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고등학교 『국사』의 조선후기 서민문화 내용 개선 제안

Title
고등학교 『국사』의 조선후기 서민문화 내용 개선 제안
Other Titles
Improvement plan for the folk culture of the late of Joseon Dynasty i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genre paintings
Authors
문소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희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use genre paintings listed on a textbook to support easier understanding of culture, society, economy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for high-school students. When art data issued in conjunct with history education, it could help initiate the interest of students for history as well as continuous motivation for studying history. Especially genre painting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which were listed in a textbook, support the fact that the main body leading the culture had been moved from previous ruling party to civilians. In other words, it reveals the overall modification made on the culture, society and economy of Joseon by an invasion of Korea with a western power and new conscious world established on top of such modification. Unfortunately, for the 7th edition of a national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the name of writers and works are mechanically listed on the description of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 Also the most of description is emotion-oriented and it limits comprehension of how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nects to genre painting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s and the economy and society in the late of Joseon is not effectively inform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made on the propagation of seodang, pansori, mask play, novels written in Korean and traditional three-verse poem and genre paintings which had been advanced along with folk culture were organized and the trend of studies for a textbook and its limitations were analyzed. This study provides the certain description which could be used for a textbook to acknowledge the circumstance of development of folk culture and its relationship with genre paintings. However, it must be understood that interpretation of art could be subjective. When students face with certain art work, they should be able to research, observe, analyze and interpret the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underlying the art work. Such process would enhance the capability of thinking of students. Instead of laying out certain information and historical fact of art works,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agriculture and the social rank fluctuation and growth of civil awareness in the late of Joseon were described as a textbook format. This study approached the historical time period,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way of new cultural history, referring “the history with culture” and focuses on culture as the main researching object of history and historical description and showed how to enhance a textbook with genre paintings that most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is study expects students will be able to find the way to identify the society of one era and what people in the ear were aiming for and thinking.;본 논문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선후기 경제·사회·문화 전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풍속화를 활용한 교과서 서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교육에서 미술자료의 활용은 역사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고취시키며 나아가 지속적인 학습욕구와 관심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교과서에 수록된 미술자료 중 조선후기 풍속화는 문화를 이끌어 가던 주체가 종래의 지배계급에서 점차 서민에게까지 확대되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서, 즉 양란 이후 조선의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와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새로운 의식세계가 발현되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이다. 그러나 7차 고등학교 『국사』의 조선후기 문화사 서술은 작품과 작가를 기계적으로 나열하고 있으며, 성취기준에서 밝히고 있는 것과 달리 감상 중심의 서술로 인해 서민문화의 발달과 풍속화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풍속화의 발달과 조선 후기 경제·사회와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서민문화의 발달을 보여주는 서당의 보급, 판소리와 탈놀이, 한글소설과 사설시조, 풍속화에 관한 학계의 연구를 정리하고 교과서 서술의 학계 연구 동향의 반영과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후기 서민문화가 발달할 수 있었던 시대 상황과 풍속화 발달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교과서 서술 내용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그림에 대한 해석은 주관적일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학습자는 어떤 작품을 접했을 때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사실을 조사, 관찰, 분석, 해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탐구과정은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나 작품에 관한 정보를 학생에게 강요하거나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것은 지양하면서 조선후기 농업과 상업의 발달, 그리고 신분변동과 서민의식의 성장을 교과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를 역사연구와 역사서술의 주요 대상으로 하는 신문화사의 ‘문화로 보는 역사’의 방법을 통해 조선후기라는 역사 전체에 접근하여 학습자에게 익숙한 역사 자료인 풍속화와 관련시켜 개선 내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한 시대의 사회 모습과 그 시대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갖고, 무엇을 추구하며 살았는가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