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사회·문화 교과서 발문 연구와 학습자 발문 흥미도 연구

Title
사회·문화 교과서 발문 연구와 학습자 발문 흥미도 연구
Authors
하소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훈
Abstract
사회과 교육에서 중요한 목표로 제시되고 있는 것은 전통적으로는 민주시민의 양성과 고급 사고력 함양이다. 이러한 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3요소인 교수자, 학습자, 교육의 매개체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교육의 장에서 교수-학습 전략으로 사용하는 발문을 교수자가 효과적으로 학습자에게 제시하여야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7종의 검인정된 사회·문화 교과서 내의 부가 발문을 Blosser의 사고 수준에 따른 발문 유형 분류 체계에 따라 어떤 유형으로 얼마나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 유형으로 분류된 발문 중 학습자가 가장 흥미를 느끼는 발문의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봄과 동시에 발문과 함께 제시된 자료의 형태를 분류하여 학습자가 어떤 자료의 형태에 흥미를 보이는지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발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7종의 검인정된 사회·문화 교과서의 발문 155문항을 Blosser의 발문 분류 유형인 폐쇄적 사고 수준의 발문에서 인지·기억적 사고 수준, 수렴적 사고 수준과 개방적 사고 수준에서 확산적 사고 수준, 평가적 사고 수준에 따라 발문 유형과 발문과 함께 제시되는 자료의 양과 자료의 형태 그리고 발문의 영역을 분석하였다. 이때 발문의 유형 분석은 일반사회 정교사와 공통사회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16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빈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7종의 검·인정 사회·문화 교과서의 대단원 Ⅱ. 개인과 사회구조에서 소단원 1. 개인 생활과 사회구조의 탐구 영역의 발문 수는 총 155개 문항이고, 이 문항에는 발문과 자료가 제시된다. 발문과 함께 제시된 자료의 양은 1/3초과 하는 발문이 7종의 검·인정 사회·문화 교과서가 전체적으로 자료의 양 많고, 발문과 함께 제시된 자료의 형태는 지문과 삽화가 가장 많으며, 발문이 제시되는 영역은 탐구하기 영역이 가장 많고, 발문의 유형은 수렴적 사고 발문과 확산적 사고 발문, 인지·기억적 사고 발문, 평가적 사고 발문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Blosser의 사고 수준에 따른 발문 유형 중 학습자가 가장 높은 흥미를 보이는 발문 유형과 자료 형태에 대한 설문 결과는 남학생은 279명, 여학생은 113명 총 39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가 사회·문화 교과를 사전에 학습하였고, 사회·문화 교과를 사전 흥미를 갖고 있으며, 이후 사회·문화 교과를 수학 능력 시험 사회 탐구 영역에서 선택 교과로 선택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 가지 주제에 대한 Blosser의 네 가지 사고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발문 유형에 따른 발문 흥미도 조사 결과, 가장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발문은 모든 주제에 있어서 평가적 사고 발문인 반면에, 가장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발문은 모든 주제에 있어서 인지·기억적 사고 발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답하고 싶은 발문은 모든 주제에 있어서 평가적 사고 발문이 가장 답하고 싶은 발문의 이유로는 모든 주제에 있어서 답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자유롭게 답할 수 있을 것 같아서라고 나타났고, 발문과 함께 제시된 자료의 형태 중 가장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자료의 형태는 만화인 반면에 가장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발문으로는 지문인 나타났다. 사회·문화 교과서의 내의 효과적인 발문은, Blosser의 사고 수준에 따른 발문 유형을 준거로 개방형 발문이 폐쇄형 발문 보다 학습자의 확산적 사고나 고급 사고력, 학업 성취도 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 본 연구에서 학습자의 발문 흥미도 결과를 연관시켜 보면, 단순한 기억이나 회상 혹은 분류나 종합 아니라 학습자의 의견제시나 정당화 혹은 가치문제의 준거 제시 등 높은 사고력을 요하는 개방적 발문이 효과적인 발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과서의 부가 발문 연구의 다양한 연구 계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The social studies education suggests important aims traditionally to train democratic citizens and to build the great ability to think. To study these aims effectively, three factors of education, teachers, leaners and educational medium should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eachers also should provide the strategic questions to learners in educational field as a strategy of teacher-learner effectual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it examines the additional questions within the seven kinds of official approval society & culture textbooks how many parts and which types are in it in accordance with typology of strategic questions based on the thinking level of Blosser. And then check the most interesting question type to learners among the classified strategic questions by this type, and to find out which material is exciting to learners, classify the forms of given material simultaneously. Lastly, through as mentioned above, determine what effective questions are. This study analyzes 155 strategic questions of seven official approval society & culture textbooks for these aims. It is done through forms and quantity of materials and sphere of strategic questions which given with questioning type and questions based on cognitive memory question and convergent thinking question from the closed thinking and divergent thinking question and evaluative question from the open thinking of the categories of Blosser. The analysis of questioning type is provided with questionnaires answered by 16 licensed teachers of social studies and common social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155 questions which give questions and materials are composed of big unit Ⅱ from the seven official approval society & culture textbooks, small unit 1 from individual and society structure, and the research territory of individual life and society structure. One third of quantity of given materials with questions is the seven official approval society & cultural textbook which has the most quantity, and as the forms of given material, writings and illustrations are the most. The territory provided with questions the most is the research part and the type of questions is that convergent thinking question is the first, next is divergent thinking question and then cognitive memory question and the last is evaluative thinking question. The survey for the most interesting questioning types and material forms to learners in accordance with questioning types based on thinking level of Blosser is answered by total 392 students who are 279 boy students and 113 girl students. The result indicates that most students study society & culture subject and have interests in advance, also it appears that they will choose the society & culture subject as optional subject in society research territory for the government-sponsored scholastic aptitude test Especially, the result of the interest range for one theme based on the strategic question type in accordance with the four thinking levels of Blosser, the most interesting question is the evaluative question while the least interesting question is cognitive thinking question for every theme. And also leaners want to answer the evaluative thinking question the most because the answer is not fixed, so it is better to reply freely. For the forms of given material with questions, illustrations are the most exciting to learners while the writing has the least excitement. The result of the interest range for questions of learners is related with the precedent study that shows the open thinking influences on the divergent thinking, high quality thinking power, or academic achievement more than the close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 questions within society & culture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questioning types based on thinking level of Blosser. It concludes that the effective question is the open question that requires opinions and high thinking power of learners about justification and values problems, not the simple memory, recollection, classification or generalization and also variable research development of additional questions for textbooks is necess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