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주-
dc.contributor.author조혜원-
dc.creator조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0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언어습득 연구에서 제2 언어 상호작용이 많은 주목을 받아왔고, 그 중에서 오류수정 피드백(corrective feedback)과 지각(noticing)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Schmidt (1995, 2001)의 지각 가설(noticing hypothesis)은 학습자가 입력과 자신들의 중간언어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지각(noticing the gap between interlanguage and native speakers’ language)하는 것은 제 2 언어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 또한 Long (1996, 2006)의 상호작용 가설(Interaction Hypothesis)에 따르면 학습자는 상호작용을 통해 능숙한 화자로부터 상호작용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그 피드백은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어와 자신들의 오류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지각하도록 도움을 준다. Long이 제시하는 지각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상호작용 피드백으로는 개정발화와 의미협상이 있다. 지각과 오류수정 피드백이 제2 언어학습자가 영어를 습득하는데 도움을 주는가 하는 점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고, 이와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개정발화가 언어학습과 지각에 미치는 효과가 최근 크게 주목을 받아왔으나 많은 연구들은 결정적인 결론에 도달하지 못해왔다. 어떤 연구는 개정발화가 지각이나 학습자 반응 혹은 학습자 교정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한 반면, 다른 연구는 개정발화는 다른 유형의 피드백, 즉 상위언어적 피드백이나 유도피드백 등에 비해서 혜택이 적다고 보고해왔다. 또한 다른 많은 선행연구가 목표어에 따라 개정발화 및 다른 상호작용 오류 수정 피드백의 효과가 달라진다고 보고하였지만 목표어의 형태론적인 구조에 초점을 맞춘 실험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피드백에 의해 통사론적인 구조의 명시적 지식과 암시적 지식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타당한 측정법을 사용한 연구 역시 부족한 상태이고, 학습자의 지각이 그 학습자의 형태론적 구조 학습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아직 결과가 분분하다. 이와 같은 연구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상호작용 오류수정 피드백이 학습자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이 목표어 학습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각과 목표어 학습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에서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63명의 성인 예비중급자(pre-intermediate) 수준의 학습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어는 형태론적 구조에 속하는 규칙과거시제와 복수형어미였다. 세 개의 처치집단과 한 개의 제어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는데, 그 중 처치그룹은 처치기간 동안 각각 개정발화 피드백, 유도 피드백, 상위 언어적 피드백을 받았고, 제어집단은 그들과 유사한 입력을 받았지만 아무런 피드백도 제공받지 않았다. 사전테스트를 마치고 그 다음주에 행해진 두 번의 처치기간 동안 학습자는 언어학습 저널을 작성하였고, 처치기간이 끝난 이후에 처치그룹은 회상자극기법(stimulated recall)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언어학습 저널과 회상자극기법은 학습자의 지각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 되었다. 처치기간이 다 끝나고 일주일 후에 학습자들은 사후테스트를 받았는데, 이는 사전테스트와 사후테스트와의 차이를 통해 학습자의 목표어 사용이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를 보기 위함이었다. 사전 및 사후 테스트에는 암시적 지식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구두 모방 테스트와 명시적 지식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가 사용되었다. 언어학습 저널과 회상자극 기법 인터뷰의 분석 결과, 상호작용 오류수정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들이 제어그룹보다 더 많은 지각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호작용 오류수정 피드백이 예비 중급자가 목표어를 지각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도피드백과 상위 언어적 피드백은 개정발화 피드백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도피드백과 상위 언어적 피드백이 예비 중급자의 목표어 지각에 있어서 개정발화보다 더 도움이 된다고 제안하였다.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구두 모방 테스트의 결과, 암시적인 타입의 피드백, 즉 유도피드백과 개정발화 피드백이 복수형어미를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거시제어미의 경우 모든 피드백 그룹이 제어그룹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그룹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예비중급자의 지각과 그들의 시험 점수 향상 간에는 연관이 있음이 드러났다.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결과, 학습자의 지각이 목표어의 학습, 특히 목표어의 명시적 지식을 증가시키는데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원어민의 언어와 중간언어 사이의 차이를 지각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예비 중급자가 과거시제와 복수형어미의 명시적 지식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This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al corrective feedback on learners’ noticing and second language (L2) learning of English morphological feature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learning of the target forms. The participants were sixty-three adult learners enrolled in EFL classes at a university in Korea and their level of English was classified as pre-intermediate. The learners were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s (metalinguistic feedback, recasts, and prompts) and a control group. The target linguistic forms were regular past tense and plurals in English. A language learning journal (LLJ), a stimulated recall (SR) interview, and focused L1 questions were adopted to collect noticing data. A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GJT) and an oral imitation test (OI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back on learning of the target forms.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LLJ and the SR interview revealed the positive effects of interactional corrective feedback on L2 learners’ noticing. The prompt group and the metalinguistic feedback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reca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noticing past tense and plural for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re-intermediate learners receiving either metalinguistic feedback or prompts are more likely to notice the target forms than those receiving recasts. The analysis of the GJT showed that the feedback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group. The metalinguistic feedback group and the prompt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GJT ungrammatical items. The analysis of the OIT showed that the prompt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found that all three types of feedback positively affected the GJT scores and promp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f the target for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rompts may contribute to learning of implicit knowledge as well as explicit L2 knowledge. Finally, notic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GJT and OIT scores.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target forms revealed that noticing of past tense or plural form was related to the score improvement of the GJT whereas no or weak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noticing of the form and the OIT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noticing is correlated to learning of explicit knowledge of the target f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oticing is helpful for L2 learning and prompts are particularly beneficial for pre-intermediate learners’ noticing and L2 learning of the target for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INTRODUCTOIN 1 A. Purpose of the Study 1 B. Research Questions 3 C. Organization of the Study 4 Ⅱ. LITERATURE REVIEW 5 A. Interaction and Noticing 5 1. Interaction Hypothesis 5 2. Noticing Hypothesis 10 3. Measurement of Noticing 15 a. Learner Uptake 16 b. Think-aloud Protocols 18 c. Cued Immediate Recall 18 d. Stimulated Recall 19 e. Other Methodology 22 B. Interactional Corrective Feedback 23 1. Recasts in L2 Learning 24 a. Recasts as Interactional Corrective Feedback 24 b. Benefits of Recasts in L2 Development 27 c. Ambiguity of Recasts 32 2. Other Types of Feedback in L2 Learning 37 a. Prompts 38 b. Explicit Types of Feedback 40 3. Differential Effects of Feedback 44 a. Learners Proficiency Level 45 b. Interlocutor 46 c. Learners Interpretation 47 d. Characteristics of Feedback 48 e. Choice of Target Linguistic Features 49 C. Implicit and Explicit Knowledge 59 1. Measurement of Implicit/Explicit Knowledge 60 2. Research on L2 Development of Implicit/Explicit Knowledge 65 Ⅲ. METHODLOGY 70 A. Pilot Study 70 B. Overall Research Design 71 C. Participants 72 1. Learner Participants 72 2. Teacher Participants 74 D. Experiments 75 1. Experimental Groups by Feedback Types 75 a. Metalinguistic Feedback Group 77 b. Recast Group 78 c. Prompt Group 78 d. Control Group 79 2. Target Forms of the Experiment 79 E. Materials 81 1. Language Learning Journal 81 2. Stimulated Recall 82 3. Focused L1 Questions 84 4.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84 5. Oral Imitation Test 86 F. Procedures 89 G. Data Analysis 95 1. Coding and Scoring 95 a. Coding of Noticing 95 b. Scoring 99 (1) Scoring of GJT 99 (2) Scoring of OIT 99 2. Statistical Analysis 101 Ⅳ. RESULTS AND DISCUSSIONS 102 A. Effects of Feedback on L2 Learners Noticing 102 1. Effects of Feedback on Noticing in LLJ and SR 102 2. Effects of Feedback on Noticing of Two Target Forms 108 3. Discussions on Effects of Feedback on Noticing 112 B. Effects of Feedback on L2 Learning 126 1. Effects of Feedback on Explicit Knowledge 127 2. Effects of Feedback on Implicit Knowledge 134 3. Effects of Feedback on L2 Learning of Target Forms 138 a. L2 Learning of Plural 138 b. L2 Learning of Past Tense 141 4. Discussions on Effects of Feedback on L2 Learning 144 C.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L2 Learning 150 1.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Learning of Explicit/ Implicit Knowledge 150 a. Noticing and Learning of Explicit Knowledge 150 b. Noticing and Learning of Implicit Knowledge 152 2.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Learning of Target Forms 154 3. Discussions on Relationship between Noticing and L 2 Learning 154 Ⅴ. CONCLUSION 159 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173 B. Pedagogical Implications 173 C.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179 REFERENCES 183 APPENDICES 198 A. Language Learning Journal 198 B.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Items 199 C. Oral Imitation Test Items 201 D. Examples of SR Results of a Learner Receiving Metalinguistic Feedback 203 E. Examples of SR Results of a Learner Receiving Recasts 204 F. Examples of SR Results of a Learner Receiving Prompts 205 ABSTRACT IN KOREAN 2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1294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Effects of Interactional Corrective Feedback on Learners’ Noticing of Target Forms in L2 Learning of English-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상호작용 오류수정 피드백이 학습자의 지각과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dc.format.pagexii, 20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