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란-
dc.contributor.author신대리라-
dc.creator신대리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1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26-
dc.description.abstract교사의 효능감과 교과교육학지식은 과학 교사의 전문성과 학교 과학 수업의 수준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교사의 경험은 이러한 요인들이 발달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파악하고 교육 실습이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 실습에 참여하는 서울 소재 여자 대학교의 사범대학4학년 학생 59명이었다. 예비중등과학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Riggs와 Enochs(1990)이 개발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 도구(STEBI)와 박성혜(2003a)가 개발한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육 실습이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SPSS 17.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 t-검정, Schffe 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교육 실습 후 증가하였다(p< .05). 과학교수효능감은 과학교수 자기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영역에서 교육 실습 후의 점수가 교육 실습 전에 비해 상승하였다. 예비교사들은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해 다양한 교수 방법을 찾으려 노력하였으며, 교육 실습 경험을 통해 과학 교수 활동에 대한 두려움을 덜어내고 자신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이 과학 개념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시범 수업을 하는 경우에는 교육 실습 전·후 모두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7개 하위 영역에서 교육 실습 후의 점수가 교육 실습 전에 비해 상승하였다(p< .05). 각 하위 영역에 대한 문항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영역에서 교육 실습이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 실습은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p< .01). 특히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학생에 관한 지식과 교육 과정에 관한 지식 영역을 제외한 하위 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교육 실습이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의 전공, 실습 학교의 학교급, 실습 학교의 공학여부에 따라 교육 실습 후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이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은 다른 전공 사이에는 화학 전공 예비교사들이 지구과학 전공 예비교사들 보다 실습 후 과학교수효능감이 증가하였고(p< .05), 그 밖에는 전공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공학으로 실습을 나간 예비교사들이 공학이 아닌 학교로 실습을 나간 예비교사들보다 교육 실습 후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이 높아졌다.;The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re significant factors in terms of developing professionalism of science teachers and improvement of the level of science class at school. Also, teacher's experiences significantly affect to development of factors above, thu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the degree of their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terwards, the results will be analyzed to discover how the practic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affects to the result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59 senior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actical teaching, from women's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In order to analyze the teaching efficacy and curricular knowledge on science pedagogy of pre-service middle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TEBI) invented by Riggs and Enochs(1990), and science curricular pedagogy knowledge instrument proposed by Park, sung-hye(2003) were used. In addition, ANOVA, T-test, Schffe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17.0 statistic package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teaching on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curricular pedagogy knowledge increased with the frequency of practical teaching(p< .01). Science teaching efficacy consists of two categories: personal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expectation of science teaching. Each category shows the significance depending on the matter of practical teach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e-service teachers tried to find diverse teaching methods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and through the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they could get away from the fear of teaching and gain some confidence on science teaching activities. However, when students don'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science or given test-teaching, pre-service teachers felt insecure in spite of the practice teaching experience. Among seven sub-categories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ge, the result given after practice teaching was higher than the one before practical teaching(p< .01). The analysis of each sub-category indicates that practical teaching improved the sc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majority of categories. Hence,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d by pre-service teacher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n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as more significant than the knowledge about students and curriculum process. In sum, practical teaching shows some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curricular pedagogy knowledge, proving their close correlation. Lastly, in order to analyz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llowing factors were considered: the major of pre-service teachers , a level of practical teaching school(junior high or high school), and a type of a school(co-ed or girls/boys school). Science teaching efficacy didn't show significance among pre-service teachers' majors. Yet when it comes to chemistry and earth science, there was a significance in chemistry and earth science major as those in chemistry major scored higher than those in earth science. The level of practical teaching school and the type of a school were not significant, either. The degree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was not significant regarding the matter of the level of practice teaching school; however, those who had co-ed or girls/boys' school scored higher degree than those who did no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자기효능감(Self-Efficacy) 5 1. 자기효능감의 정의와 형성 근원 5 2. 자기효능감의 효과 7 3. 교사효능감 8 B. 과학교수효능감(Science teaching efficacy) 15 1. 과학교수효능감의 정의 15 2. 과학교수효능감 관련 요인 16 3. 과학교수효능감의 측정 17 C. 교과교육학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18 1. 교과교육학지식(PCK)의 정의 18 2. 교사의 지식기반과 교과교육학지식(PCK)의 관계 21 3. 교과교육학지식(PCK)의 구성 요소 24 D. 선행연구 2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30 A. 연구 대상 30 B. 연구 설계 31 C. 연구 절차 31 D. 검사 도구 33 1. 과학교수효능감 검사 도구 33 2. 과학 교과교육학지식(PCK) 검사 도구 34 E. 자료 처리 및 분석 3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7 A. 교육 실습에 따른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변화 37 B. 교육 실습에 따른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PCK) 변화 42 C.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PCK)의 상관관계 52 D. 예비중등과학교사의 전공, 실습 학교의 특성에 따른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54 1. 예비중등과학교사의 전공, 실습 학교의 특성에 따른 과학교수효능감 54 2. 예비중등과학교사의 전공, 실습 학교의 특성에 따른 과학 교과교육학지식(PCK) 58 Ⅴ.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4 부록 71 부록 1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측정을 위한 설문지 71 부록 2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을 위한 설문지 74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81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교육 실습이 예비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 교과교육학지식(PCK)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ractical Teaching for Developing in Prospective Secondary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c.creator.othernameShin, Dae Ri Ra-
dc.format.pagex,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