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김소라-
dc.creator김소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0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13-
dc.description.abstractThe following study highlights teacher’s ability to recognize personal job stress coming from ‘eustress’ where at which point the teacher and his or her affiliated organization or school can develop a synergic bond for further development, resulting in a highly beneficial and efficient relationship for achieving academic goals. To explore the issue, the study conducts an in-depth interview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leverages related precedent studi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teacher’s job stress,’ ‘Korea’s teaching style’, etc. Using the research as a yardstick, the study explores the reasons behind teacher’s job stress and discerns factors that can be quantified and measured. First round of surveys were pilot tested and analyzed on 198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pilot test as base data, the second round of revised surveys were sent to 278 school teachers in 8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Seoul, Kyung-gi, and Daegu. Among the second round of surveys, only 200 were replied. The final analysis of the survey went through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s for measuring stress, and ultimately refines the measure tool to reach a definitive conclusion about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nt through an extensiv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onbach’s α(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etc, with the help of SPSS 17.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28 questions ; however, it was found to boil down to 5 factors. Each factor was identified as ‘organizational atmosphere,’ ‘schedule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hanges in societal recognition,’ and ‘general condition.’ The above factors had 9 questions, 6 questions, 3 questions, 4 questions and 6 questions respectively. Secon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ress level was benchmarked for its fitness in this study. Traditionally, CMIN/Df should be in the inclusive range of 1 to 3, RMR value should be less than 0.05, and GFI value should be greater than 0.9 . There’s no definitive range for which AGFI should indicate, but precedent studies have shown that values great than 0.9 is recommended for this particular study. Finally, for PGFI, the bigger the measured value over the relative value of the model in the ranges 0 and 1 the more confident the model becomes. When benchmarked against these guidelines, RMR came out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recommended index, ; however, CMIN/df, GFI, AGFI, PGFI came out all within the acceptable range. It’s safe to conclude that the resulting analysis of the fit indexes confirm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Third, Cronbach α value was .824 for all 28 questions, highlighting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design. The resulting high Cronbach α value confirms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 used to gaug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with high degree of confidence.;본 연구는 교사 개인이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해 긍정적 스트레스(eustress)로 인식할 수 있을 때, 교사 개인과 학교 조직이 함께 건강해지고 나아가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대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 및 우리나라 교직 특성과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심층 면접하여, 교사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과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하위 요소를 선별하였다. 이를 토대로 작성한 1차 문항을 이용해 초등학교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한다. 파일럿 검사 결과 분석을 토대로 수정된 2차 측정도구로 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해,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해 측정도구를 확정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서울&#8228; 경기도&#8228; 대구광역시에 있는 8개교의 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된 278부 중 200부가 회수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해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 분석(주성분 분석), 중다회귀분석, Cronbach α 계수, 경로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는 전체 5개요인(총 28개 문항)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각 요인에는 ‘학교 조직 분위기’, ‘직무 시간 관리’, ‘직무 전문성 신장’, ‘학교 조직 외부의 변화’, ‘일반적 직무 조건’으로 명명하였으며, 각각 9문항, 6문항, 3문항, 4문항, 6문항이 포함되었다. 요인별 문항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교 조직 분위기는 직무 처리과정에서 충분히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며, 적절한 물질적 보상에 대한 관련된 학교 조직의 분위기와 관련된 요인이다. 하위 문항에는 충분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는지, 우수한 활동에 대해 인정하는 분위가 조성되어 있는지, 적절한 존중과 신임을 받는지 등과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인은 5개요인 중 가장 높은 신뢰도 값을 지니며, 전체의 16.26%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초등학교 교사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직무 시간 관리는 근무 시간 중 필요에 따라 시간을 유연하게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요인이다. 하위 문항으로는 학생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시간이 있는지, 사무업무를 처리에 융통성 있는 시간 관리가 가능한지, 직무 환경을 관리할 시간 여유 등이 포함된다. 직무 전문성 신장은 교사의 직무 전문성 개발 기회 제공, 직업적으로 긍정적인 자극을 받는 것과 관련된 요인이다. 하위 문항으로는 직업적인 발전 기회가 있는지, 직업적으로 감성적&#8228;인지적 자극을 받는지, 충분한 연구 기회가 있는지 등이 포함된다. 학교 조직 외부의 변화는 교사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및 처우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문항으로는 사회의 의식 변화에 따라 학교 조직 밖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어떻게 인식하며 교권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보호되며 또 보호받을 수 있는지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 직무 조건은 교육활동 및 사무업무 수행과 관련된 물리적 환경 및 여건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문항으로는 학생 생활지도 및 수업 준비와 관련된 환경이 구성되어 있는지, 휴식을 취할 수 있는지, 교사가 이용하는 공간이 청결하게 유지되는 등이 포함된다. 둘째, 확인적 요인 분석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에 대한 연구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CMIN/Df는 일반적으로 1이상 3이하의 값일 때, RMR은 <.05일 때, GFI는 >.9일 때, AGFI는 일반적인 수용가능 기준 값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는 지수이나 >.9이상일 때, PGFI는 0에서 1사이 값 중 대안 모형의 값과 비교해 그 값이 클수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해석가능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χ2 값은 303.714, 유의 확률은 .00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기각되었다. CMIN/Df 는 2.336, RMR은 .051, GFI는 .985, AGFI는 .982, PGFI는 .860으로 나타났다. RMR은 권고지수보다 약간 높은 값으로 분석되었으나, 나머지 지수들이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므로 본 연구모형은 대체로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전체 28개 문항에 대한 Cronbach α 값이 .824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별 문항 및 요인별 신뢰도 또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구자가 설정한 도구가 초등학교 교사 직무 스트레스를 측정하는데 신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 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5 Ⅱ.이론적 배경 6 A.직무 스트레스 6 B.교사 직무 스트레스 16 Ⅲ.연구방법 26 A.연구대상 26 B.연구절차 28 C.연구 도구 31 D.자료 분석 34 Ⅳ.결과 및 해석 36 A.심층면접을 통한 예비 문항 구성 36 B.예비조사를 통한 본 조사 문항 선정 40 C.본 조사 분석 결과 45 Ⅴ.결론 및 논의 60 참고문헌 66 부록.초등학교 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 설문지 72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93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교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constructing the feasible tools for measur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dc.creator.othernameKim, So Ra-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