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학습효과

Title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학습효과
Other Titles
The learn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by the reflective thinking strategy
Authors
김보람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우리나라 대다수의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나 인식은 일정수준에 도달하였으나 실제 행동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지식과 실천을 새롭게 형성하는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반성적 사고과정을 적용하여 행동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은 거의 없다.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반성적 사고과정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실생활 경험에 근거한 내용일수록 반성적 사고를 일으키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내용으로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학급 60명으로 하였다.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교과내용과 초등학생이 자주 접하는 실생활 소재를 반영하여 에너지, 유해화학물질, 중금속과 농약, 식품첨가물, 친환경 소비, 재활용을 학습 주제로 선정하였고, Dewey의 반성적 사고과정 다섯 단계를 적용하여 총 6차시의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환경 지식, 환경 행동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David의 반성적 사고 수준, 이석재의 의사소통능력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 15.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과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 수업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환경 지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p<.01), 특히 에너지, 재활용 영역과 식품첨가물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p<.01). 이는 현실적인 문제 상황이 반성적 사고를 통해 실생활에서 알고 있던 지식들을 재구성함으로써 환경 지식이 향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 수업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환경 행동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1). 특히 식품첨가물과 재활용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p<.05), 이는 학습자들이 많이 경험한 주제들로 자신의 경험과 관련시킨 반성적 사고가 환경 행동을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 수업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반성적 사고 수준의 하위 영역 중 습관적 행동과 이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1), 반성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이는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인 반성적 사고과정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고차원적인 반성적 사고 수준을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 수업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p<.05), 특히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요소인 경청과 타인관점 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는 환경문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합의하는데 동료 학습자들의 의견을 수용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을 높였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반성적 사고가 높을수록 환경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r=.663),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환경 지식 역시 반성적 사고와 상관을 보였으며(r=.419),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또한 반성적 사고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r=.780),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위 결과로 볼 때,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수업은 전통 수업에 비해 환경 지식, 환경 행동, 반성적 사고 수준,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환경 학습을 위한 수업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학습자의 실생활 경험과 밀접한 학습 주제에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으로 볼 수 있다.;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ccurate knowledge and attitude could be linked to real action, but those have no effect on changing the behavior. To effect the change in behavior, we need to consider the reflective thinking which can make people change their behavior. As one of the strategy to accelerate the reflective­thinking,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ere taken. And also, it is more proper if the contents are based on the real experiences of the students. Thus, this study tries to know whether the improvement of reflective thinking is able to affect to the environmental behavior.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60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in Gyeonggi-do and the survey methods were presented in the general experimental curriculum. To study 6th subjects(energy, harmful chemical material, heavy metal and agricultural chemicals, food additive, environmental friendly consumption, and recycle) was developed.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environment knowledge, the environment behavior, the level of reflective­think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analysis methods were ANCOVA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taking the class using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improved the environmental knowledge with the reasonable meaning(p<.01). Specially, regarding the area of energy, recycle(p<.05) and food additive(p<.01),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t shows that the class using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which can reconstruct the existed knowledge when they face with actual problems is effective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knowledge. Second, the group taking the class using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improved the environmental behavior with the reasonable meaning(p<.01) compared to the group taking the formal class. Specially, regarding the area of recycle(p<.05) and food additive(p<.05), there was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t shows that the class using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which can relate the subject to their experiences is effective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behavior. Third, the group taking the class using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improved the reflective thinking and the criticized thinking in level of the reflective­thinking with the reasonable meaning(p<.01) compared to the group taking the formal class. It shows that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to find the solutions of problems that are for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make the improvement for the level of the reflective­thinking. Forth, the group, taking the class using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improved the communication ability with the reasonable meaning(p<.05) compared to the group taking the formal class. Specially, regarding the area listening attentively and grasp of other’s thought(p<.05). it shows that the discussions and the consents improved the communication ability by accepting the other’s opinions. Finally, higher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shows higher level of the relation with environmental behavior(r=.663). There was reasonable meaning(p<.01). Also reflective thinking shows the relation with environmental knowledge(r=.419). There was reasonable meaning(p<.05) and the communication ability shows high mutual relation(r=.780) and has the reasonable meaning(p<.01). As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class using the strategy of the reflective­thinking is able to be used for the education of environmental study because it is very useful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knowledge, the environmental behavior, the ability of the reflective thinking, and the ability of the commun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