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경-
dc.contributor.author손백제-
dc.creator손백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1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44-
dc.description.abstract역사교육에서는 다양한 역사적 방법을 통해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도모하고자 한다. 역사적 사고력은 ‘역사하기(Doing History)’를 통해 점진하며, ‘작은 역사가’들은 ‘역사하기’ 과정에서 역사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습자의 경험 및 인지발달에 적합한 구체적 유형을 활용하는 것은 유효한 학습법이다. 박물관은 역사적 방법이 실현되는 공간인 동시에 살아 있는 ‘역사하기’의 현장으로 존재한다. 더욱이 역사적 방법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나 신개념의 교수법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교 교과과정과의 연계도 수월하며 자체적으로도 새로운 교육문화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데 중점하고 있다. 학교 교과과정이 교과서 집필자나 교사의 역사관 및 역사의식을 반영한 저자 텍스트라면, 박물관의 요소는 학습자가 나름의 역사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를 구현해내는 독자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박물관은 역사교육에서 ‘역사하기’를 해낼 수 있는 고도의 학습 전략이다. 박물관과 학교 교과과정이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융해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럼에도, 역사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역사하기’를 위한 박물관 학습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진행하는 박물관 교육은 정규 수업 시간이나 교과 내용 외의 일회성 현장학습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주도하는 교사의 이해 부족이나 교과의 제한된 시·공간 등은 학습자의 사전·사후 학습에 한계로 작용한다. 또한, 박물관-교과과정 연계 교육과 학습 효과 간의 관련성은 인정하면서도, 그 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블렌디드 러닝(Blended-Learning)에 기반을 둔 프로젝트 학습의 보급은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하기’ 학습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 교육과 블렌디드 러닝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접목한 ‘역사하기’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중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하기’ 학습의 수행 가능성에 대해 검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역사하기’의 실현을 위해 박물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역사교육 현장에 적용하였다. 프로젝트 학습 활동은 온라인 카페에 교수·학습 공동체를 개설하여 6주 동안 6단계로 진행되었다. 이때 학습자들은 학습을 전개하는 주체로서 6명이 1개 모둠을 구성하여 교사가 단정한 광화문·종로 일대 근대사 박물관 6곳 중, 모둠이 선정한 박물관 관련 자료를 수집·공유하고 분석하며 ‘꼬마 큐레이터’로서의 활동을 경험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쳤다. 프로젝트 학습의 결과물로 제작한 모둠 발표문 중 우수작으로 선발된 모둠은 20분간의 발표로 교실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어 발표를 통해 사후 학습 된 인물이나 유물을 주제로 일기, 또는 신문기사를 작성함으로써 추체험 활동을 하였다. 학습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생산한 결과물과 학습 전반에 대해 성찰·평가한 노트를 분석하여 본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으로 요약된다. 첫째, 기존 사례 연구와 관련 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추출한 ‘역사하기’ 프로젝트 학습의 핵심 요소를 고려하여 박물관 교육과 블렌디드 러닝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접목한 ‘역사하기’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과정과의 연계를 통해 학습 목표와 활동 지시가 일치하지 않는 박물관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블렌디드 러닝이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환경을 바탕으로 정규 교과과정의 시·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난 실천적인 ‘역사하기’를 위해 다양한 요소를 적절히 혼합, 적용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의 학습 모형에서 상정한 광화문·종로 일대의 근대사 박물관 6곳은 현행 교과과정과의 개연성이 크며, 온라인의 교수·학습 공동체는 역사 자료와 학습자, 교사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역사하기’의 토대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본 연구를 목적으로 개발된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하기’ 학습 모형을 역사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질적인 근대사 학습 방안이 제시되지 않은 정규 교육과정에서 근대사 관련 박물관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유용한 방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주체적으로 역사가의 활동을 모델링함으로써 근대사 전반의 내용과 학습 방법을 체득할 수 있었다. 교사 역시 학습 활동의 연속선상에서 시의 적절한 안내와 조절 활동을 함으로써 학습자와 함께 ‘역사하기’를 완성하였다. 셋째,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하기’ 학습 모형을 현장에 적용한 후 본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와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 학습 모형이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는 학습의 시작 단계에서부터 나름의 동기나 기대를 지니고 활동에 임했으며 역사 지식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역사적 사실을 습득하고 사고력을 배양하였다. 역사가나 큐레이터, 교사의 역할을 통해 살아 있는 역사를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근대 시기의 맥락 속에서 사람들이 전유해온 경험 세계를 학습자 자신이 드러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이 주목된다. 교사 또한 적극적인 ‘교육과정 구성자’로서 학습자들의 수업 경험을 중시하여 ‘학생 교육과정’을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역사 교육과정 내 근대사 학습에 유용한 교수·학습안을 수립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행 역사교육에서 난항을 겪는 박물관 학습이나 근대사 교과과정은 본 연구의 시의성과 실천성을 대변한다. 이를 이유로 본 논문이 역사교육을 담당하는 연구자나 현장 교사들에게 지침서가 될 것이며, 실천적 역사교육을 불러일으키는 촉매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History education tries to foster learner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various historical method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make gradual progress with 'Doing History', and 'Little Historians' achieve the object of history education with 'Doing History'. In this context, utilizing specific types appropriate for learners' experience and cognitive development is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 Museum is not only the space to realize historical methods, but also the place for lively 'Doing History'. Learning in museum is easy to be linked with schools' curriculum because it can apply various contents and new teaching methods, and focuses on continuously creating new educational culture. While schools' curriculum is the writer‘s text which reflects writers or teachers' historical view and consciousness, learning in museum is the reader's text that realizes history based on learners' own historical understanding. Therefore, learning in museum is the advanced strategy for 'Doing History'. Therefore curriculum of school should be connected to museum educational programs. Nevertheless,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in museum for 'Doing History' in the fields. Generally, schools operate learning in museum in the regular hours or one-shot extracurricular field trip, which can restrict learners' pre- and post- learning because of 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or limited time and places. Also, the association between connected education with museum and curriculum and learning effects is recognized, but researches on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 effect are small in number. In the situation, the project learning based on Blended-Learning is vitalizing 'Doing History' in museum by providing optimal environment for learning. The study aim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Doing History' integrating learning in museum and project learning based on Blended-Learning, and investigate and discuss possibilities for 'Doing History' in museum during the secondary school's curriculum. The way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considering key factors of the 'Doing History' project from case studies and analysises on related documents, models of the 'Doing History' project integrating learning in museum and project learning based on Blended-Learning was designed. Second, the models of the 'Doing History' project in museum was applied to history classes. Third, after applying the model of the 'Doing History' project in museum, the effects and possibilities were investigated. In light of the results, what is important in the study is to establish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plans on curriculum for modern histor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Learning in museum or curriculum for modern history with difficulties in history education show the study's timeliness and practicability. On this account, the study will be the guide for researchers in charge of history education or teachers and is anticipated to be the catalyst to lead to practical history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교육의 방향 5 A. 역사하기 프로젝트 학습 5 B. 역사하기를 만드는 블렌디드 러닝 6 C. 역사하기가 완성되는 박물관 7 Ⅲ.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하기의 설계 12 A. 설계의 전제 12 B. 설계의 구조 15 C. 설계의 실제 17 Ⅳ.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하기의 적용 및 분석 22 A. 역사하기에서의 교사 활동 22 B. 역사하기에서의 학습자 활동 36 C. 역사하기 결론 및 제언 45 Ⅴ.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2 부록 66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026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박물관을 활용한 ‘역사하기’ 학습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광화문·종로 일대의 근대사 박물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Learning Plans for 'Doing History’ in Museum : Centering on Modern History Museum around Gwanghwamun and Jongno-
dc.creator.othernameSon, Baek Je-
dc.format.pageⅷ,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