions, the investigator examined curriculums, school affairs management, faculty personnel, autonomy in school finance, professionalism, and changes to the expectation level of accountability fulfill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school-based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high increase in all of the areas with especially high expectations for autonomy in school finance and accountability fulfillment in each area. Thirdly, the most important role required from head teachers according to school-based management was overall supervision of the departments, which was followed by lesson and education activities, gathering of opinions, delivery of instructions, motivation and encouragement, promotion of practical affairs,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affairs, consultation and guidance, encouragement of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order. Importance was placed on liaison, harmony among the personnel, and participation in school management. Finally, the ways head teachers were appointed were more or less the same in most schools. While 63.8% of the respondents cited the ability to proceed with business as the first criterion to be considered when appointing a head teacher, 76.7% said that in-service training for head teachers in each function was necessary as part of the institutional supports to reinforce their qualifications. In addition, 53.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to introduce a qualification system for head teachers, which reflects the increase of positive opinions about the introduction of such a system. The teachers then answered in-service training in functions related to duties(30.5%) and experiences in areas related to duties(47.1%) as the conditions that should be first considered when introducing a qualification system for head teachers, thus demanding professionalism required to proceed with business in practice. Based on the discussion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head teachers system: First, the head teachers should no longer have instability with their position and limitations with their job perform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chool-based management. The system also needs rearrangement including reinforcement of their qualifications so that they can have their professionalism recognized and their status as the middle management respected. Of course, there is a misunderstanding that contradictions exist between autonomy of school management and reinforcement of bureaucratic organizational system. However, the study argues that professionalism in school affairs other than lectures on the part of head teachers is no longer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self-study but has become a requirement for their qualifications. The study thus claims its significance in its efforts to search for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m. There is an apparent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needs of the new system given that the themes of today's school innovation are the reinforcement of school autonomy and the increased efficiency through reorganization of school organization. Secondly, the educational support agencies should devise a guideline for standardized duties of head teachers, offer in-service training for each of their functions, and help them with the smooth progress of business around the school. Thirdly, school headmaster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opinions of vice-principals and the personnel committee as well as individual head teachers' professionalism, hopes, specialties, and job capacity in the appointment process so that there will be no suspicion or conflict with the appointment decision. Fourthl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should be offered to reduce the excessive workload of head teachers. Unnecessary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account books should be cut down, their right to arbitrary decisions should be expanded, and their burden with excessive workload should be reduced by considering their lesson hours so that they can devote their time to only necessary duties. Fifthly, the professionalism of head teachers comes from constant pursuit of study. Head teacher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in their duties, organize and operate a curriculum fit for the students, and become experts in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with which to teach the students in class. Sixth, the teachers should do their best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for their task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the reinforcement of head teacher qualifications. Finally, the study examined a need for the reinforcement of head teacher qualification in certain areas of Gyeonggi Province. Future study should thus expand the scope of subjects and conduct more in-depth research to provide specific discussions about how to reinforce the head teachers' qualifications for higher efficiency in school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 목적 1 B.연구 문제 3 C.용어의 정의 4 D.연구의 제한점 5 Ⅱ.이론적 배경 6 A.단위학교책임경영의 개념 6 B.학교조직에서 부장교사의 직위와 역할 8 1.학교조직의 특성에 따른 부장교사의 위치 8 2.학교조직에서 부장교사의 직위 10 3.부장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14 4.외국의 부장교사 자격 제도 21 Ⅲ.연구방법 26 A.연구대상 26 B.연구절차 28 C.자료의 처리 29 Ⅳ.연구결과 및 해석 30 A.단위학교책임경영에 대한 인식 분석 30 B.부장교사의 역할 기대에 대한 인식 분석 36 C.부장교사 임명 방식에 대한 인식 분석 42 D.부장교사 자격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분석 46 Ⅴ.결론 및 제언 50 A.요약 및 결론 50 B.논의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부록 60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54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단위학교책임경영에 따른 부장교사의 역할과 자격 강화에 대한 경기도 공립 중등교사의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Head Teachers'Reinforced Roles and Qualifications according to School-Based Management in Public Second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dc.creator.othernameYoo, Ju Yean-
dc.format.pagex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